KR200275586Y1 -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586Y1
KR200275586Y1 KR2020020002262U KR20020002262U KR200275586Y1 KR 200275586 Y1 KR200275586 Y1 KR 200275586Y1 KR 2020020002262 U KR2020020002262 U KR 2020020002262U KR 20020002262 U KR20020002262 U KR 20020002262U KR 200275586 Y1 KR200275586 Y1 KR 200275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ylinder
fabric
textile fabric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상
Original Assignee
이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상 filed Critical 이두상
Priority to KR2020020002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586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섬유 원단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수단을 구비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늬형성수단(32)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편심회전가능케 설치된 캠(36)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편심회전에 따라 전후이송되는 전후이송 슬라이더(38)와,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한편 좌우이송되는 좌우이송 지지대(42)를 가진 좌우이송수단(40)과,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가로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케 배열 설치되어 섬유 원단의 표면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44)와,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를 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상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모터(46)와, 상기 회전브러쉬가 접촉하는 섬유 원단 부분의 이면이 밀착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밀착 회전롤러(47)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와류형 원형무늬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는 여러 형태의 와류형 연속무늬를 다양하게 가공함으로써, 쿠션력 및 촉감을 자연 그대로 유지하면서 심미감을 높여 상품가치 및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AN AFTERWARD OVERHEAD APPARATUS FOR VARIOUS PATTERN DESIGN OF FIBER FABRICS}
본 고안은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직기에서 생산되어 기모(起毛)이나 또는 해모(奚毛) 공정을 거친 아크릴 보아(Acrylic Boa), 하이 파일(High Pile), 벨 보아(Vel Boa), 스판 벨벳트(Spun Velvet) 등의 합성섬유 원단 표면에 다양한 와류(渦流)형상의 무늬를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반복 형성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의 표면에 장식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늬형성방법으로서는 날염방식에 의한 경우나 또는 열 융착장치에 의한 요철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있었다.
즉, 전자는 무늬색상의 변화미를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는 반면에 무늬의 시각적 입체성이 없이 상품가치가 단조롭고, 후자는 섬유 원단의 표면에 요철 압형로울러를 100-150℃의 온도 범위내에서 압형하여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섬유 원단의 표면층 섬유사 파일이 흡사 다림질 효과에서 보는 것처럼 일시적인 압형열에 의해 요철화 현상이 일어나므로 무늬자체의 내구성이 취약하여 이를테면 심한 표면마찰이나 세탁 등이 반복되는 경우 이들 무늬가 쉽게 해리되어 장기적인 내구성을 보정하기 어려웠고, 특히 표면에 마찰력을 많이 받는 부위는 열룩이 져서 완성 의류의 상품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래서, 종래는 섬유 원단의 무늬형성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熱可塑性)을 갖는 일반 합성섬유 원단(예컨대, 나이론 섬유 원단, 폴리아크릴 섬유 원단, 폴리에스텔 섬유 원단 등)의 표면에 열 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각종 장식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섬유 원단 무늬형성방법은 섬유 원단(1)이 공급로울러(3) 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반대측 권취로울러(4)로 이동되도록 설치하고, 그 중간에 상기 섬유 원단(1)을 사이에 두고 압형로울러(7)와 받침로울러(8)를 상하로 축설하며, 그 양측에 가이드로울러(5,6)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압형로울러(7)의 상측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9)를 거쳐 압형로울러(7)에 이형제(10)를 공급하는 호퍼장치(11)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형로울러(7), 받침로울러(8), 공급로울러(3), 권취로울러(4)를 단계적으로 구동시키면 압형로울러(7)의 외주면이 섬유 원단(1)의 표면에 접지되는 순간 압형로울러(7)에서 발열되는 고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섬유표면, 즉 파일사(1a) 부분이 녹아서 융착된다.
