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859Y1 -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859Y1
KR200274859Y1 KR2020020002368U KR20020002368U KR200274859Y1 KR 200274859 Y1 KR200274859 Y1 KR 200274859Y1 KR 2020020002368 U KR2020020002368 U KR 2020020002368U KR 20020002368 U KR20020002368 U KR 20020002368U KR 200274859 Y1 KR200274859 Y1 KR 200274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spection
bridge
fixed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3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장철
Original Assignee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02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8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859Y1/en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각종 교량의 교각에서 실시되는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교량 점검장치의 구성으로, 종래에 제공된 고정식 점검시설의 시설비가 높고 외관상 보기 흉한 단점들을 해결하면서도, 교각의 코핑 둘레 전체에서 용이하게 보수 및 점검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유지비용도 절감하며, 또한 교량 전체의 수 개의 교각들 간을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식 점검시설에 비하여 작동부위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작동상의 하자가 없는 매우 실용적인 교량 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착탈식 작업대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보수 점검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교각 둘레에 설치되는 레일장치와, 상기 레일장치에 주행장치로 현가되어 탑승한 작업자의 조작으로 주행되는 순환대차와, 상기 레일장치와 순환대차를 조합하여 교각 둘레를 순환대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점검할 수 있는 순환식 점검장치와, 임시 고정작업대용의 착탈식 작업대를 더 포함하는 순환식 점검장치를 제공한다.The bridge inspection device for all inspection and repair work performed on the bridges of various bridges, and it is easy to repair and check the entire coping circumference of the bridge, while solving the high cost and unsightly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ixed inspection facilities. Very practical bridge inspection device with no operation defects due to its small working area and simple structure compared to the mobile inspection facility that can carry out work and reduce maintenance cost and move rail by rail between several bridges throughout the bridg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if necessary to install a removable worktable to have a more stable and convenient maintenance inspection work, the rail device which is installed around the piers for each of the several piers, and the rail Circulation run by operator's operation Provides a car and a cyclic insp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with the rail apparatus and the rotation balance the combination of circulation in the pier circumference can be checked by moving ride cycle balance checking device, a removable work surface of the temporary fixing operation substitute.

Description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본 고안은 각종 교량의 교각(pier)에서 실시되는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교량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을 구성하는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교각 둘레를 작업자가 순환대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점검할 수 있는 순환식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inspection device for general inspection and repair work performed at the pier of various bridges, and in particular, as the worker moves around the bridge by a circular bogie for each of several bridges constituting the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that can be inspected.

대부분의 교량은 여러 개의 교각들에 의하여 상부구조물인 단위부재의 주형을 교좌장치들로 받쳐 지지하는 구성임으로, 교량의 안전성을 위하여 정기적으로 점검 및 보수작업를 하여야 한다.Most bridges are structured to support the mold of the unit member,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by the bridge devices by several bridges, so regular inspection and repair work should be done for the safety of bridges.

이러한 수 개의 교각들에 대한 점검 및 보수작업에는 작업자를 교각에 접근시키는 교량 점검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바, 지금까지 제공된 교량의 점검시설은 고정식 및 이동식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In order to inspect and repair several bridges,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that bring workers closer to the bridges must be installed.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spection facilities for bridges provided so far, such as stationary and mobile.

그러나 종래에 제공된 대부분의 점검시설들은 작업자의 교각 접근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시설비가 많이 들고, 외관상 보기 흉한 단점들이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inspection facilities provided in the related art have no problem in accessing the pier of the worker, but the facilities cost a lot, and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are unsightly in appearance.

예를 들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고정식 점검시설은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교각의 상단인 코핑(coping)의 측면 둘레 전체에 일정 넓이의 강판재 발판을 수 십개의 받침브라켓들로 고정시키고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점검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인 바, 점검통로가 교각 둘레 전체에 항시 확보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활동성이 좋은 장점은 있으나, 도심지에 설치된 교량인 경우에는 교각 둘레에 고정 설치된 받침브라켓들과 강판재 발판, 안전난간들이 보기 흉하게 노출되어 도시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고, 이동식 점검대차들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다소 저렴하기는 하나, 대부분의 고정식 점검시설 종류에서 필수 구성요소들인 교각의 코핑 둘레에 고정 설치되는 수 십개의 받침브라켓들과 강판재 발판 및 안전난간 등의 모든 재질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할 때는 물론 강재(鋼材)로 할 때에도 재료비와 시공비가 막대하게 소요되고, 설치 후에도 강재의 경우에는 표면 도장에 많은 유지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a stationary inspection facility that can be installed at a relatively low cost may be provided with dozens of brackets of a certain width over the perimeter of the side of the coping, the top of the piers, for each of several piers. It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n inspection passage where the worker can move by fixing and installing a safety rail. The inspection passage is always secured throughout the pier circumference, so the worker's activity is good. However, in the case of a bridge installed in the downtown area, the pier circumference Support brackets, steel plate scaffolding, and safety railings installed on the floor are unsightly exposed and detrimental to the urban aesthetics. Although the installation cost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mobile inspection trucks, it is essential for most types of fixed inspection facilities. Dozens of brackets and steel plates for fixed installation around the coping of the piers All railings and the cost of material and sigongbi take the bar when all the material of stainless steel as well as steel, even when (鋼材), including, in the case of steel, even after the installation has had a problem that required a lot of maintenance to the surface coating.

