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913B1 -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 Google Patents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913B1
KR100508913B1 KR1020040033772A KR20040033772A KR100508913B1 KR 100508913 B1 KR100508913 B1 KR 100508913B1 KR 1020040033772 A KR1020040033772 A KR 1020040033772A KR 20040033772 A KR20040033772 A KR 20040033772A KR 100508913 B1 KR100508913 B1 KR 10050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abric
steam
conveyor
wave patter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04003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3Steaming or decatising of fabrics or yar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직물의 표면에 연속 반복되는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물결무늬를 자연스럽게 성형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여 파일직물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급화된 파일직물을 양산할 수 있도록 한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이 형성장치에 의해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공급롤러(20)에서 공급되는 파일직물(F)을 권취롤러(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 상기 컨베이어(4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50); 상기 컨베이어(4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60); 상기 레일(60)의 양측 상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관(70)으로 연결되는 이동대차(80); 상기 이동대차(8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대차이동부재(90); 상기 사각관(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100)으로 장착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파일직물(F)에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00); 상기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f waves in pile fabric and pile fabric patterned with waves}
본 발명은 무수한 융털이 형성된 파일직물의 표면에 연속 반복되는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물결무늬를 자연스럽게 성형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여 파일직물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급화된 파일직물을 양산할 수 있도록 한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이 형성장치에 의해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섬유재질의 향상은 물론, 그 섬유에 형성되는 무늬모양에 대한 기호특성 또한 고급화되어가면서 직물에 평면적이고 단순한 무늬모양보다는 사실적이고 입체적인 질감의 무늬모양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파일직물의 융털을 회전브러시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쓸어 눕혀 가공되지 않은 면과 차이를 가지어 그 표면에 엠보싱을 성형하는 파일직물의 엠보싱 성형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파일직물의 엠보싱 성형장치는 대체적으로 그 엠보싱의 형태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파일직물에 엠보싱이 성형되는 과정을 보면 엠보싱 성형부의 회전브러시 직하부에 파일직물의 원단을 받침판으로 떠받쳐 공급시키고, 이렇게 받침판상에 떠받쳐 공급되는 파일직물에 회전브러시를 적당한 가압력으로 가압하며 그 회전브러시의 회전력으로 융털을 쓰러내려 엠보싱을 성형시키고 있는데, 이렇게 성형되는 엠보싱은 대체적으로 극히 제한적이고 한정적이며 단조로운 형태로 가공되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종래의 엠보싱 성형장치로는 파일직물의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히 개성이 강한 현대인들에게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제공되는 무늬모양과는 차별이 있어야 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파일직물의 엠보싱 성형장치는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태로만 무늬모양을 성형할 수 있었을 뿐 그 밖의 다른 형태, 즉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물결모양의 무늬는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무수한 융털이 형성된 파일직물의 표면에 연속 반복되는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물결무늬를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성형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실시하지 못했던 다양한 물결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킨 차별화 된 파일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여 파일직물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급화된 파일직물을 양산할 수 있도록 한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에 공급롤러에서 공급되는 파일직물을 권취롤러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 상부에 받침판을 배치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의 양측 상부에 사각관으로 연결되는 이동대차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사각관에 이동대차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대차이동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사각관의 하부에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파일직물에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팀노즐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으로 장착하며, 상기 스팀노즐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을 연결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는 도 1 내지 도 1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공급롤러(20)에서 공급되는 파일직물(F)을 권취롤러(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 상기 컨베이어(4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50); 상기 컨베이어(4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60); 상기 레일(60)의 양측 상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관(70)으로 연결되는 이동대차(80); 상기 이동대차(8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대차이동부재(90); 상기 사각관(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100)으로 장착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파일직물(F)에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00); 상기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결무늬 형성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은 컨베이어(40)와 레일(60) 및 스팀공급관(300)을 지지한다.
상기 공급롤러(20)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급롤러(20)에는 직조된 파일직물(F)이 감겨져 컨베이어(40)로 공급된다.
