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300Y1 - Air suspension device - Google Patents

Air suspens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300Y1
KR200275300Y1 KR2020020004045U KR20020004045U KR200275300Y1 KR 200275300 Y1 KR200275300 Y1 KR 200275300Y1 KR 2020020004045 U KR2020020004045 U KR 2020020004045U KR 20020004045 U KR20020004045 U KR 20020004045U KR 200275300 Y1 KR200275300 Y1 KR 200275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pring
hanger bracket
air susp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0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대특장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대특장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대특장차
Priority to KR2020020004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3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300Y1/en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과 에어 스프링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를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 사이에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의 구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 역시 차량 프레임에 바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켜 구성하므로서, 종래 발생하였던 에어 스프링 및 쇼바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그 적정수명이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과 로드빔 사이에 쇼바를 장착 고정시키는 쇼바 고정작업이 종래 협소 공간에서 고정하는 쇼바 고정작업에 비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와 함께,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의해 종래 외국에서 거의 수입해오던 공기 현가장치의 수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수입대체효과가 매우 큰 탁월한 효과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onventional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is mounted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air spring fixed bar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to the fixed ro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eam and the hanger bracket, the air spring is also configured to b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fram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ir spring and the showbar, which has occurred in the past, and its proper lifetim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o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shobar fixing work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hobar between the hanger bracket and the road beam is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shobar fixing work for fixing in a narrow spac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re greatly improved, The air suspension for trai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reatly reduce the amount of imported air suspension, which has been almost imported from the past,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f import substitution.

더욱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동장치 사용빈도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연비가 크게 절감됨과 동시에, 타이어의 수명 역시 30% 연장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Furthermore, since the shock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is absorbed and alleviated, the use of the braking devic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fuel consumption, and at the same time, extending the life of the tire by 30%.

Description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Air suspension device}Air suspension device for trailers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과 에어 스프링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를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 사이에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의 구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 역시 차량 프레임에 바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켜 구성하므로서, 종래 발생하였던 에어 스프링과 쇼바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그 적정수명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and more specifically, a shobar mounted between a load beam and an air spring among the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can be fixed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so as to change the structure, the air spring is also configured to b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frame,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air spring and the showbar, which has occurred in the past, and its proper lifespan. An air suspension for a trailer that can be improved.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현가장치 중 콘테이너 박스 등을 운반하는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종래의 공기 현가장치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축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조절하여 차체에 적재되는 하중에 따라 차량의 지상고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자세를 안정되게 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general, a conventional air suspension system mounted on a trailer carrying a container box, etc. of the suspension system mounted on a vehicle is a compressed air to reduc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while driving to improve ride comfort. The posture was stabilized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ground clear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load on the vehicle body by adjusting the supply and discharge.

종래의 공기 현가장치(100)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행거 브라켓(110) 및 로드빔(120), 에어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에어 스프링(130)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드빔(120) 일측면서부터 상기 에어 스프링(130) 상단부까지 쇼바(140)가 연결된 구성도이다. 미 설명부호 121, 131 은 쇼바고정부재이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air suspension device 100 includes a hanger bracket 110, a load beam 120, and an air spring 130, and particularly, an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a road surface to a vehicle body. In order to dampen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of the air spring 130 to mitigate the side of the load beam 120 from the side of the air spring 1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hobar 140 is a configuration diagram connected. Reference numerals 121 and 131 are shock absorbing members.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현가장치(100)에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로드빔(120)과 에어 스프링(130)을 연결하고 있는 쇼바(140)가 1차적으로 상기 충격(력)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행거 브라켓(110)을 지점으로 기준할 때 상기 브라켓(110)에 연결 고정된 로드빔(120)의 힌지작용에 의해 상기충격(력)이 에어 스프링(130)으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충격(력)이 전달된 에어스프링(130)은 공기가 토출된 양만큼 압축되면서 상기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게 된다.When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is applied to the air suspens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hock absorber 140 connecting the load beam 120 and the air spring 130 is primarily applied to the impact ( And the shock (force) by the hinge action of the fixed load beam 120 connected to the bracket 110 when the hanger bracket 110 is referenced as a point. The air spring 130 to which the impact (force)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compressed by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mitig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에어 스프링(130)의 압축으로 충격(력) 완화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130)에 일정량의 공기가 공급되어 원상태의 에어 스프링(130) 높이 즉, 타 에어 스프링(130)의 높이와 수평이 유지되는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Then, when the shock (force) mitigation process is finished by the compression of the air spring 130,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supplied to the compressed air spring 130, that is, the height of the air spring 130 of the original state, that is, other air spring ( 130 is restored to a state where the height and level are maintained.