또한 교량 전체의 수 개의 교각들 간을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식 점검시설의 구성은, 교각들 간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교각들 간을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량 전체 길이에 걸쳐서 레일을 설치하고, 이동대차에 자주식 주행장치와 구동전원 및 구동장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전체 시설비가 고정식 점검시설에 비하여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고 작동부위에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inspection facility that moves by rail between several bridges throughout the bridge,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ove between bridges, as a means for moving between bridges, In addition, the mobile truck should have a self-propelled traveling device, a driving power source, and a driving device, so that the overall cost of the facilit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fixed inspection facility.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교량 점검시설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교량을 구성하는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점검시설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각의 교각 둘레를 작업자가 순환대차를 타고 이동하면서 점검할 수 있는 시설비가 저렴하고 설치 후에 외관이 좋고 유지비가 적게 소요되는 순환식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ridge inspection facilities as described above, one object is to provide a circulation bogie around each pier in forming the inspection facility for each of the several bridges constituting the bridge It is to provide a re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that can be inspected while moving on a low cost and has a good appearance after installation and low maintenance cost.

다른 목적은 상기 순환식 점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교각 둘레에서 주행레일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임시 고정작업대로 형성할 수 있는 착탈식 작업대를 더 포함하는 순환식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irculating inspec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worktable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running rail around a pier and can be formed as a temporary fixed workbench.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 측면구성도1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bridge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 평면구성도Figure 2 is a plan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 평면 설치도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circulation bogie flat installation of th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for bridge bridge bridge p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 측면 설치도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circulation bogie side installation of th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for a bridge bridge pi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 주행장치부분의 측면설치 확대도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circulation bogie traveling device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bridge bridg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의 설치상태 내측면도6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irculation bogie during the configuration of a circular bridge bridge typ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의 주행장치부분의 설치상태 내측면도7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raveling device portion of the circulation bogie of the embodiment of the bridge bridge cyclic typ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중 순환대차의 주행장치부분의 주행휠부분의 설치상태 내측면도8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riving wheel portion of the traveling device portion of the circulation bogi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bridge bridg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예도9 is another embodiment of a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측면설치도Figure 10 is a side installation of the removable workbench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bridge bridge cyclic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구성중 고정브라켓의 측면설치 확대도Figure 11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ounting bracket of the removable worktable that is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bridge bridge cyclic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발판 평면구성도Figure 12 is a plan view of the footrest removable platform applied to the cyclic check device for bridge pi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발판 측면구성도Figure 13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of the footrest removable platform applied to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발판 단면구성도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footrest removable platform applied to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발판 조립부 측단면도Figure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trest assembly of the removable workbench applied to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발판 조립부 평면도Figure 16 is a plan view of the footrest assembly of the removable workbench applied to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che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주행레일에의 2열 설치상태 평면도Figure 17 is a plan view of the two-row installation state on the running rail of the removable workbench applied to the circular bridge bridge circular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주행레일에의 2열 설치상태 정면도18 is a front view of a two-column installation state on a running rail of a detachable workbench applied to an embodiment of a bridge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착탈식 작업대를 설치한 평면도Figure 19 is a plan view of the removable worktable is installed in the circular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착탈식 작업대를 1열 설치한 측면도Figure 20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removable worktable installed in the circular bridge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에 착탈식 작업대를 전체적으로 설치한 평면도Figure 21 is a plan view of the entire installation of the removable workbench to the circular inspection bridge pier typ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31:교량의 상부슬라브 32:거더 33:교좌장치 34:교각31: upper slab of the bridge 32: girder 33: bridge device 34: bridge

35:교각의 코핑 35a:코핑(35)의 전,후면 35b:코핑(35)의 양 측단35: Piercing coping 35a: Before and after coping 35 35b: Both ends of coping 35

35c:코핑(35)의 상단면 35f:시작과 끝부분의 교각 36:방호벽35c: Top surface of the coping 35 35f: Pier at the beginning and end 36: Firewall

37:교량의 도로면 38:출입사다리 40:탑승대 41:측면브라켓37: Road side of the bridge 38: Entrance ladder 40: Boarding platform 41: Side bracket

42:탑승대의 안전난간 50:주행레일 51:레일 브라켓42: safety railing of the platform 50: driving rail 51: rail bracket

60:순환대차 61:케이지 61b:다공판형 케이지 외장판넬과 발판60: circulation cart 61: cage 61b: perforated cage exterior panel and scaffold

61f:케이지의 골조프레임 62:상단 프레임 63:회전 핸들61f: skeleton frame 62 of cage: upper frame 63: rotation handle

65:구동축 66:구동스프라킷기어 67:체인 68:종동스프라킷기어65: drive shaft 66: drive sprocket gear 67: chain 68: driven sprocket gear

69:종동축 70:주행휠 71:브라켓 72:안내로울러 73:아이들축69: driven shaft 70: driving wheel 71: bracket 72: guide roller 73: children axis

74:받침로울러 78:작업자 승강용 발디딤봉 79:주행장치의 커버판74: support roller 78: foot lift bar for worker lifting 79: cover plate of the driving device

80:하단안내로울러 81:브라켓 90:순환식 점검장치용 착탈식 작업대80: Lower guide roller 81: Bracket 90: Removable workbench for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90a:고정브라켓 90b:발판 91:후방브라켓 91a:전방브라켓90a: Fixed bracket 90b: Footrest 91: Rear bracket 91a: Front bracket