상기 권취롤러(30)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권취롤러(30)에는 본 발명에 따라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F)이 최종적으로 권취된다.
상기 컨베이어(40)는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공급롤러(20)에서 공급되는 파일직물(F)을 권취롤러(30)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컨베이어(40)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소정의 폭을 갖는 벨트가 탄력적으로 감겨져 구동롤러의 구동과 함께 연동되는 종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가 회동하면서 도 1의 화살표와 같은 방향으로 파일직물(F)을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40)는 파일직물(F)의 이송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50)은 도 5에서와 같이 컨베이어(4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받침판(50)은 물결무늬 형성 시 컨베이어(40)의 벨트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판(50)은 물결무늬 형성 시 스팀노즐(20)이 파일직물(F)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컨베이어(40)의 벨트와 파일직물(F)을 받쳐준다.
상기 레일(60)은 도 5에서와 같이 컨베이어(4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일(60)은 이동대차(80)의 좌우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레일(60)은 안내봉(61)에 끼워져 전후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대차(80)는 도 7에서와 같이 레일(60)의 양측 상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관(70)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대차(80)의 전후방 측면과 하부에는 레일(60)을 따라 구동하는 바퀴(81)가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양측 이동대차(80)를 연결시켜주는 사각관(70)에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00)이 지지된다.
상기 대차이동부재(90)는 이동대차(8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대차이동부재(90)는 도 7에서와 같이 사각관(70)의 일측 후방으로 부착되는 레버(91)와, 상기 레버(91)에 축으로 연결되는 링크(92)와, 상기 링크(92)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는 구동원판(93)과, 상기 구동원판(93)을 구동시키는 구동축(9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대차이동부재(90)는 이동대차(80)의 이동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차이동부재(90)의 구동축(94)은 프레임(10)에 베어링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이동부재(90)의 구동축(94)을 구동시키면 구동원판(93)이 구동하고, 구동원판(93)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된 링크(92)가 동시에 구동하면서 레버(91)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구동축(94)과 구동원판(93)의 회전운동이 링크(92)와 레버(91)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대차(80)가 좌우로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팀노즐(200)은 사각관(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100)으로 다수개가 장착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파일직물(F)에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스팀노즐(200)은 도 6에서와 같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후방으로 이송되는 파일직물(F)의 표면 융털을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쓸어 눌러서 물결무늬를 자연스럽게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100)은 스팀노즐(200)을 이송되는 파일직물(F)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스팀노즐(200)에는 고온고압의 스팀이 공급된다.
도 9a와 도 9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노즐(200)의 하단 외주면에는 테이퍼(210)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210)에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노즐구멍(220)이 천공된다.
도 10a와 도 10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노즐(200)은 상부체(230)와 하부체(240)로 분리되고, 상기 상부체(230)와 하부체(240)는 서로 나사결합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스팀노즐(200)의 상부체(230)에는 수나사(23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240)에는 수나사(231)에 결합되는 암나사(241)가 형성된다.
도 11a와 도 11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노즐(200)의 저면 가장자리에 적정간격을 두고 동심원상으로 다수개의 노즐구멍(220)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노즐(200)의 중앙 상부에는 스팀공급관(300)에 연결되어 고온고압의 스팀을 유입시키는 연결관(250)이 장착된다.
상기 스팀공급관(300)은 스팀노즐(200)에 고온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팀공급관(300)에는 다수개의 밸브들이 설치되고, 상기 스팀공급관(3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밸브와 각 스팀노즐(200)의 연결관(250)이 호스로 각각 연결된다.
