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52Y1 - 조립용 금속 기와 - Google Patents

조립용 금속 기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52Y1
KR200275352Y1 KR2020020004850U KR20020004850U KR200275352Y1 KR 200275352 Y1 KR200275352 Y1 KR 200275352Y1 KR 2020020004850 U KR2020020004850 U KR 2020020004850U KR 20020004850 U KR20020004850 U KR 20020004850U KR 200275352 Y1 KR200275352 Y1 KR 200275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tile
fastening
male
stepp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성
Original Assignee
정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성 filed Critical 정해성
Priority to KR2020020004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52Y1/ko

Links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암기와와 숫기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숫기와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쇠가 상기 숫기와와 암기와에 더욱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한 조립용 금속 기와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하향으로 절곡된 전방걸림턱, 후방에 'ㄱ'형으로 절곡된 후방걸림턱으로 된 암기와와, 전방면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숫기와 4 ~ 6개가 교대로 배열된 상태로 일체결합된 기와; 중앙부에 형성된 통풍구,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 상기 통풍구의 하측에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면, 상기 절곡면과 하측의 절곡부에 형성된 체결공, 상기 절곡부의 상측 중앙면과 절곡부의 측방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편과 연결편으로 된 고정쇠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로 된 기와 중 가장 외측에 있는 숫기와의 측부가 절곡된 측부절곡면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장 외측에 있는 암기와의 측부에 제1계단면과 제2계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2계단면의 전방에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숫기와의 측부절곡면이 상기 암기와의 제1계단면과 접하면서 제2계단면에 형성된 연결홈에는 고정쇠의 연결편이 결합됨으로 상기 기와가 횡방향으로 연속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임.

Description

조립용 금속 기와{Prefabricated metal tile}
본 고안은 지붕에 기와를 시공하기 위해 리벳팅이나 스크류고정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됨으로 인해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이 복잡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복수의 암기와와 숫기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숫기와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쇠가 상기 숫기와에 더욱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조립용 금속 기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기와는 점토 기와 또는 시멘트 기와와는 달리 금속판을 전통적인 기와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무게가 가볍고 내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우수한 외관미를 연출하여 근래에 이르러 건축지붕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금속 기와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734호(공고번호 제90-318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널(1) 위에 타이트프레임(5)을 종·횡방향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스크류 및 나사못으로 고정한 다음, 타이트프레임(5)사이에 암막새막새(6), 암막새기와(7), 암기와(8)의 각 걸림턱(9,12)과 지지턱(10,13)을 걸어 맞추면서 그 양단(11,14)이 양측 타이트프레임(5)의 벤딩 지지턱(4,4')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암기와(8) 등의 양단(11,14)에 브라켓트(16,16')의 고정부(17)를 대고 스크류로 고정하며, 숫막새(18) 및 숫기와(19)를 타이트프레임(5)의 반구형 벤딩부(3)로 밀어넣으면서 숫막새(18) 및 숫기와(19)의 양단이 타이트프레임(5)의 양측에 조립된 브라켓트(16,16')의 지지부(17')에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숫기와(19)와 타이트프레임(5)의 반구형 벤딩부(3)를 리벳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립용 금속 기와는 암기와(8) 및 숫기와(19)를 조립하기 위해 타이트프레임(5)에 별도의 브라켓트(16,16')를 설치하여야 하며, 특히 이 브라켓트(16,16')를 매개로 타이트프레임(5)에 암기와(8)를 고정하거나 숫기와(19)를 고정함에 있어 대량의 스크류고정작업 또는 리벳팅작업이 수반됨으로써, 구성부품수가 많아 설치비용이 높고 조립이 복잡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의 