91b:끼움편 92:수직보강프레임 93:수평프레임91b: Fitting 92: Vertical reinforcement frame 93: Horizontal frame

94:경사지지프레임 95:받침판 96:조임브라켓 97:장방형 다공판94: slope support frame 95: support plate 96: tightening bracket 97: rectangular perforated plate

97a:다공판의 측면프레임 98:난간지지대 99:난간체인97a: side frame of perforated plate 98: railing support 99: railing chain

100: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 one embodiment pier cyclic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a: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a: other embodiment pier circulation che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은, 각종 교량의 교각들 상단에서 실시되는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점검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In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inspection facility for the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carried out on the top of the bridges of various bridges,

상기 교각의 코핑에서 출입사다리가 설치되는 측단면에 측면브라켓으로 지지되어 코핑의 양 측단 상단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탑승대와,Boarding platform which is supported horizontally with side brackets on the side end surface where the access ladder is installed in the coping of the piers with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both side ends of the coping, and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교각의 코핑 상단 전,후면에 어느 일 측에 임의 규격과 간격을 갖고 매입 고정되는 수 십개의 레일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들의 끝단에 내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교각 코핑의 상단 전,후면 어느 일 측에 일정 구간 순환왕복식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로 구성된 순환대차용 레일장치와,Dozens of rail brackets which are fixed at any one side of the pier coping upper and rear sides of the pier for each of several piers at the end and the inner ends are fixed to the ends of the rail brackets so that the top of the pier coping Rail device for circulation bogie consisting of a running rail that is installed in a reciprocating reciprocating manner on ei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상기 탑승대로부터 작업자가 탑승하는 상부 개방형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에 현가되면서 케이지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교각 코핑의 외측면에 활접하도록 상기 케이지의 외면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안내로울러장치를 구비한 순환대차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순환식 점검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n upper open type cage in which the operator rides from the board, a traveling device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ge, which is suspended on the running rail of the rail device, and which runs on the cage, and which sli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er cop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irculation check devic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circulation bogie with a lower guide roller device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surface.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순환식 점검장치의 구성에는,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는 수 개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들 간에 걸쳐져 폭방향으로 여러 장 조립되는 일정단위 크기의 장방형 쪽판으로 분할된 발판과, 상기 고정브라켓들 간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착탈식 작업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everal fixed brackets fit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running rail of the rail device, and a predetermined unit which is assembled in the width direction across the fixed bracke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ircular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work platform consisting of a scaffold divided into a rectangular side plate of the size, and a handrail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 실시예 구성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9에는 일 예의 교량에 적용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을 달성하는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 to 9 show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pier cyclic check device 100 that achieves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example bridge.

각도에서 부호 31은 일 예의 교량에서 도로면을 형성하는 상부슬라브이고, 부호 32는 상부슬라브(31)를 교각에 받쳐주는 수 개의 거더들을 표시하며, 부호 33은 교좌장치를 표시하며, 부호 34는 거더를 받쳐주는 교각을, 부호 35는 교각들의 상단부재인 코핑 전체를, 부호 35a는 코핑(35)의 전,후면을, 부호 35b는 코핑(35)의 양 측단을, 부호 35c는 코핑(35)의 상단면을, 부호 36은 도로면의 방호벽을, 부호 37은 교량의 도로면을, 부호 38은 출입사다리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In the angle,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n upper slab forming a road surface in an example bridge,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several girders supporting the upper slab 31 on a piers,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bridge device, and reference numeral 34 The girder supporting the girder, reference numeral 35 denotes the entire coping, which is the upper member of the piers, reference numeral 35a denotes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ping 35, reference numeral 35b denotes both sides of the coping 35, and reference numeral 35c the coping 35 ), The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the barrier of the road surface, the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the road surface of the bridge, and the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the access ladd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의 구성은,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ier circular inspection device 100,

교량의 상부슬라브(31)에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출입사다리(38)의 하단에 연계하여 설치되는 탑승대(40)와, 교각(34)의 상단부재인 코핑(35)의 측면 둘레에서 코핑 전,후면(35a)에 각각 설치되는 주행레일(50)들과, 상기 주행레일(50)들에 각각 설치되는 순환대차(60)들로 구성된다.Before and after coping around the side of the boarding platform 40 and the coping 35, which is the upper member of the bridge 34,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access ladder 38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lab 31 of the bridge The driving rails 5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driving rails 35a, and the circulation carts 60 are installed on the driving rails 50, respectively.

상기 탑승대(40)는 교각(34)의 상단부재인 코핑(35)의 양 측단(35a)에서 어느 일측에서 측면브라켓(41)으로 지지되어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강재 판넬로 구성된다.The board 40 is supported by the side bracket 41 at either side at both side ends 35a of the coping 35, which is the upper member of the pier 34, and has a rectangular width that is horizontally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 the outside. It consists of panels.

상기 주행레일(50)들과 순환대차(60)들의 구성은 교각 코핑 전,후면(35a)에서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대칭형으로 설치되는 것인 바, 이 후의 설명은 한쪽 구성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running rails 50 and the circulation cart 60 is installed symmetrically in the same configura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respectively, before the pier coping.