한편,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본 발명의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은 도 12와 도 13에서와 같이, 통상의 파일직물(F)에 있어서, 상기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에 따라 파일직물(F)의 표면으로 물결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베이어(40)와 대차이동부재(90)를 구동시키고 또한 스팀공급관(200)의 밸브를 열어 스팀노즐(200)에 고온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면, 도 1에서와 같이 공급롤러(20)에 권취된 파일직물(F)은 컨베이어(40)를 통해 화살표와 같이 프레임(10)의 후방으로 서서히 이송하면서 권취롤러(30)에 권취되고, 도 6에서와 같이 이동대차(80)는 대차이동부재(90)에 의해 화살표와 같이 레일(60)을 따라 서서히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스팀노즐(200)은 이동대차(80)와 함께 서서히 좌우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대차노즐구멍(220)으로 고온고압의 스팀을 분출시키면서 가열된다. 이때, 상기 스팀노즐(200)은 스프링(100)에 의해 파일직물(F)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서서히 좌우로 왕복 이동하고, 컨베이어(40)의 내측 상부에는 받침판(50)이 배치되었기 때문에 이송되는 파일직물(F)이 밑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파일직물(F)은 컨베이어(40)에 의해 후방으로 서서히 이송되고, 이와 동시에 스팀노즐(200)이 고온고압의 스팀을 분출시킴과 동시에 서서히 좌우로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스팀노즐(200)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파일직물(F)의 융털을 도 13에서와 같이 이송되는 진행방향으로 쓸어 눌러서 물결무늬를 자연스럽게 형성시키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팀노즐(200)을 통해 그 표면으로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F)은 계속 후방으로 서서히 이송하면서 도 1에서와 같이 권취롤러(30)에 권취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물결무늬 형성 시 파일직물(F)의 이송속도와 이동대차(8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면 도 14a,14b,14c에서와 같이 파일직물(F)에 형성되는 물결무늬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파일직물(F)과 이동대차(80)를 아주 느린 속도로 작동시키면 도 14a에서와 같이 파일직물(F)의 물결무늬는 직선에 가까운 완만한 파형으로 형성되고, 파일직물(F)과 이동대차(80)를 보다 빠른 속도로 작동시키면 도 14c에서와 같이 파일직물(F)의 물결무늬는 굴곡이 급격한 파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파일직물(F)과 이동대차(80)를 중간 속도로 작동시키면 도 14b에서와 같이 파일직물(F)의 물결무늬는 중간정도의 파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40)로 파일직물(F)을 서서히 이송시키면서 좌우로 왕복 이동하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00)을 통해 파일직물(F)의 표면에 연속 반복되는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물결무늬를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실시하지 못했던 다양한 물결무늬를 파일직물(F)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킨 차별화 된 파일직물(F)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여 파일직물(F)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고급화된 파일직물(F)을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일직물의 표면에 연속 반복되는 아름답고 고급스러운 물결무늬를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원하는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실시하지 못했던 다양한 물결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향상시킨 차별화 된 파일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여 파일직물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급화된 파일직물을 양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노즐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a,10b는 스팀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1,11b는 스팀노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물결무늬가 형성된 파일직물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A - A선 단면도.