암기와와 숫기와가 일체로 된 기와를 성형함과 아울러 이 기와를 지지하는 고정쇠를 기계적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면서 상기 기와와 별도의 스크류 고정작업이나 리벳팅 작업 없이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부품수의 삭감과 조립공수의 감소로 비용절감은 물로, 조립작업의 효율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립용 금속 기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 금속 기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2b는 본 고안의 고정쇠와 기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용 금속 기와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용 금속 기와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쇠 11 : 통풍구
12 : 절곡부 13 : 절곡면
14 : 체결공 15 : 체결편
16 : 연결편 20(20a, 20b) : 기와
21 : 전방걸림턱 22 : 후방걸림턱
23 : 체결홈 24 : 측부절곡면
25a, 25b : 제1,2계단면 26 : 연결홈
30 : 조립용 금속 기와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설치과정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에 하향으로 절곡된 전방걸림턱(21), 후방에 'ㄱ'형으로 절곡된 후방걸림턱(22)으로 된 암기와(20a)와,전방면에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는 숫기와(20b) 4 ~ 6개가 교대로 배열된 상태로 일체결합된 기와(20);
중앙부에 형성된 통풍구(11),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2), 상기 통풍구(11)의 하측에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면(13), 상기 절곡면(13)과 하측의 절곡부(12)에 형성된 체결공(14), 상기 절곡부(12)의 상측 중앙면과 절곡부(12)의 측방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편(15)과 연결편(16)으로 된 고정쇠(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로 된 기와(20) 중 가장 외측에 있는 숫기와(20b)의 측부가 절곡된 측부절곡면(2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장 외측에 있는 암기와(20a)의 측부 역시 2번 수직절곡됨으로 제1계단면(25a)과 제2계단면(25b)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2계단면(25b)의 전방에는 연결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숫기와(20b)의 측부절곡면(24)이 상기 암기와(20a)의 제1계단면(25a)과 접하면서 제2계단면(25b)에 형성된 연결홈(26)에는 고정쇠(10)의 연결편(16)이 결합됨으로 상기 기와(20)가 횡방향으로 연속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 2b는 본 고안의 조립용 금속 기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고정쇠, 20은 기와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쇠(10)는 전면 중앙에 통풍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풍구(11)의 하측으로는 고정쇠(10)의 전면 일부가 반원형으로 절개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수직절곡된절곡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절곡면(13) 하측과 상기 절곡부(12) 하측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풍구(11)는 금속 기와의 조립시 내외부로 공기가 통과되게 하여 기와(20)의 시공 후에도 환기가 가능하게 한 것이고 상기 절곡부(12)는 기와(20)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판에 고정쇠(10)가 설치될 때에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부(12)의 상측 중앙면과 측방면에는 위로 돌출된 체결편(15)과 연결편(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편(15)은 후술하는 숫기와(20b)의 체결홈(23)을 관통한 후 체결홈(23)을 수직으로 구부림으로써 숫기와(20b)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며, 상기 연결편(16) 역시 후술하는 암기와(20a)의 제2계단면(25b)에 형성된 연결홈(26)을 관통한 후 연결편(16)을 수직으로 구부림으로써 암기와(20a)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다.
도 2b는 숫기와(20b)와 암기와(20a)가 일체로 된 기와(2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암기와(20a)의 구성을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률을 가진 몸체로 되어 있으면서 전방에는 하향으로 절곡된 전방걸림턱(21)과, 후방에는 'ㄱ'형 단면으로 절곡된 후방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걸림턱(21)과 후방걸림턱(22)은 기와(20)를 시공할 때에 종방향으로 기와를 결합하기 위하여 앞쪽에 있는 암기와(20a)의 후방걸림턱(22)에 다른 암기와(20a)의 전방걸림턱(21)이 걸리게 함으로써, 단아하게 늘어선 모양을 꾸밀 수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숫기와(20b)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방면의 중앙에는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기와(20)는 상기 암기와(20a)와 숫기와(20b)를 교대로 횡방향 배열한 다음, 이를 일체로 결합하여 성형된 것이다.