상기 주행레일(50)은 강재(鋼材)의 사각관을 재질로 하여, 수 개의 교각(34)들 각각에 대하여 코핑(35) 상단 전,후면(35a)에서 임의 규격과 간격을 갖고 매입 고정되는 수 십개의 레일 브라켓(51)들의 끝단에 고정보울트들에 의하여 내측단이 상부에 일정 폭을 두고 고정된다.The traveling rail 50 is made of steel (鋼材) square tube, the material for each of the pier (34) is buried and fixed at an arbitrary size and interval 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top of the coping 35 The inner end is fixed with a certain width at the top by high information bolts at the end of dozens of rail brackets 51.

상기 순환대차(60)는 상기 탑승대(40)로부터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되는 상부 개방형 케이지(61)와, 이 케이지(61)의 상단 일 측에서 상단 프레임(62)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50)의 상단에 현가되고 회전 핸들(63)의 수동조작으로 주행레일(50)을 타고 케이지(61)를 이동시키는 주행장치와(도5~8도 참조),The circulation trolley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open type cage 61 and the upper frame 62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cage 61 is installed to the height that the operator can ride from the board 40. A traveling device suspended on the upper end of the traveling rail 50 and moving the cage 61 by the driving rail 50 by manual operation of the rotary handle 63 (see FIGS. 5 to 8),

상기 케이지(61)의 내단 외측면의 하단 좌우측에 각각 2개의 브라켓(81)을 분리 설치하고, 이 2개의 브라켓(81)에 각각 2개의 하단안내로울러(80)를 설치하여 상기 2개의 하단안내로울러(80)들이 교각 코핑의 전,후면(35a) 하단에 활접하도록 구성된다(도4,6 참조).Separately install two brackets 81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end outer surface of the cage 61, and install two lower guide rollers 80 on the two brackets 81, respectively, to guide the two lower ends. The rollers 80 are configured to slide at the bottom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pier coping (see FIGS. 4 and 6).

상기 순환대차(60)의 주행장치는, 순환대차의 케이지 상단 프레임(62)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고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된구동축(65)과, 상기 구동축(65)에 대하여 케이지 내측에 고정된 회전 핸들(63)과, 상기 구동축(65)의 외측단에 고정 축설된 구동스프라킷기어(66)와,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상단 좌우에서 각각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어 상기 구동스프라킷기어(66)와 체인(67)으로 전동되는 2개의 종동스프라킷기어(68)를 고정축설한 2개의 종동축(69)과, 상기 종동축(68)들에서 종동스프라킷기어(68)들의 외측방에 고정 축설되어 상기 주행레일(50)의 상면에 활접하는 좌우 2개의 주행휠(70)들과,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외측에서 주행휠(70)들의 좌우 외방에 고정된 브라켓(71)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50)의 내측단에 활접하는 2개의 안내로울러(72)들과, 상기 좌우 2개의 주행휠(70)들의 하단부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하단에서 각각 주행레일(50)의 하단면에 회전 자유롭게 활접하도록 아이들축(73)에 축설되는 2개의 받침로울러(74)들을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traveling device of the circulation trolley 60 includes a drive shaft 65 penetr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age top frame 62 of the circulation trolley and freely rotatably formed by a bearing, and the cage inside the drive shaft 65. A rotary handle 63 fixed to the shaft, a drive sprocket gear 66 fixedly arranged at an outer end of the drive shaft 65, and freely arrang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ge upper frame 62 so as to be driven. Two driven shafts 69 fixedly arranged with two driven sprocket gears 68 driven by the sprocket gear 66 and the chain 67, and driven sprockets on the driven shafts 68; Left and right two traveling wheels 70 fixedly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gears 68 and sli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rail 50, and left and right of the traveling wheels 70 outside the cage upper frame 62. The traveling rail is installed freely by the bracket 71 fixed to the outside ( Two guide rollers 72 gliding to the inner end of the 50 and the lower end of the cage upper frame 62 of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two driving wheels 70, respectively, freely rotatabl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unning rail 50 It is comprised with the two support rollers 74 arrange | positioned at the idle shaft 73 so that it may slide.

미설명부호 42는 탑승대(40)의 안전난간이고, 부호 61f는 케이지(61)를 구성하는 골조프레임들이며, 부호 61b는 골조프레임(61f)에 고정 부착시킨 다공판형 케이지 외장판넬과 발판들을, 부호 78은 케이지(61) 내부에 고정 부착된 작업자 승강용 발디딤봉을, 부호 79는 주행장치의 커버판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42 is a safety rail of the boarding board 40, 61f is a frame frame constituting the cage 61, 61b is a porous plate-type cage exterior panel and scaffolding fixed to the frame frame 61f, Reference numeral 78 denotes a foot lifter for lifting the worker fixed inside the cage 61, and reference numeral 79 denotes a cover plate of the traveling devi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pier cyclic che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일 실시예의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의 구성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ier circular inspection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순환대차(60)들의 상단부는 상단 프레임(62)에 설치된 주행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2개의 주행휠(70)들에 의하여 주행레일(50)의 상단면에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현가되면서, 주행휠(70)들의 외측에 설치된 브라켓(71)들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2개의 안내로울러(72)들과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하단 중앙에서 주행레일 (50)의 하단면에 회전 자유롭게 활접하도록 아이들축(73)에 축설되는 받침로울러 (74)에 의하여 주행레일(50)로부터 외측으로나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이 제어되게 구속된다(도5,8 참조).The upper end of the circulation bogie 60 is moved freely left and right on the top surface of the running rail 50 by two traveling wheels 70 which are one component of the travel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62, the traveling wheel Two guide rollers 72 rotatably installed on the brackets 71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70 and the lower end of the running rail 50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age upper frame 62 to idle freely The support roller 74 built into the shaft 73 is restrained so that the departure from the traveling rail 50 to the outside or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trolled (see FIGS. 5 and 8).