이렇게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130)에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시켜 원상태의 에어 스프링(130) 높이로 복원되는 에어 스프링(130)의 압축 및 복원과정은 도 2 에 도시된 공기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mpression of the air spring 130 is restored by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the air spring 130 is restored to the original height of the air spring 130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to the compressed air spring 130 and The resto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air flow diagram shown in FIG.

이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에어 스프링(130)들이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된 에어 라인 시스템 중 노면으로부터 작용되는 충격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에어 스프링(130)이나 또는 서로 이웃된 에어 스프링(130)들이 압축되게 되면, 상기 에어 스프링(130) 내에 차여있는 공기가 상기 에어 스프링(130) 외부로 토출되면서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130)과 다른 에어 스프링(130)과의 좌우 편차(높이차)가 발생하게 되어 차체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에어 스프링(130)들의 높이차에 따라 차체가 불균형을 이루게 되면, 차체의 쏠림이나 탑재된 콘테이너 등 적재물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스프링(130)들 내의 공기 양을 제어하는 레벨링 컨트롤 밸브(Height & Leveling Control Valve)(53)의작동에 따라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130)으로 공기가 주입되면서 이웃한 에어 스프링(130)들과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게 되고, 상기와 같이 에어 스프링(130)들의 높이가 서로 수평하게 되면, 더 이상 공기가 에어 스프링(130) 내로 주입되지 않도록 컨트롤 링크(54)가 상기 레벨링 컨트롤 밸브(53)를 제어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one of the air springs 130 or adjacent air springs 130 is adjacent to each other by an impact force applied from a road surface of an air lin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springs 130 ar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When the air is compressed, the air charged in the air spring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spring 130 while the left and right deviation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mpressed air spring 130 and the other air spring 130 is When the vehicle body is imbalanced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air springs 130, as described above, the air spring to prevent the vehicle body from tilting or loading of a load such as a mounted container is prevented. To the compressed air spring 13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Height & Leveling Control Valve 53 which controls the amount of air in the When the air is injected, the air springs 130 are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heights of the adjacent air spring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ights of the air springs 130 are horizontal to each other, the air is no longer injected into the air springs 130. The link 54 controls the leveling control valve 53.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에어 스프링(130)의 작용에 의해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공기 현가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120)과 상기 로드빔(120)에 안착되는 에어 스프링(130) 사이의 지지판(스프링 안착부)(122)이 협소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서포트 앵글로서 적정하중을 분산시키기가 어려워 상기 에어 스프링(130)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에어 스프링(130)이 파손되게 되어 적정수명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load beam 120 and the load beam 120 of the components of the air suspension device 100 to mitig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by the action of the air spring 13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late (spring seating portion) 122 between the air spring 130 to be seated is a support angle for supporting the load is narrow,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the proper load, the air spring 130 whil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air spring 130 ), There is a big problem that can not be maintained due to breakage.