이때, 압형로울러(7)의 외주면에는 상기 호퍼장치(11) 내의 저장된 이형제(10)가 다수의 가이드로울러(9)를 거쳐 지속적으로 도포되기 때문에 섬유 열 융착시 섬유 원단(1)측의 재질이 압형로울러(7)에 부착되지 않고 섬유 원단(1)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무늬에 융착됨으로써 섬유 원단(1)의 형성무늬의 윤곽선을 선명하게 하여줌과 동시에 형성무늬를 코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방법은 압형로울러(7)에서 발열되는 고열에 의해 융착에 의해 섬유 원단(1)의 표면에 요철형상의 무늬를 형성함과 동시에 파일사(1a)의 전체를 이형제(10)에 의해 코팅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팅된 파일사(1a) 쿠션력이 저하됨은 물론 표면이 거칠어져 촉감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섬유 원단(1)의 표면에 흔히 형성되는 요철 무늬에 의해 심미감(審美感)이 떨어져 상품가치를 고급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2000년 11월 10일자로 출원되어 등록(실용신안등록 제224677호)된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24677호는, 섬유 원단의 표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와류무늬를 형성하고, 이 와류무늬를 스팀열과 히팅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섬유 원단의 표면에 형성된 와류무늬의 쿠션력 및 촉감을 자연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요철무늬가 아닌 와류무늬에 의해 심미감을 높이는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에서 가공가능한 무늬는 달팽이 모양의 무늬와 유사한 와류형 원형무늬에만 국한되므로, 가공되는 무늬가 단조로워 상품 가치가 높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와류형 원형 무늬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는 여러 형태의 와류형 연속무늬를 다양하게 가공할 수 있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방법에 대한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대에 설치된 다수의 회전브러쉬와 모터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회전브러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 다기능 후가공장치에 의해 섬유 원단의 표면에 와류형 원형무늬가 형성된 부분 확대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 다기능 후가공장치에 의해 섬유원단 표면에 와류형 연속무늬가 형성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본체 24 : 섬유원단
26, 28 : 가이드 롤러 30 : 밀착대
32 : 무늬형성수단 34 : 스팀분사노즐
36 : 캠 38 : 전후이송 슬라이더
40 : 좌우이송수단 42 : 좌우이송 지지대
44 : 회전브러쉬 46 : 모터
48 : 밀착대판 58 : 구동축
60 : 이송부재 62 : 롤러
76 : 실린더 78 : 제1실린더
80 : 제2실린더 84 : 브러쉬 헤드
90 : 축부재 92 : 솔 헤드
92a : 솔 96 : 벨트
102 : 스프링 110 : 와류형 원형무늬
112 : 와류형 연속무늬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섬유 원단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수단을 구비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늬형성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편심회전가능케 설치된 캠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편심회전에 따라 전후이송되는 전후이송 슬라이더와,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한편 좌우이송되는 좌우이송 지지대를 가진 좌우이송수단과,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가로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케 배열 설치되어섬유 원단의 표면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와,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를 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상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모터와, 상기 회전브러쉬가 접촉하는 섬유 원단 부분의 이면이 밀착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밀착 회전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의 좌우이송 지지대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실린더본체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2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캠에는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캠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달팽이 모양의 와류형 원형무늬를 가공할 시에 섬유 원단을 받치는 밀착대가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는, 본체(22)의 상측에는 하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섬유 원단(24)을 일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26)(28)가 설치되는 한편 달팽이 모양의 무늬를 가공할 시에 섬유 원단(24)을 받치는 밀착대(3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케 설치되며, 섬유 원단(24)의 이동이 일시 정지될 때 섬유 원단(24)의 표면에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와류형 연속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수단(32)이 본체(22)의 상측 앞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무늬형성수단(32)에 의해 와류무늬를 형성할 때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노즐(34)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무늬형성수단(32)은, 상기 본체(22)의 상부 일측에 캠(36)이 편심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캠(36)의 편심회전에 따라 전후이송되는 전후이송 슬라이더(38)가 상기 본체(2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한편 좌우이송되는 좌우이송 지지대(42)를 가진 좌우이송수단(40)이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의 상측에 설치되고, 섬유 원단의 표면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42)의 가로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케 배열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44)를 동시 회전시키도록 다수의 모터(46)가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42)의 상면에 분산 설치되고, 상기 회전브러쉬(44)가 접촉하는 섬유 원단 부분의 이면이 밀착하는 밀착 회전롤러(47)가 상기 밀착대(30)의 앞측에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밀착대(30)는 상기 밀착 회전롤러(47)를 떼어 내고 종래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에서와 같이 달팽이 모양의 와류형 원형무늬를 형성할 시에 필요하며, 그 앞면에는 밀착대판(48)이 부착된다. 