또한 순환대차(60)의 하단부 내측 외면은 상기 케이지(61)의 내단 외측면의 하단 좌우측에서 2개의 브라켓(81)들에 각각 설치된 2개의 하단안내로울러(80)들에 의하여 교각 코핑의 전,후면(35a) 하단에 활접하면서 케이지(61)의 하단을 지지한다.In additi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circulation bogie 60 is the front of the pier coping by the two lower guide rollers 80 installed on the two brackets 81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end outer surface of the cage 61, respectively. While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rear (35a) supports the bottom of the cage (61).

상기와 같이 교각 코핑의 전,후면(35a)에서 각각 주행레일(50)들에 현가되어 좌우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순환대차(60)들은 케이지(61)에 탑승하는 작업자가 주행장치의 회전 핸들(63)을 조작하여 이동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on trolleys 60 freely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pier coping are suspended from the running rails 50 and moved from side to side, respectively. To move.

교량의 교각부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는, 교량의 상부슬라브(31)에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출입사다리(38)를 타고 탑승대(40)로 내려선다.In order to check the bridge part of the bridge, the worker descends to the boarding board 40 by taking the access ladder 38 installed downward from the upper slab 31 of the bridge.

탑승대(40)에 내려선 작업자는 탑승대(40)의 어느 일 측에 정지되어 있는 순환대차(60)의 케이지(61) 내부로 발디딤봉(78)을 딛고 탑승한다.The worker who gets off the board 40 rides on the stepping rod 78 into the cage 61 of the circulation cart 60 which is stopped on one side of the board 40.

일측 순환대차(60)의 케이지(61)의 내부에 탑승한 작업자는 회전 핸들(63)을 돌려서 순환대차(60)를 주행레일(50)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operator who rides in the cage 61 of the one side circulation cart 60 rotates the rotation handle 63 to move the circulation bogie 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unning rail 50.

작업자가 회전 핸들(63)을 임의의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핸들(63)에 고정된 구동축(65)이 회전하면서 구동축(65)의 외측단에 고정 축설된 구동스프라킷기어(66)를 회전시킨다.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rotary handle 63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drive shaft 65 fixed to the rotary handle 63 rotates to rotate the drive sprocket gear 66 fixedly arranged at the outer end of the drive shaft 65. Let's do it.

구동스프라킷기어(66)가 회전되면 구동스프라킷기어(66)와 체인(67)으로 연결된 2개의 종동스프라킷기어(68)들이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각각의 종동축(69)들을 회전시킨다.When the drive sprocket gear 66 is rotated, two driven sprocket gears 68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gear 66 and the chain 67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respective driven shafts 69 are rotated. Rotate them.

종동축(69)들이 회전되면 종동축(69)들에서 종동스프라킷기어(68)들의 외측방에 고정 축설되고 주행레일(50)의 상단면에 활접상태로 현가되어 있는 주행휠(70)들이 각각 회전하게 되어 순환대차(60)를 주행레일(50)을 타고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driven shafts 69 are rotated, the traveling wheel 70 is fixedly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driven sprocket gears 68 on the driven shafts 69 and is suspended in a sliding st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rails 50. They each rotate to move the circulation cart 60 on the running rail (50).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하면 작업자는 탑승대(40)에서 어느 일 측의 순환대차(60)에 탑승하여, 교각의 코핑(35) 둘레에서 코핑의 전,후면(35a) 어느 일 측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에서 순환대차(60)을 정지시킨 후 케이지(61)에 탑승한 상태에서 거더(31)나 교좌장치(33) 등에 대하여 점검 및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boards the circulation cart 60 on either side from the boarding platform 40, and any 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coping around the coping 35 of the piers. It is possible to move to a position, and stop and check the maintenance of the girder 31, the seating device 33, etc. in the state of boarding the cage 61 after stopping the circulation cart 60 in the desired position.

상기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의 구성은 코핑의 전,후면(35a)에 각각 작업자가 접근이 가능한 교각에 대하여 각각 주행레일(50)와 순환대차(60)를 2세트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이를 응용하여 도9와 같이 작업자의 접근이 코핑(25)의 한쪽 전면(25a)에만 가능한 교량의 시작과 끝 구간의 교각(35f)에 대하여서는 다른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a)와 같이 주행레일(50)과 순환대차(60)가 한쪽에 만 설치되는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figuration of the pier cyclic check device 100 is the running rail 50 and the circulation bogie 60 for the piers accessible to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coping, respectively.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wo sets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9, another embodiment of the pier circulating with respect to the pier 35f of the start and end sections of the bridge, in which the worker's access is possible only on one front surface 25a of the coping 25, as shown in FIG. Like the check system 100a, the running rail 50 and the circulation cart 60 may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에 의하면, 본고안의 일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으나,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이기위한 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상기한 일 실시예의 교각 순환식 점검장치(100) 구성에 임시 작업대용의 착탈식 작업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ier cyclic check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for improving the work convenience of the worker, the pier circul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expression check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movable work table for the temporary work table.

상기 임시 작업대용의 착탈식 작업대의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별도의 출원으로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movable work table for the temporary work platform is provided as a separate application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도10 내지 도21에는 상기 순환식 점검장치에 적용되는 착탈식 작업대의 일 실시예인 착탈식 작업대(90)의 구성과 여러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10 to 21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various usage states of the detachable work platform 9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work table applied to the recirculating inspection apparatus.