또한, 상기 에어 스프링(130)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는 쇼바(140)의 경우, 그 설치위치가 에어 스프링(130)과 같은 방향 즉, 상기 로드빔(120) 일측면서부터 상기 에어 스프링(130) 상단부에 위치되어 도 1 과 같이 상기 로드빔(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쇼바고정부재(121)와 상기 에어 스프링(130)의 상단에 설치된 쇼바고정부재(13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상기 쇼바(140)의 고정작업시 상기 로드빔(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쇼바고정부재(121)와 다른 부재들간의 간격이 좁아 쇼바(140)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원활하지 않아 작업자가 크게 불편을 겪는 등 상기 쇼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쇼바(140) 고정작업의 불편함에 의해 상기 쇼바(140)와 쇼바고정부재(121)(131)간의 고정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상기로드빔(120)과 에어 스프링(130)에 고정된 쇼바고정부재(121)(131)들이 이탈 분리되면서 쇼바(140)가 다른 부재들과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등 쇼바(140)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hock absorber 140 for damp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of the air spring 130,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spring 130, that is, the air beam 130 from one side of the load beam 120 Located in the upper end is fixed by the shoba fixing member 121 and the shoba fixing member 131 installed on the top of the air spring 130,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ad beam 120 as shown in FIG. When the fixing operation of the 140, the interval between the shoba fixing member 121 and the other member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ad beam 120 is narrow, the operation of fixing the shoba 140 is not smooth, the operator suffers a great inconvenienc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for fixing the showbar 140 is greatly lowered, and in particular, between the showbar 140 and the showbar fixing member 121 and 131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showbar 140 fixing operation. Not fully secured, or As the shobar fixing members 121 and 131 fixed to the gird beam 120 and the air spring 130 are separated and separated, the shobar 140 may be damaged by collision with other members. There was also a big problem of being greatly shortened.

더욱이, 상기 에어 스프링(130)의 경우,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고루 분산시켜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 프레임(50)이 에어 스프링(130)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130)을 지지해야 하지만, 도 6의 (a)처럼 상기 에어 스프링(130) 상단엔 상기 로드빔(120)과 함께 쇼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쇼바고정부재(131)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쇼바고정부재(131)에 의해 에어 스프링(130)이 차량 프레임(50)에 편중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 스프링(130)으로 전달된 충격(력)이 고루 분산되지 않고 편중된 부분에 집중하중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하중에 의해 에어 스프링(130)이 쉽게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ir spring 130, in order to evenly dissip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he vehicle frame 5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air spring 130 to support the air spring 130 However, as shown in (a) of FIG. 6, the show bar fixing member 131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air spring 130 to fix the show bar 140 together with the load beam 120. Since the air spring 130 is fixed to the vehicle frame 50 in a biased state by),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air spring 130 is not evenly distributed and acts as a concentrated load on the biased part.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air spring 130 is easily broken by the load.

또한,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100)는 거의 모두 미국이나 유럽 등 외국에서 수입하는 의존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환율변동에 따라 수시로 변동되는 제품가격의 변동 및 제품재고, 납품일정 등의 부담이 크게 작용되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100 is almost all depended on imports from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or Europe, the burden of product price fluctuations, product inventory, and delivery schedules that fluctuate frequently due to exchange rate fluctuations are greatly increased. There was also a problem to be function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과 에어 스프링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를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 사이에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의 구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 역시 차량 프레임에 바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켜 구성하므로서, 종래 발생하였던 에어 스프링과 쇼바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그 적정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of the fixed fixed bar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air spring of the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air suspension for trailer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so that the air spring also changes to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frame, 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air spring and the showbar that occurred in the past, the appropriate lifespan The aim is to improve the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과 로드빔 사이에 쇼바를 장착 고정시키는 쇼바 고정작업이 종래 협소 공간에서 고정하는 쇼바 고정작업에 비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bar fixing work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hobar between the hanger bracket and the road beam is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shobar fixing work for fixing in a narrow space, there is another object to greatly improv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의해 종래 외국에서 거의 수입해오던 공기 현가장치의 수입량을 크게 줄여 종래 공기 현가장치의 수입대체효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suspension for the tra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rther object to achieve an import replacement effect of the conventional air suspension by greatly reducing the amount of import of the air suspension, which has been almost imported from the prior art.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쇼바의 파손방지 및 적정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쇼바가 장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된 로드빔 및 행거 브라켓과, 상기 로드빔과 차량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어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에어 스프링과, 상기 로드빔 및 행거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에어 스프링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는 쇼바로 구성된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 beam and a hanger bracket which has been changed into a structure in which the show bar can be fixed to improve the damage prevention and proper life of the show bar, and is mounted between the road beam and the vehicle frame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Can be achieved by the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n air spring to mitigate the shock (force) to be transmitted, and a showbar fixed between the load beam and the hanger bracket to damp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of the air spring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은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suspension for a conventional trailer.