상기 밀착대(30)는 본체(22)에 결합된 핸들(5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이송스크류(52)와 볼너트(54)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2)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브러쉬(44)와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밀착대(30)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스팀분사노즐(34)은 상기 회전브러쉬(44)와 섬유원단(24)이 접촉하는 부분을 향해 스팀(증기)를 분사하게 되는데, 파이프(56)의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노즐을 이루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브러쉬(44)의 하측에만 스팀분사노즐(34)이 설치되어 있으나, 회전브러쉬(44)의 상측에도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56)는 도시하지 않은 스팀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캠(36)은, 구동축(58)의 양단에 설치되며, 이송부재(60)의 하측에 결합된 롤러(62)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다. 상기 이송부재(60)는 안내부재(64)의 안내를 받아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이송부재(60)는 그 상측에 결합된 매개판(66)을 매개로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에 연결된다. 상기 캠(36)에는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캠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도시 안됨)가 결합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구동축(5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는 그 하측에 형성된 블록부에 안내봉(68)이 끼워져, 이 안내봉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안내봉(68)의 양단은 본체(22)에 고정된 브라켓(7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는 본체(22)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좌우이송수단(40)의 후술하는 실린더가 설치된 쪽(좌측)의 전후이송 슬라이더는 두개의 안내봉(68)에 의해 지지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베어링에 의해 슬라이드 봉을 지지하는 블록(72)이 결합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40)은, 상기 블록(72)에 그 양단이 고정지지된 안내봉(74)과, 상기 안내봉(74)에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상기 좌우이송지지대(42)와,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42)를 구동하는 실린더(7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76)는,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42)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1실린더(78)와, 상기 제1실린더(78)의 실린더본체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2실린더(80)로 이루어지며,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린더(80)는, 그 실린더 본체가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38, 좌측)의 상면에 고정되며, 그 실린더 로드의 단부에 플레이트(82)가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82)는 상기 제1실린더(78)의 실린더본체에 고정된다.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42)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구조인데, 그 상면에는 상기 그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헤드(84)가 고정됨과 동시에 그 좌우 길이방향 양측에 모터 브라켓(87)이 고정된다. 상기 브러쉬 헤드(84)에는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회전가능케 결합되며, 상기 모터 브라켓(87)의 상측에는 상기 모터(46)가 고정된다.
상기 회전브러쉬(44)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88)에 의해 상기 브러쉬 헤드(84)에 회전가능케 결합된 축부재(90)의 단부에 솔 헤드(92)가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솔 헤드(92)는 그 단부에 돼지털 또는 스테인레스 와이어재로 된 솔(92a)이 끼워져 제조된다. 상기 축부재(90)의 단부에는 상기 모터(46)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동시에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도록 인접하는 회전브러쉬(44)에 전동하는 기어(94)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46)는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44)를 일정갯수씩 나누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다수의 벨트(96)를 매개로 상기 회전브러쉬(44)를 구동한다. 상기 회전브러쉬(44)중 일부의 축부재(9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모터(46)로 벨트로 연결되도록 풀리(98)가 설치된다.
상기 밀착 회전롤러(47)는 상기 밀착대(30)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00)에 의해 회전가능케 지지된다. 상기 밀착 회전롤러(47) 및 구동축(58)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이송부재(60)의 앞측에는 이 이송부재를 후진시키도록 스프링(10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에서, 밀착 회전롤러(47)가 없이 밀착대(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섬유 원단에 달팽이 모양의 와류형 원형무늬를 형성할 때에는, 상기 핸들(50)을 회전시켜 이동스크류(52)와 볼너트(54)의 작동으로 밀착대(30)를 전후방향의 적당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섬유 원단(24)이 다수의 가이드롤러(26)(28)에 가이드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어 밀착대(30)와 상기 회전브러쉬(44) 사이를 통과후 일시 정지되면, 이송부재(60)가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송됨과 동시에 다수의 모터(46)의 구동에 따라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회전되면서 섬유 원단(24)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형 원형무늬(110)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체(22)에 설치된 모터(미도시)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면, 구동축(58)에 설치된 캠(36)이 편심회전되면서 그 외주면과 접촉된 롤러(62)를 후측으로 밀게 되고, 이 롤러(62)의 이동에 따라 이송부재(60) 및 전후이송 슬라이더(38)가 동시 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밀착대(30)의 밀착대판(48)에 밀착된섬유 원단(24)의 표면과 다수의 회전브러쉬(44)의 솔(92a) 부분이 일정압력으로 접촉된다.