상기 임시 작업대용 착탈식 작업대(90)의 구성은, 수 개의 고정브라켓 (90a)과 일정단위 크기의 장방형 쪽판으로 분할된 여러 장의 발판(90b)과, 난간부재로 구성된다.The temporary worktable for the removable worktable 90 is composed of several fixed brackets 90a, a plurality of scaffolds 90b divided into rectangular side plates of a predetermined unit size, and a handrail member.

고정브라켓(90a)의 구성은, 상기 주행레일(50)에 대하여 상부에서 일정 간격을 갖고 후방으로 끼워지는 후방브라켓(91)과 전방으로 끼워지는 수직보강프레임 (92)을 각각 후단과 중간 하단에 고정식으로 구비하는 수평프레임(93)과, 상기 수평프레임(93)의 선단과 상기 중간 하단의 수직보강프레임(92)의 하단에 경사지게 고정되면서 교각 코핑의 외측면에 받침판(95)을 갖고 지지되는 경사지지프레임(94)과, 상기 수평프레임(93)의 선단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고정되는 전방브라켓(91a)으로 구성되고, 후방브라켓(91)의 하단 내측편에는 주행레일(50)의 내측 하단면에 밀접상태로 접속하는 끼움편(91b)이 설치된다(도10,12 참조).The fixed bracket 90a has a rear bracket 91 fitted at a rear and a vertical reinforcing frame 92 fitted at a rea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traveling rail 50 at rear and middle lower ends thereof, respectively. The horizontal frame 93 is fixedly provided, and is supported inclined to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frame 93 and the bottom of the vertical reinforcing frame 92 of the middle bottom while having a support plate 9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er coping. And an inclined support frame 94 and a front bracket 91a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frame 93 so as to penetrate vertically, and an inner lower end of the traveling rail 50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rear bracket 91. A fitting piece 91b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is provided (see Figs. 10 and 12).

발판(90b)의 구성은, 상기 구성의 수평프레임(93)을 일정 간격으로 주행레일 (50)에 설치한 상태에서 2개의 좌우 수평프레임(93)들 간에 걸쳐져 조립되는 조임브라켓(96)들이 네 귀에서 구비되고, 일정 길이와 수평프레임(93)의 전후 길이를 3등분한 폭을 갖는 장방형 다공판(97)이 얹혀져 고정되는 구성이며, 다공판(97)의 네 변은 일정 폭으로 3단 절곡 찬넬형으로 절곡한 측면프레임(97a)을 구비한 구성이다(도12~14 참조).The configuration of the footrest 90b includes four fastening brackets 96 assembled over two left and right horizontal frames 93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frames 93 of the configuration are installed on the running rails 50 at regular intervals. The rectangular perforated plate 97 provided at the ear and having a width equal to three times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horizontal frame 93 is mounted and fixed. Four sides of the perforated plate 97 have three steps with a predetermined width. It i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ide frame 97a bent by the bending channel type (refer FIG. 12-14).

난간부재의 구성은, 상기 후방브라켓(91)과 전방브라켓(91a)에 각각 끼워져 보울트로 고정 조립되는 수 개의 난간지지대(98)들과, 상기 수 개의 난간지지대 (98)들 간에 걸쳐 설치되는 난간체인(99)을 구비하여 구성된다(도10,18 참조).The balustrade member is composed of several handrail supports 98 fitted to the rear bracket 91 and the front bracket 91a, and fixedly assembled with bolts, and handrails installed between the several handrail supports 98. And a chain 99 (see Figs. 10 and 18).

상기한 구성의 착탈식 작업대(90)는 작업자가 교각 코핑(35)에서 상술한 순환식 점검장치의 순환대차(60)들에 탑승하여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때에,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때나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때 및 보다 안정적인 작업자세가 요구될 때에, 임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며, 그 발판의 설치수량도 도19 내지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열, 또는 2열, 또는 주행레일부분의 전체에 설치하느 방법으로 임의적이고 임시작업대발판으로 설치하는 구성이다.Removable work table 90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boards the circulation carts 60 of the circulation insp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in the pier coping 35 to perform the inspection, maintenance work, or when the work takes a long time or several It is used arbitrarily when two workers work at the same time and when a more stable work posture is required, and the installation quantity of the scaffold is also shown in Figs. 19 to 21, in one or two rows, or a running rail portion. It is an arbitrary and temporary work platform installed in a way that is installed throughout.

상기한 구성의 착탈식 작업대(90)의 설치는,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90a)들과 여러 장의 발판(90b)을 순환대차(60)에 싣고 코핑 전,후면(35a)의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여, 먼저 2개의 고정브라켓(90a)을 발판(90b)의 설치 간격에 맞추어 일정 간격으로 벌려 주행레일(50)에 끼워 설치한다.Installation of the detachable work table 90 of the above configuration, by placing a plurality of fixed brackets (90a) and a plurality of scaffold (90b) in the circulation cart 60 and before coping, to move to the desired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35a), First, the two fixing brackets 90a are opened at regular intervals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intervals of the footrest 90b to be fitted to the running rails 50.