도 2 는 일반적인 공기 현가장치의 공기 흐름도.2 is an air flow diagram of a typical air suspension.

도 3 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suspension for a tra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행거 브라켓의 정면도 및 평면도.4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hanger bracket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로드빔의 정면도 및 평면도.5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road beam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이 차량 프레임에 장착 고정된 구조도.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to the vehicle fram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00. 공기 현가장치 10, 110. 행거 브라켓 11, 111. 관통홀1, 100. Air suspension 10, 110. Hanger bracket 11, 111. Through hole

12, 21, 121, 131. 쇼바고정부재 13. 볼트 14. 너트 15. 보강판12, 21, 121, 131. Shobar fixing member 13. Bolt 14. Nut 15. Reinforcement plate

20, 120. 로드빔 22, 122. 스프링 안착부 30, 130. 에어 스프링20, 120. Load beams 22, 122. Spring seats 30, 130. Air springs

40, 140. 쇼바 50. 차량 프레임 51. 연결 파이프 52. U-볼트40, 140. Shobar 50. Vehicle frame 51. Connecting pipe 52. U-bolt

53. 레벨링 컨트롤 밸브 54. 컨트롤 링크53. Leveling Control Valve 54. Control Link

도 3 은 본 고안이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suspens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trailer.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1)는, 차량 프레임(50) 하단에 고정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로드빔(20)의 힌지작용을 통해 에어 스프링(30)에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20)의 지점 역할을 하는 행거브라켓(10)과;Trailer air suspens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vehicle frame 50,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is to be applied to the air spring 30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road beam (20) A hanger bracket 10 serving as a point of the load beam 20;

상기 행거 브라켓(10) 내에 고정되며, 상기 행거 브라켓(10)을 지점으로 한 힌지작용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에어 스프링(30)에 전달되도록 하는 로드빔(20)과;A load beam (20) fixed in the hanger bracket (10)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air spring (30) through a hinge action with the hanger bracket (10) as a point;

상기 로드빔(20) 상단과 차량 프레임(50) 하단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로드빔(20)의 힌지작용을 통해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스프링(30)과;The air spring is fixed between the top of the road beam 20 and the bottom of the vehicle frame 50, to alleviate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road beam 20 to prevent the direct transmission to the vehicle body 30;

상기 행거 브라켓(10) 및 상기 로드빔(20)에 장착 고정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상기 에어 스프링(30)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는 쇼바(40)로 구성되어 있다.The hanger bracket 10 and the load beam 20 is fixed to the shock absorbing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is primarily composed of a shock absorber 40 to damp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of the air spring (30).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10)에 고정된 로드빔(20)의 타측은, 이웃한 공기 현가장치(1)의 로드빔(20)과 동일한 힌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길이의 연결 파이프(51)에 U-볼트(52)로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load beam 20 fixed to the hanger bracket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51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ame hinge action as that of the load beam 20 of the neighboring air suspension device 1 is achieved. It is fixed by the U-bolt 52.

이하,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suspension for the tra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 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행거 브라켓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로드빔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고안이 차량 프레임에 장착 고정된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4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hanger bracke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road beam that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shows a fixed structure diagram.