이때, 다수의 모터(46)가 전원을 인가받아 동시 구동되면, 이 모터(46)의 축과 회전브러쉬(44)의 축부재(90)에 고정된 기어(94)를 연결하는 벨트(96)가 회전되면서 회전브러쉬(44)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회전브러쉬(44) 중 일부는 다수의 모터(46)와 벨트(96)를 매개로 연결되고, 나머지 다수의 회전브러쉬(44)는 그 후단에 각각 고정된 기어(94)를 매개로 서로 기어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회전브러쉬(44)는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되면서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동시 회전되면, 이들 회전브러쉬(44)의 전단에 설치된 솔(92a) 끝단이 섬유 원단(24)의 표면에 돌출된 파일사(부호 도시안됨)를 달팽이모양으로 결이 형성되도록 와류형 원형무늬(11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회전브러쉬(44)의 하부측에 스팀분사노즐(34)은 다수의 회전브러쉬(44)가 섬유 원단(24)의 표면에 접촉되어 와류형 원형무늬(110)를 형성할 때 고온의 스팀(증기)를 분사함으로써 원형무늬(110)가 풀리지 않도록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원형무늬가 형성완료되면 상기 스프링(102)에 의해 이송부재(60)가 앞측으로 이동하여 회전브러쉬(44)의 솔(92a)이 섬유 원단(24)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섬유 원단(24)의 표면측 와류형 원형무늬(110)는 회전브러쉬(44)에 의해 형성될 때 눌려지지 않고 한방향으로 달팽이모양을 갖도록 결이 휘어지면서 스팀분사노즐(34)에 의한 스팀열과 히팅장치(미도시)의 히팅열에 의해 형상이 고정되므로 와류형 원형무늬(110)의 쿠션력 및 촉감이 자연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와류형 원형무늬(110)는 상기 밀착 회전롤러(47)를 떼지 않은 상태로, 상기 밀착 회전롤러(47)와 회전브러쉬(44)의 사이에서도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 작동은 상기 밀착대(30)를 사용할 때와 유사하다.
이하, 섬유 원단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와류형 연속무늬(112)를 형성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와류형 연속무늬(112)는 상기 회전브러쉬(44)를 상기 캠(36)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76)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회전시키면서 행한다.
이 경우, 섬유원단(24)은 상기 밀착 회전롤러(47)에 밀착하여 이송되는데,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작동을 선택 설정함에 의해 밀착 회전롤러(47)를 연속회전시키거나 일시적 부분회전(회전, 정지를 반복)되도록 하여 섬유원단의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선택하게 된다. 회전브러쉬(44)의 회전 및 전후방향 이송은 상기 와류형 원형무늬를 형성할 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회전브러쉬(44)의 솔(92a)이 섬유원단(24)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중에, 제2실린더(80)가 작동하면 좌우이송지지대(42)가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좌우방향으로 연속된 무뉘가 형성된다. 이때 제2실린더(80)의 실린더 로드에 장착된 제1실린더(76)가 작동하면 제1실린더(76) 및 제2실린더(80)의 이송속도차 등에 의해 더욱 다양한 연속무뉘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캠(36)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 필요한 시점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이 실린더(76)에 동작을 지시하여 여러형태의 와류형 연속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실린더(76)의 이동시간, 좌우 이동거리, 이동후 일시 머무는 시간 등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데,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설정된다. 연속무늬의 길이방향 기장은 상기 밀착 회전롤러(47)에 의한 섬유원단의 이송에 따라 정해진다.
