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063Y1 - 창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063Y1
KR200275063Y1 KR2020020005340U KR20020005340U KR200275063Y1 KR 200275063 Y1 KR200275063 Y1 KR 200275063Y1 KR 2020020005340 U KR2020020005340 U KR 2020020005340U KR 20020005340 U KR20020005340 U KR 20020005340U KR 200275063 Y1 KR200275063 Y1 KR 200275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ing drum
windows
op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3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선
Original Assignee
조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선 filed Critical 조정선
Priority to KR20200200053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0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063Y1/ko

Link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야를 가리지 않고도, 창문을 필요한 만큼 연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틀(12)과, 이 창문틀(12)에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창문(14,1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또는 제2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창에 있어서, 상기 제1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정유닛(18)과, 상기 제2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걸림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8)은 상기 제1 창문(14,16)의 전진방향 전방에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장착된 권취드럼(26)과, 이 권취드럼(26)에 권취되며 그 선단이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제1 창문(14,16)의 후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걸림부재(20)에 연결된 연결스트립(28)과, 상기 권취드럼(26)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8,40,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전진시키면 상기 연결스트립(28)이 풀려나오면서 창이 개방되고, 필요한 만큼 창을 개방한 후, 상기 고정수단(38,40,42)으로 권취드럼(26)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창이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창문 잠금장치{window locking device}
본 고안은 창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야를 가리지 않고도, 창문을 필요한 만큼 연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집 등의 창은 창문틀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복수개의 창문을 설치하여, 이 창문을 옆으로 밀어 창을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창에는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잠글 수 있도록 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창을 닫은 상태로 잠궈, 외부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장치는 창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만 잠금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을 잠근 상태에서는 환가를 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을 조금 연 상태에서도 잠금작용을 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한쌍의 창문(2,4)중에서 일측의 창문(2)에 잠금걸쇄(6)를 장착하고, 다른 창문(4)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바(8)를 장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바(8)의 중간부에는 상기 잠금걸쇄(6)를 걸수 있는 다수개의 걸림홈(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창문(2)을 수평방향으로 밀어 상기 걸림홈(10)에 잠금걸쇄(6)가 맞도록 창을 연 후, 잠금걸쇄(6)를 걸림홈(10)에 걸어, 창문(2,4)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같은 잠금장치는 창문(2,4)을 필요한 만큼 연 상태에서도 창문(2,4)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므로써, 환기와 방범작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걸림홈(10)과 잠금걸쇄(6)가 서로 맞물리는 정확한 위치로 창문(2,4)을 밀어야만 잠금작용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창문(2,4)은 설치한 후, 장시간이 지나면 먼지나 기타 이물질에 의해 잘 슬라이드되지 않고 뻑뻑하게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창문(2,4)을 밀어 걸림홈(10)과 잠금걸쇄(6)가 정확하게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잠금장치는 상기 고정바(8)가 창문(2,4)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고정바(8)에 의해 항상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필요한 만큼 창문을 열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문 참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창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유닛의 정단면도
도 5는 연결스트립과 걸림부재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창문틀 14,16. 제1 및 제2 창문
18. 고정유닛 20. 걸림부재
22. 개구부 24. 하우징
26. 권취드럼 28. 연결스트립
38,40,42. 고정수단
본 고안에 따르면, 창문틀(12)과, 이 창문틀(12)에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창문(14,1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또는 제2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창에 있어서, 상기 제1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정유닛(18)과, 상기 제2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걸림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8)은 상기 제1 창문(14,16)의 전진방향 전방에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장착된 권취드럼(26)과, 이 권취드럼(26)에 권취되며 그 선단이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제1 창문(14,16)의 후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걸림부재(20)에 연결된 연결스트립(28)과, 상기 권취드럼(26)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8,40,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전진시키면 상기 연결스트립(28)이 풀려나오면서 창이 개방되고, 필요한 만큼 창을 개방한 후, 상기 고정수단(38,40,42)으로 권취드럼(26)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창이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창문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창문잠금장치가 장착되는 창은 창문들(12)에 한쌍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창문(14,16)을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제1 또는 제2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창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 잠금장치는 상기 제1 창문(14)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정유닛(18)과, 상기 제2 창문(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걸림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유닛(18)은 상기 제1 창문(14)에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장착된 권취드럼(26)과, 이 권취드럼(26)에 권취되며 그 선단이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제1 창문(14)의 후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걸림부재(20)에 연결된 연결스트립(28)과, 상기 권취드럼(26)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8,40,42)과, 상기 권취드럼(26)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스트립(28)을 감는 방향으로 권취드럼(26)을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창문(14)의 전진방향, 즉 제1 창문(14)을 열 때 미는 방향의 선단부 쪽에 위치되도록 제1 창문(14)의 프레임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상기 고정수단(38,40,42)이 장착되는 관통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권취드럼(26)은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회전축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그 상면에는 상기 고정수단(38,40,42)이 결합되는 래칫(3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스트립(28)은 고탄성의 금속스트립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창문(14)을 열리는 방향으로 밀면, 이 금속스트립이 권취드럼(26)에서 풀려나오면서 권취드럼(26)이 회전된다.
상기 고정수단(38,40,4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우징(24)의 관통공(34)에 회전 및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관통결합된 연결축(38)과, 이 연결축(38)의 내측단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드럼(26)의 래칫(36)에 맞물리는 걸쇄(40)와, 상기 연결축(38)의 외측단에 장착된 손잡이(4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축(38)에는 연결축(38)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4)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4)의 내측면는 상기 걸쇄(40)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46)가 장착되어, 걸쇄(40)가 래칫(36)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스트립(28)이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드럼(26)이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연결스트립(28)이 감기는 방향으로는 권취드럼(26)이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재(20)는 상기 제2 창문(16) 프레임의 선단부 내측면에 그 단부가 상기 제1 창문(14)의 선단부를 향하도록 장착된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단부를 원형으로 말아서, 그 단부에 상기 연결스트립(28)의 단부를 결합할 수 있는 삽입부(4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스트립(28)의 단부에는 상기 삽입부(48)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봉(50)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재(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스트립(28)이 삽입되는 도시안된 슬롯이 형성되어, 이 결합봉(50)을 삽입부(48)에 끼운 후, 결합봉(50)의 단부에 너트(52)를 결합하므로써, 연결스트립(28)을 걸림부재(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2)를 점선위치로 밀어 래칫(36)과 걸쇄(40)의 결합을 해재한 후, 제1 창문(14)을 전진시켜 창을 열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만큼 창을 연 후, 상기 손잡이(42)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손잡이(42)가 원래 위치로 회동되면서, 래칫(36)과 걸쇄(40)가 자동으로 맞물려 더 이상 창문(14)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창을 닫을 때는 제1 창문(14)을 밀어 후진시키면 상기 래칫(36)에 의해 걸쇄(40)가 점선위치로 자동으로 후진되면서 창이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3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2)를 잡아당겨 래칫(36)과 걸쇄(40)의 결합을 풀면, 일반적인 창문과같이, 자유롭게 창문(14,16)을 밀어 여닫을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창문 잠금장치는 창문(14,16)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연 후, 창문(14,16)이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창문(14,16)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여야 하는 종래의 잠금장치에 비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창문(14,16)을 닫으면 상기 연결스트립(28)이 하우징(24)의 내부로 수납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으므로, 시야를 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래칫(36)과 걸쇄(4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수단(38,40,42)을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고정수단(38,40,42)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권취드럼(26)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은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창문(14,16)의 한쌍의 창문(14,16)이 장착된 창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은 제 1 및 제2 창문(14,16) 이외에, 다른 창문이 더 설치된 창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창문(14,16)의 일측에 연결스트립(28)이 감긴 권취드럼(26)을 장착하고, 이 연결스트립(28)의 단부를 다른 창문(14,16)에 연결하며, 별도의 고정수단(38,40,42)을 이용하여 상기 권취드럼(26)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필요한 만큼 창문(14,16)을 열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창문 참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창문틀(12)과, 이 창문틀(12)에 측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창문(14,1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또는 제2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도록 된 창에 있어서, 상기 제1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고정유닛(18)과, 상기 제2 창문(14,16)의 선단부에 장착된 걸림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8)은 상기 제1 창문(14,16)의 전진방향 전방에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이 하우징(24)의 내부에 장착된 권취드럼(26)과, 이 권취드럼(26)에 권취되며 그 선단이 상기 개구부(22)를 통해 제1 창문(14,16)의 후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걸림부재(20)에 연결된 연결스트립(28)과, 상기 권취드럼(26)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38,40,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창문(14,16)을 선단부 쪽으로 밀어 전진시키면 상기 연결스트립(28)이 풀려나오면서 창이 개방되고, 필요한 만큼 창을 개방한 후, 상기 고정수단(38,40,42)으로 권취드럼(26)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창이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잠금장치.
KR2020020005340U 2002-02-22 2002-02-22 창문 잠금장치 KR200275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40U KR200275063Y1 (ko) 2002-02-22 2002-02-22 창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340U KR200275063Y1 (ko) 2002-02-22 2002-02-22 창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063Y1 true KR200275063Y1 (ko) 2002-05-09