여기에서, 도 4 및 도 5, 도 6의 (a)는 종래 구조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구조이다.4, 5 and 6 (a) is a conventional structure, (b) is a structu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1)는,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종래 발생하였던 에어 스프링(30)과 쇼바(4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그 적정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20)과 에어 스프링(30)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40)를 상기 로드빔(20)과 행거 브라켓(10) 사이에 장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20)과 행거 브라켓(10)의 구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30) 역시 차량 프레임(50)에 바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킨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본 고안의 세부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iding comfort by mitigating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vehicle body while driving, while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air spring 30 and the shock absorber 40 that have occurred in the past.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 life, the load beam 20 and the hanger 40 fixed between the load beam 20 and the air spring 3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air suspension for trailers While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load beam 20 and the hanger bracket 10 so as to be fixed between the bracket 10, the air spring 30 can also b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frame 50 As the configuration changed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행거 브라켓(1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빔(20)이 삽착될 수 있게 ㄷ자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볼트(13) 및 너트(14)를 이용해 상기 브라켓(10) 내에 로드빔(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0) 양측면이 상호 관통된 관통홀(1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 프레임(50) 하단에 고정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로드빔(20)의 힌지작용을 통해 에어 스프링(30)에 작용될 수 있도록 지점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3 and 4, the hanger bracket 10 is formed in a U-shaped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load beam 20 can be inserted therein, using the bolt 13 and the nut 14 to the Through holes 11 through which both sides of the bracket 10 penetrate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bracket 10 so as to fix the load beam 20, and the impact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frame 50. The force acts as a point to act on the air spring 30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load beam 20.

상기 로드빔(20)은, 도 3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행거 브라켓(10) 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이웃한 공기 현가장치(1)의 로드빔(20)과 동일한 힌지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길이의 연결 파이프(51)에 U-볼트(52)로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10)을 지점으로 한 힌지작용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에어 스프링(30)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미 설명부호 22는 에어 스프링(30)의 안착부이다.3 and 5, one side is fixed in the hanger bracket 10, the other side is the same as the load beam 20 of the neighboring air suspension (1) The air spring 30 is provided with a U-bolt 52 fixed to a connecting pipe 5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hinge action is performed, and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bracket 10 as a point. It is a structure to be passed to. Reference numeral 22 is a seating portion of the air spring (30).

상기 에어 스프링(30)은, 도 3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 및 강성이 좋은 고무재 또는 우레탄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빔(20) 상단 및 차량프레임(50)의 하단 사이에 장착 고정되어 상기 로드빔(20)의 힌지작용을 통해 전달된 충격(력)만큼 상기 에어 스프링(30)이 압축되면서 상기 충격(력)을 완화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3 and 6, the air spring 3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urethane resin having good elasticity and rigidity, and is form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road beam 20 and a lower end of the vehicle frame 50. Mounted and fixed to the air beam 30 while being compressed by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load beam 20 to mitigate the impact (force) to prevent the direct transmission to the vehicle body. .

상기 쇼바(4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쇼바와 동일한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브라켓(10) 및 상기 로드빔(20)에 장착 고정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상기 에어 스프링(30)에서 발생되는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조이다.As shown in FIG. 3, the showbar 40 is formed 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ventional showbar, and is mounted on the hanger bracket 10 and the road beam 20 to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It is a structure for damping the left and right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 spring 30 while primarily relaxing.

이 때, 상기 행거 브라켓(10) 및 로드빔(20)의 경우, 상기 브라켓(10) 및 로드빔(20)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장력강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hanger bracket 10 and the load beam 20 is formed of a high-strength steel material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bracket 10 and the load beam 20 itself.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10) 일측면과 상기 로드빔(20) 일측면에 상기 쇼바(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쇼바고정부재(12)(2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showbar fixing members 12 and 21 are respectively provided to fix the showbar 40 to one side of the hanger bracket 10 and one side of the rod beam 20.