주행레일(50)에 2개의 고정브라켓(90a)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면, 발판(90b)들을 2개의 고정브라켓(90a)들 간에서 양측 수평프레임(94)들에 발판 (90b) 네 귀의 조임브라켓(96)들을 상방에서 끼워 조이면서 3장의 발판(90b)을 설치한다.When two fixing brackets 90a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unning rail 50, the four feet of the feet 90b are fastened to the horizontal frames 94 on both sides between the two fixing brackets 90a. While mounting the brackets 96 from above, the three footrests 90b are installed.

착탈식 작업대(90)를 여러 칸을 잇대어 설치를 할 때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1칸에 추가하여 고정브라켓(90a)을 다시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기 설치된 일 측 고정브라켓(90a)과의 사이에 다시 3장의 발판(90b)들을 엇갈리게 연차적으로 설치한다.When installing the detachable work table 90 in a row, the fixing bracket 90a is installed again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o the one space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bracket 90a already installed. The three scaffolds (90b) are installed alternately annually.

소정의 칸으로 고정브라켓(90a)들과 발판(90b)들을 설치한 후에는, 외측 후방브라켓(91)들과 전방브라켓(91a)들에 각각 수 개의 난간지지대(98)들을 끼워 보울트로 고정 조립하고, 조립된 수 개의 난간지지대(98)들 간에는 난간체인(99)을 여러층으로 걸어서 난간을 설치하여 착탈식 작업대(90)의 설치를 완료한다.After the fixing brackets 90a and the footrest 90b ar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compartment, several handrail supports 98 are fixed to the outer rear brackets 91 and the front brackets 91a by bolts. Then, between the assembled handrail support 98, the railing chain (99) in several layers to install the railing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removable worktable 90.

설치된 착탈식 작업대(90)의 해체는 조립방법과 반대의 순서로 실시한다.Dismantling of the installed removable work table 90 is carried out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ssembly method.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착탈식 작업대(90)의 구성과 설치상태에 의하면, 순환대차(60)를 사용 중에 또는 처음부터 착탈식 작업대(90)의 설치 필요가 요구되는 작업조건에 맞추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및 분해 철거할 수 있는 바,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state of the removable worktable 9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disassemble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s where the installation of the removable worktable 90 is required during use or from the beginning. Demolition bar,

작업자가 교각 코핑(35)에서 순환대차(60)에 탑승하여 점검, 보수작업을 실시할 때에, 작업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때나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때 및 보다 안정적인 작업자세가 요구될 때에 종래의 고정식점검대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작업통로를 매우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operator boards the circulation cart 60 in the bridge coping 35 to perform inspection and repair work, when a long time is required, when several workers work at the same time, and when a more stable work tax is required, It is very easy to provide a working path having the same function as a fixed checkpoint.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일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Configuration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주행레일과 주행장치의 주행휠들에는 마찰계수를 높이고 소음을줄이며 강재의 녹을 방지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주행레일과 주행휠들의 전부 또는 일부 각각에 도금이나 합성수지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 means for increa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reducing noise, and preventing steel rust on the traveling wheels and the traveling wheels of the traveling device, a plating or synthetic resin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traveling rail and the traveling wheels.

또한 주행레일의 상면과 내측단에 합성수지재 패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주행휠의 재질 자체를 합성고무류, 우레탄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ynthetic resin pa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inner ends of the running rail, and the material of the driving wheel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f synthetic rubber, urethane or engineering plastics.

또한 순환대차의 케이지는 강재를 골조로 하고 다공판재로 외장판과 밑판을 형성하는 구성 외에도 케이지 전체를 강화플라스틱(F.R.P)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안내로울러들도 강재나 활접상태가 좋은 합성수지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age of the circulation bogie is made of steel frame, and the outer plate and base plate are formed of perforated plate, and the whole cage may be formed of reinforced plastic (FRP), and the upper and lower guide rollers are also made of steel or sliding state. It can be composed of a good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순환식 점검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제공된 고정식 점검시설의 일 단점인 외관상 보기 흉한 단점들을 해결하면서도, 시설비를 대폭 줄여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교각의 코핑 둘레 전체에서 용이하게 보수 및 점검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유지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solving the unsightly disadvantages of one of the conventional fixed inspection facilities provided, it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facility cost, and easily throughout the pier coping circumference Maintenance and inspection work can be performed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교량 전체의 수 개의 교각들 간을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이동식 점검시설에 비하여 작동부위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작동상의 하자가 없는 매우 실용적인 교량 점검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착탈식 작업대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보수 점검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it provides a very practical bridge inspection device that has fewer moving parts and simpler structure than operation inspection facilities that move rails between several bridges throughout the bridge.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maintenance inspection work more stably and conveniently by installing.

Claims (4)