Family

ID=7308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340U KR200275063Y1 (ko) 2002-02-22 2002-02-22 창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0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271B1 (en) Window security lock
HU223261B1 (hu) Tartószerelvény redőny rögzítésére
CA2147306A1 (en) Security grill lock assembly
KR101597914B1 (ko) 방충망 잠금장치
KR200275063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S592279Y2 (ja) スライド回転扉のストツパ装置
CN212716198U (zh) 推拉式电子门锁的传动机构
KR200169262Y1 (ko) 발코니용 창의 잠금장치
KR200189768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355861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100939652B1 (ko) 유리도어
KR200307419Y1 (ko) 미서기창에 사용되는 자물쇠 일체형 잠금장치
KR101661462B1 (ko) 미닫이 문 잠금장치
KR100406942B1 (ko) 창문용 괘정장치
KR200223957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90007344U (ko) 창호용 겸용 잠금장치
KR920008342Y1 (ko) 절첩식 방범창용 잠금구
JP2914371B1 (ja) スクリーンの係止構造
KR101929231B1 (ko) 자동 잠김 및 벌어짐을 방지하는 안전방충망 잠금장치
JP3773309B2 (ja) 着脱装置
JP4194163B2 (ja) 回動式ドアの開放維持具、及び同開放維持具を具備するドアストッパ
KR200184225Y1 (ko) 철문셔터용 자동 잠금장치
KR200200350Y1 (ko)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