이때, 상기 기와(20)의 오른쪽에는 숫기와(20b)가, 왼쪽에는 암기와(20a)가 일체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오른쪽의 숫기와(20b)는 측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측부절곡면(2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측부절곡면(24)의 전방에는 연결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왼쪽의 암기와(20a)는 측부가 2번 절곡되어 제1,2계단면(25a,25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계단면(25b)의 전방에는 연결홈(2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기와(20)를 횡방향으로 연속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준이 되는 기와(20)를 1번기와라 하고 이 1번기와에 횡방향 연결될 기와를 2번기와라 가정하면, 상기 1번기와의 체결홈(23)에 고정쇠(10)를 각각 결합하고 연결홈(26)에도 고정쇠(10)의 연결편(16)을 결합한 상태에서, 2번기와의 측부절곡면(24)을 1번기와의 제1계단면(25a) 위에 접하게 하면서 1번기와의 연결홈(26)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고정쇠(10)의 체결편(15)이 2번기와의 체결홈(23)에 결합됨으로써, 1번기와와 2번기와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암기와(20a)의 연결홈(26)에 결합되는 고정쇠(10)가 아닌 숫기와(20b)의 체결홈(23)에 결합되는 고정쇠(10)에는 연결편(16)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암기와(20a)와 숫기와(20b)가 일체로 되어 있고 고정쇠(10)의 체결편(15)이 숫기와(20b)의 체결홈(23)에 간편하게 조립될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연속결합하기 위해 상기 암기와(20a)의 연결홈(26)과 고정쇠(10)의 연결편(16)이 결함됨과 동시에 이 고정쇠(10)의 체결편(15)을 횡바향 결합될 기와(20)의 연결홈(26)에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리벳팅이나 고정작업 없이 간편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삭감과 조립공수의 감소로 비용절감과 조립작업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용 금속 기와(30)가 완성된다.
이제, 도 4와 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조립용 금속기와의 조립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립용 금속 기와(30)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판(40)을 구비해야 하는 바, 상기 기초판(40)은 예컨대 지붕에 일정간격으로 각재(41)를 설치하고 이 각재 위에 내수합판(42)을 설치한 후, 통상 방수성의 지붕재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루핑펠트(43)를 깔고 그 위에 프레싱 금속판을 결합하여 아루어진 것이다.
다음으로, 시공상 편의를 위해 상기 기초판(40)에 일정간격으로 선을 그린 후에 고정쇠(10)를 기초판(4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체결수단이 체결공에 관통됨으로 설치되고 여기에 기와(20)를 시공하게 되는 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쇠(10)의 체결편(15)을 체결홈(23)에 관통시키면서 수직으로 구부려 결착되게함과 아울러 제2계단면(25b)에 형성된 연결홈(26)에 고정쇠(10)의 연결편(16)을 관통시키면서 구부려 결착되게 하고, 횡방향으로 연속결합할 때에는 또 다른 기와(20)의 측부절곡면을 제1계단면(25a) 위에 접하게 하면서 상기 고정쇠(10)의 체결편(15)을 또다른 기와(20)의 체결홈(23)에 관통시키면서 구부려 결착되게 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방향으로 조립용 금속 기와(30)를 시공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기와(20a)의 전방걱림턱(21)이 앞쪽에 있는 다른 암기와(20a)의 후방걸림턱(22)과 맞물리면서 서로 걸리게 되어 종방향으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실시예는 고안의 재질을 금속으로 설명하였으나, 동과 같은 비철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용 금속 기와에 의하면 암기와와 숫기와가 일체로 된 기와와, 상기 기와에 결착되는 고정쇠의 구조를 리벳팅이나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 조립만으로 결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부품수의 삭감과 조립공수의 감소로 비용절감을 하고 조립작업의 효율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전방에 하향으로 절곡된 전방걸림턱(21), 후방에 'ㄱ'형으로 절곡된 후방걸림턱(22)으로 된 암기와(20a)와, 전방면에 체결홈(23)이 형성되어 있는 숫기와(20b) 4 ~ 6개가 교대로 배열된 상태로 일체결합된 기와(20);
    중앙부에 형성된 통풍구(11), 테두리부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2), 상기 통풍구(11)의 하측에 전방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면(13), 상기 절곡면(13)과 하측의 절곡부(12)에 형성된 체결공(14), 상기 절곡부(12)의 상측 중앙면과 절곡부(12)의 측방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편(15)과 연결편(16)으로 된 고정쇠(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로 된 기와(20) 중 가장 외측에 있는 숫기와(20b)의 측부가 절곡된 측부절곡면(2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가장 외측에 있는 암기와(20a)의 측부 역시 2번 수직절곡됨으로 제1계단면(25a)과 제2계단면(25b)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2계단면(25b)의 전방에는 연결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숫기와(20b)의 측부절곡면(24)이 상기 암기와(20a)의 제1계단면(25a)과 접하면서 제2계단면(25b)에 형성된 연결홈(26)에는 고정쇠(10)의 연결편(16)이 결합됨으로 상기 기와(20)가 횡방향으로 연속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용 금속 기와.