형성되는 연속무늬는 회전브러쉬(44)의 솔(92a)의 굵기 선택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솔 헤드(92)는 종류별로 선택하여 교환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에 의하면, 원형으로 솔이 배치된 다수의 회전브러쉬(4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섬유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밀착 또는 선택에 의한 일정시간 동안의 순간밀착과 신속이탈 등의 왕복운동을 반복시켜 와류형 원형무늬는 물론 여러형태의 와류형 장단 연속무늬를 가공할 수 있으며, 회전브러쉬의 무늬 가공위치를 옆으로 옮겼다가 다시 본래 위치로 돌아오는 운동을 반복해서 특수가공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는, 섬유 원단에 와류형 원형 무늬뿐만 아니라 광택이 나는 여러 형태의 와류형 연속무늬를 다양하게 가공함으로써, 쿠션력 및 촉감을 자연 그대로 유지하면서 심미감을 높여 상품가치 및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5)

  1. 본체에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송되는 섬유 원단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수단을 구비한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늬형성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편심회전가능케 설치된 캠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편심회전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전후이송 슬라이더와,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송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한편 좌우이송되는 좌우이송 지지대를 가진 좌우이송수단과,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가로측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케 배열 설치되어 섬유 원단의 표면에 접촉 또는 이탈되는 다수의 회전브러쉬와,
    상기 다수의 회전브러쉬를 동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의 상면에 분산 설치된 다수의 모터와,
    상기 회전브러쉬가 접촉하는 섬유 원단 부분의 이면이 밀착함과 동시에 회전하는 밀착 회전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수단의 좌우이송 지지대는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좌우이송 지지대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실린더본체에 그 실린더 로드가 고정된 제2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에는 상기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캠의 상사점과 하사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와류형 원형무늬를 가공할 시에 섬유 원단을 받치는 밀착대가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KR2020020002262U 2002-01-24 2002-01-24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KR200275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62U KR200275586Y1 (ko) 2002-01-24 2002-01-24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262U KR200275586Y1 (ko) 2002-01-24 2002-01-24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586Y1 true KR200275586Y1 (ko) 2002-05-17

Family

ID=730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262U KR200275586Y1 (ko) 2002-01-24 2002-01-24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576B1 (ko) 2015-11-20 2017-09-26 안동선 웨이브형 장식사 형성장치
KR20220011889A (ko) * 2020-07-22 2022-02-03 신성재 파일원단의 무늬모양 성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576B1 (ko) 2015-11-20 2017-09-26 안동선 웨이브형 장식사 형성장치
KR20220011889A (ko) * 2020-07-22 2022-02-03 신성재 파일원단의 무늬모양 성형장치
KR102401665B1 (ko) 2020-07-22 2022-05-25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무늬모양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03658A1 (zh) 一种纺织面料快速梳理设备
WO1987000218A1 (en) Automatic ironing machine
CN110375532B (zh) 一种纺织烘箱
KR200275586Y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용 다기능 후가공장치
CN211394990U (zh) 一种服装面料用整烫设备
US3641635A (en) Pile-fabric-finish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6391416B (zh) 一种地毯植绒设备及其使用方法
KR100359694B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
KR101531941B1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형성장치
KR200224677Y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
EP2201166A1 (en) Embossing machine transferring pattern on wet flocked fabric
KR101232903B1 (ko) 장식용 띠의 엠보싱 무늬 형성장치
KR200160469Y1 (ko) 파일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CN211368060U (zh) 一种地毯刷毛机
KR200270425Y1 (ko) 인조모피 무늬성형장치
KR101358640B1 (ko) 가죽용 기모형성장치
KR100508913B1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KR101021500B1 (ko) 원단 무늬 생성장치
KR100285553B1 (ko)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JPH0782653A (ja) 不織布起毛装置
KR101144862B1 (ko) 스팡글 원단의 제조장치
KR20010045243A (ko) 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CN111023766A (zh) 一种无纺布生产加工烘干处理整型机械
KR20070028793A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용 스팀노즐
KR100463108B1 (ko) 스팽글 부착장치의 원단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