더욱이, 종래 행거 브라켓(110)에 비해 본 고안에 적용된 행거 브라켓(10)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0)의 상단부터 중앙부까지 위치될 수 있게 일정각도로 절곡된 보강판(15)이 설치 고정되어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firmly hanger bracket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hanger bracket 110, the reinforcement plate 15 bent at an angle to be located from the top to the center of the bracket 10 is Installation is fix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1) 중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30)에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시켜 원상태의 에어 스프링(30) 높이로 복원되도록 하는 에어 스프링(30)의 압축 및 복원과정은 종래 기술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Compressed by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of the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to the compressed air spring (30) the original air spring (30) Since the compression and restoration process of the air spring 30 to be restored to the height i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iler air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공기 현가장치(1)가 장착된 트레일러가 불규칙한 노면상태나 또는 포장이 파손된 노면을 주행하면서 발생된 충격(력)이 본 고안의 공기 현가장치(1)에 작용되게 되면, 1차적으로 행거 브라켓(10) 및 로드빔(20)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40)가 일정량의 상기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행거 브라켓(10)을 지점으로 상기 브라켓(10)에 연결 고정된 로드빔(20)의 힌지작용을 통해 충격(력)이 에어 스프링(30)으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충격(력)이 전달된 에어 스프링(30)의 경우, 작용된 충격(력)의 세기만큼 압축되면서 상기 충격(력)을 완화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trailer on which the air suspen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s applied to the air suspen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pact (force) generated while traveling on an irregular road surface or a damaged road surface is applied to the air suspens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40 is mounted between the hanger bracket 10 and the load beam 20 so as to absorb and mitigate a certain amount of the impact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bracket 10 is positioned on the hanger bracket 10.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air spring 30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fixed load beam 20, in the case of the air spring 30, the impact (force)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impact applied While compressing by the strength of the (force) to mitigate the impact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이후, 상기 에어 스프링(30)의 압축으로 인한 충격(력) 완화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에어 스프링(30)의 좌우 편차(높이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차체의 쏠림이나 탑재된 콘테이너 등 적재물의 쏠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 스프링(30)들 내의 공기 양을 제어하는 레벨링 컨트롤 밸브(53)의 작동(도 2 참조)에 따라 상기 압축된 에어 스프링(30)으로 공기가 주입되면서 이웃한 에어 스프링(30)들과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 스프링(30)들의 높이가 서로 수평하게 되면, 더이상 공기가 에어 스프링(30) 내로 주입되지 않도록 컨트롤 링크(54)가 상기 레벨링 밸브(53)를 제어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shock (force) mitigation process due to the compression of the air spring 30 is finished, the load such as the vehicle body pulled or mounted container that may be caused by the left and right deviation (height difference) of the air spring 30 Adjacent air is injected into the compressed air spring 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ling control valve 53 (see FIG. 2) that controls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springs 30 to prevent the air from being pulled out. It is made horizontal with the height of the springs (30). When the heights of the air springs 30 are horizontal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link 54 controls the leveling valve 53 so that no more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spring 30.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는, 종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중 로드빔과 에어 스프링 사이에 장착 고정된 쇼바를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 사이에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과 행거 브라켓의 구조를 변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 스프링 역시 차량 프레임에 바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화시켜 구성하므로서, 종래 발생하였던 에어 스프링 및 쇼바의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그 적정수명이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 bar and a hanger that can be fixed between a load beam and a hanger bracket, which is fixed between a load beam and an air spring, among the components of a conventional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In addition to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the air spring is also configured to change to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fram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air spring and the shobar that occurred in the past, and its proper lif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is greatly improved.

또한, 상기 행거 브라켓과 로드빔 사이에 쇼바를 장착 고정시키는 쇼바 고정작업이 종래 협소 공간에서 고정하는 쇼바 고정작업에 비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hobar fixing work for mounting and fixing the shobar between the hanger bracket and the road beam is simpler than the conventional shobar fixing work for fixing in a narrow spac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re greatly improved.

더욱이, 본 고안의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외국에서 거의 수입해오던 공기 현가장치의 수입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수입대체효과가 매우 크며, 특히 도로의 노면이 굴곡지거나 또는 요철부를 통과시 본 고안의 현가장치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동장치 사용빈도가 현저히 줄어들면서 연비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와 함께 타이어의 수명 역시 30% 연장되게 되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the air suspension for trail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ort substitution effect is very large, such as greatly reducing the amount of air suspension, which has been almost imported from the past, and especially the road surface is curved or passes through the uneven portion. As the suspen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and mitigates the shock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he use of the brake system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fuel consumption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tire by 30%. There is also.