KR2020020004850U 2002-02-19 2002-02-19 조립용 금속 기와 KR200275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50U KR200275352Y1 (ko) 2002-02-19 2002-02-19 조립용 금속 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850U KR200275352Y1 (ko) 2002-02-19 2002-02-19 조립용 금속 기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52Y1 true KR200275352Y1 (ko) 2002-05-11

Family

ID=7311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850U KR200275352Y1 (ko) 2002-02-19 2002-02-19 조립용 금속 기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28B1 (ko) * 2015-02-13 2016-08-17 (주)가보기와 암기와 고정구
KR20160099816A (ko) * 2015-02-13 2016-08-23 임직수 숫기와 고정구
KR20170114133A (ko) * 2016-04-05 2017-10-13 임직수 토기와 건식 시공방법 및 토기와 건식 잇기 구조
KR102115485B1 (ko) * 2020-02-18 2020-05-26 에이티엔 주식회사 티타늄 외장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528B1 (ko) * 2015-02-13 2016-08-17 (주)가보기와 암기와 고정구
KR20160099816A (ko) * 2015-02-13 2016-08-23 임직수 숫기와 고정구
KR101665658B1 (ko) 2015-02-13 2016-10-13 (주)가보기와 숫기와 고정구
KR20170114133A (ko) * 2016-04-05 2017-10-13 임직수 토기와 건식 시공방법 및 토기와 건식 잇기 구조
KR101881122B1 (ko) * 2016-04-05 2018-07-23 임직수 토기와 건식 시공방법 및 토기와 건식 잇기 구조
KR102115485B1 (ko) * 2020-02-18 2020-05-26 에이티엔 주식회사 티타늄 외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3575B2 (en) Joint member
JP4656664B2 (ja) タイルおよびその止め具
KR200275352Y1 (ko) 조립용 금속 기와
JP2008502821A (ja) 建築システム
JPH02129536U (ko)
KR200264267Y1 (ko) 조립용 동 기와
JP389493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架台
KR100321102B1 (ko) 조립용 동 기와 및 그 조립방법
CN211548522U (zh) 一种带装饰面的装饰面板用连接结构
JP2502596B2 (ja) 屋根材
KR200452845Y1 (ko) 금속지붕의 용마루 장식구
CN101525931A (zh) 屋顶板的连接结构
CN218508834U (zh) 一种便于拼装的瓦屋面用挂瓦构件
KR200250278Y1 (ko) 조립 동기와 세트
JP3163229B2 (ja) 軒先の瓦の支持構造
JP7161324B2 (ja) 取付構造
CN211421615U (zh) 一种仿古金属瓦屋面结构
KR200250318Y1 (ko) 동판기와용 암막새
JPH0649953A (ja) タイルブロック製屋根
JP2507539Y2 (ja) 屋根パネルの接続構造
JP3437378B2 (ja) 瓦棒取付構造
KR200370380Y1 (ko) 장식기능을 갖는 지붕의 마루용 마감장치
JP3811389B2 (ja) 平板屋根材の軒先葺設構造
JPH10299226A (ja) 床化粧材
JP2507540Y2 (ja) 屋根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