도 14a,14b,14c는 본 발명에 따른 물결무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20 : 공급롤러
30 : 권취롤러 40 : 컨베이어
50 : 받침판 60 : 레일
70 : 사각관 80 : 이동대차
81 : 바퀴 90 : 대차이동부재
91 : 레버 92 : 링크
93 : 구동원판 94 : 구동축
100 : 스프링 200 : 스팀노즐
210 : 테이퍼 220 : 노즐구멍
230 : 상부체 240 : 하부체
300 : 스팀공급관 F : 파일직물

Claims (7)

  1.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공급롤러(20)에서 공급되는 파일직물(F)을 권취롤러(30)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40); 상기 컨베이어(4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50); 상기 컨베이어(4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60); 상기 레일(60)의 양측 상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각관(70)으로 연결되는 이동대차(80); 상기 이동대차(8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는 대차이동부재(90); 상기 사각관(70)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100)으로 장착되어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파일직물(F)에 물결무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스팀노즐(200); 상기 스팀노즐(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관(300)을 포함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80)의 전후방 측면과 하부에는 레일(60)을 따라 구동하는 바퀴(81)가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이동부재(90)는 사각관(70)의 일측 후방으로 부착되는 레버(91)와, 상기 레버(91)에 축으로 연결되는 링크(92)와, 상기 링크(92)에 편심된 상태로 연결되는 구동원판(93)과, 상기 구동원판(93)을 구동시키는 구동축(9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200)의 하단 외주면에는 테이퍼(210)가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210)에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노즐구멍(220)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200)은 상부체(230)와 하부체(240)로 분리되고, 상기 상부체(230)와 하부체(240)는 서로 나사결합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노즐(200)의 저면 가장자리에 적정간격을 두고 동심원상으로 다수개의 노즐구멍(220)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7. 파일직물(F)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의 장치에 따라 파일직물(F)의 표면으로 물결무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KR1020040033772A 2004-05-13 2004-05-13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KR10050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72A KR100508913B1 (ko) 2004-05-13 2004-05-13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72A KR100508913B1 (ko) 2004-05-13 2004-05-13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913B1 true KR100508913B1 (ko) 2005-08-18

Family

ID=3730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72A KR100508913B1 (ko) 2004-05-13 2004-05-13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9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288B1 (ko) 2008-06-17 2015-02-04 서동호 광섬유 원단의 노치 형성장치
KR101531941B1 (ko) * 2014-01-17 2015-06-26 주식회사 대창비에스 파일직물의 물결무늬형성장치
KR101671916B1 (ko) * 2015-12-10 2016-11-02 한국이엠 주식회사 섬유강화 플라스틱 제조기의 섬유공급장치
KR101671922B1 (ko) * 2015-11-16 2016-11-03 한국이엠 주식회사 섬유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의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288B1 (ko) 2008-06-17 2015-02-04 서동호 광섬유 원단의 노치 형성장치
KR101531941B1 (ko) * 2014-01-17 2015-06-26 주식회사 대창비에스 파일직물의 물결무늬형성장치
KR101671922B1 (ko) * 2015-11-16 2016-11-03 한국이엠 주식회사 섬유강화 플라스틱 화합물의 제조장치
KR101671916B1 (ko) * 2015-12-10 2016-11-02 한국이엠 주식회사 섬유강화 플라스틱 제조기의 섬유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35010A (zh) 一种纺织面料快速梳理设备
CN101775708B (zh) 汽车内饰件毡自动成型机
CN106906601A (zh) 一种布料的连续压花装置
KR100508913B1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 및 물결무늬가 형성된파일직물
CN110258041B (zh) 用于床单缝制裁切的张紧系统
CN203807750U (zh) 一种多色电脑提花簇绒机高割低圈勾绒系统及簇绒机
CN114750010A (zh) 一种陶瓷自动利坯打磨设备
KR101531941B1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형성장치
CN114059394A (zh) 纸浆模塑制品制造方法及湿坯二次转移式纸浆模塑成型机
KR100939934B1 (ko) 의류용 스팽글 가공 부착장치
NZ214931A (en) Apparatus for internally embossing trays
KR20070028793A (ko) 파일직물의 물결무늬 형성장치용 스팀노즐
KR200160469Y1 (ko) 파일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KR101831491B1 (ko) 파일 직물의 이중 무늬 성형장치 및 이를 통하여 성형되는 직물
KR200415612Y1 (ko) 반짝이 원단 제조장치
CN209537804U (zh) 一种纤维簇干巾生产线
CN103506236A (zh) 立棉喷胶机
CN207523158U (zh) 一种布料和橡胶火焰复合机
CN212493596U (zh) 一种石英石仿大理石喷纹装置
US4504209A (en) Tortilla making apparatus
KR19980037346A (ko) 멤브레인 프레스장치
CN214257878U (zh) 一种自动化喷浆装置
CN105386348A (zh) 一种追踪式印花植绒装置
CN111778675A (zh) 一种仿蜡印花面料仿提花的工艺
CN2411270Y (zh) 多次重复吸浆自动成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