Claims (5)

차량 프레임 하단에 고정되며,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이 로드빔의 힌지작용을 통해 에어 스프링에 작용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빔의 지점 역할을 하는 행거 브라켓과,A hanger bracket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frame and serving as a point of the load beam such that an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can be applied to the air spring through the hinge action of the load beam; 상기 행거 브라켓 내에 고정되며, 상기 행거 브라켓을 지점으로 한 힌지작용을 통해 노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을 에어 스프링에 전달되도록 하는 로드빔과,A load beam fixed in the hanger bracket and configured to transmit an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a road surface to an air spring through a hinge action of the hanger bracket; 상기 로드빔 상단과 차량 프레임 하단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로드빔의 힌지작용을 통해 전달된 충격(력)을 완화시켜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 스프링과,An air spring fix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road beam and a lower end of the vehicle frame, and configured to mitigate an impact (force) transmitted through a hinge action of the road beam to prevent direct transmission to a vehicle body; 상기 행거브라켓 및 상기 로드빔에 장착 고정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상기 에어 스프링의 좌우 진동을 감쇠시키는 쇼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And a shock absorber mounted on the hanger bracket and the load beam and configured to shove the shock force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nd attenuate the left and right vibrations of the air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브라켓 및 로드빔 사이에 쇼바가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행거 브라켓의 일측면과 상기 로드빔의 일측면에 쇼바고정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obar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anger bracket and one side of the road beam so that the shobar is fixed between the hanger bracket and the road beam.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브라켓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의 상단부터 중아부까지 위치될 수 있게 일정각도로 절곡된 보강판이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The air suspension device for a tra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inforcing plate bent at an angle is installed and fixed to be positioned from an upper end to a middle part of the bracket in order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hanger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브라켓 및 로드빔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구성이 큰 고장력강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The air suspension system for a tra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er bracket and the load beam are each formed of high-strength steel having high durability to improve dur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링은 탄성력 및 강성이 좋은 고무재 또는 우레탄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공기 현가장치.The air suspension for a tra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pring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urethane resin having good elasticity and rigidity.
KR2020020004045U 2002-02-07 2002-02-07 Air suspension device KR2002753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45U KR200275300Y1 (en) 2002-02-07 2002-02-07 Air suspen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045U KR200275300Y1 (en) 2002-02-07 2002-02-07 Air suspen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300Y1 true KR200275300Y1 (en) 2002-05-11

Family

ID=7308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45U KR200275300Y1 (en) 2002-02-07 2002-02-07 Air suspens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30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72B1 (en) * 2016-07-06 2017-11-10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An apiculture trai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72B1 (en) * 2016-07-06 2017-11-10 미래이동양봉 주식회사 An apiculture tra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463A (e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US6408970B1 (en) Cab suspension system for terminal tractors
KR100667428B1 (en)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large sized bus
KR200275300Y1 (en) Air suspension device
KR20200128812A (en)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102253495B1 (en) Coil Spring Device for Automobile Suspension
JP6057252B2 (en) Truck carrier structure
US20170334490A1 (en) Tractor
US8517456B1 (en) Cab suspension member for terminal tractors
KR100853921B1 (en) Vehicle coupled torsion beam axle structure
KR100667424B1 (en) Sub full bump sustenance means of suspension in vehicle
KR20070094182A (en) Reer suspension of automobile
KR102063548B1 (en) Trailer for reduction of side rolling
KR200374202Y1 (en) Position Compensation Device of Suspension Member for Vehicle
KR20130052791A (en) Air spring for suspension of vehicle
KR100398196B1 (en) torsion beam axle typed rear suspension
CN211641733U (en) Positioning arm of air suspension system
KR100313803B1 (en) Support beam auxiliary structure of air suspension for vehicle
KR102553906B1 (en) Air spring Suspension
KR102382844B1 (en) Wheel base control device
KR200492108Y1 (en) Shock absorber for body of car
KR200397764Y1 (en) Independent moving axle for commercial vehicle
KR100482971B1 (en) Th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100559892B1 (en) bump stopper front suspension of truck
KR100348045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hassis rear cross memb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