각종 교량의 교각들 상단에서 실시되는 제반 점검 및 보수작업을 위한 점검시설을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inspection facilities for all inspection and maintenance work performed on the tops of bridges of various bridges, 상기 교각의 코핑에서 출입사다리가 설치되는 일 측단에 측면브라켓으로 지지되어 코핑의 측단 상단면에서부터 외측으로 일정 폭을 갖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탑승대와,A boarding stand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with a certain width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end of the coping is supported by the side bracket on one side end where the access ladder is installed in the pier coping, 수 개의 교각들 각각에 대하여 교각의 코핑 상단 전,후면에 어느 일 측에 임의 규격과 간격을 갖고 매입 고정되는 수 십개의 레일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들의 끝단에 내측단이 고정되어 상기 교각 코핑의 상단 전,후면 어느 일 측에 일정 구간 순환왕복식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로 구성된 순환대차용 레일장치와,Dozens of rail brackets which are fixed at any one side of the pier coping upper and rear sides of the pier for each of several piers at the end and the inner ends are fixed to the ends of the rail brackets so that the top of the pier coping A rail device for a circulation bogie consisting of a running rail installed in a circulating reciprocating manner on ei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상기 탑승대로부터 작업자가 탑승하는 상부 개방형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에 현가되면서 케이지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교각 코핑의 외측면에 활접하도록 상기 케이지의 외면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안내로울러장치를 구비한 순환대차들을 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An upper open type cage in which the operator rides from the board, a traveling device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ge, which is suspended on the running rail of the rail device, and which runs on the cage, and which sli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er coping; Circulation type inspection device for bridg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consisting of the circulation bogie provided with a lower guide roller device installed on the inner inner bottom. 제1항에 있어서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에는,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지는 수 개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들 간에 걸쳐져 폭방향으로 여러 장 조립되는 일정단위 크기의 장방형 쪽판으로 분할된 발판과, 상기 고정브라켓들 간에 설치되는 난간부재로 구성되는 착탈식 작업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The traveling rail of the rail apparatus is divided into several fixed brackets fitted from above to the traveling rail of the rail apparatus, and a rectangular side plate of a predetermined unit size which is assembled in the width direction across the fixed brackets. And a detachable work platform comprising a footrest and a handrail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brackets. 제1항에 있어서 레일장치의 주행레일은, 강재(鋼材)의 사각관을 재질로 하여, 수 개의 교각(34)들 각각에 대하여 코핑(35) 상단 전,후면(35a) 어느 일측에서 임의 규격과 간격을 갖고 매입 고정되는 수 십개의 레일 브라켓(51)들의 끝단에 고정보울트들에 의하여 내측단이 상부에 일정 폭을 두고 고정되는 주행레일(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running rail of the rail device, made of a steel square tub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ers 34, the arbitrary specification on ei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35a of the top of the coping 35 Circulation type for bridge pier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unning rail 50, the inner end of which is fixed at a certain width on the upper end by high information bolts at the ends of the dozens of rail brackets 51 which are fixed at intervals. Insp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순환대차의 주행장치는, 순환대차(60)의 케이지 상단 프레임(62)에 대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고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설된 구동축(65)과, 상기 구동축(65)에 대하여 케이지 내측에 고정된 회전 핸들(63)과, 상기 구동축(65)의 외측단에 고정 축설된 구동스프라킷기어(66)와,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상단 좌우에서 각각 회전 자유롭게 축설되어 상기 구동스프라킷기어(66)와 체인(67)으로 전동되는 2개의 종동스프라킷기어(68)를 고정축설한 2개의 종동축(69)과, 상기 종동축(68)들에서 종동스프라킷기어(68)들의 외측방에 고정 축설되어 상기 주행레일(50)의 상면에 활접하는 좌우 2개의 주행휠(70)들과,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외측에서 주행휠(70)들의 좌우 외방에 고정된 브라켓(71)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50)의 내측단에 활접하는 2개의 안내로울러(72)들과, 상기 케이지 상단프레임(62)의 하단일측에서 좌우 2개의 주행휠(70)들의 하방측에 각각 주행레일(50)의 하단면에 회전 자유롭게 활접하도록 2개의 아이들축(73)에 각각 축설되는 2개의 받침로울러(74)들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교각용 순환식 점검장치.The driving device of the circulation bogie according to claim 1 includes a drive shaft (65) penetrating from the inside of the cage top frame (62) of the circulation bogie (60) outward and rotatably arranged by a bearing, and the drive shaft (65). Rotation handle 63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ge, the drive sprocket gear 66 fixed to the outer end of the drive shaft 65 and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cage upper frame 62, respectively freely rotatable Two driven shafts 69, which are fixed and laid out of two driven sprocket gears 68, which are arranged and driven by the drive sprocket gear 66 and the chain 67, and the driven shafts 68 Two left and right traveling wheels 70 fixedly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driven sprocket gears 68 and sli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rail 50, and a traveling wheel outside the cage upper frame 62.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by the brackets 71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70 Two guide rollers 72 gliding to the inner end of the running rail 50 and a running rail 50 on the lower side of the two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70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cage upper frame 62, respectively. Circular bridge circulating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support rollers 74 which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two idle shafts (73) so as to slide free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KR2020020002368U 2002-01-25 2002-01-25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KR2002748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68U KR200274859Y1 (en) 2002-01-25 2002-01-25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68U KR200274859Y1 (en) 2002-01-25 2002-01-25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349A Division KR100563267B1 (en) 2002-01-25 2002-01-25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859Y1 true KR200274859Y1 (en) 2002-05-11

Family

ID=730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368U KR200274859Y1 (en) 2002-01-25 2002-01-25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85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2051A (en) Vehicle parking apparatus
KR101942017B1 (en) Exiting cycle
KR20120074466A (en) Moving inspection vehicle for an arch type bridge structure
KR101194256B1 (en) A moving check way for bridge checkup
JP3865578B2 (en) Moving scaffold for bridge
CN108561157B (en) A operation platform truck that is used for reinforcement to carry ligature and waterproof cloth to lay
US2067344A (en) Bridge span inspection and maintenance traveler
KR200274862Y1 (en) traveling apparatus for movable inspection of pier arround
KR200274859Y1 (en)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KR200274860Y1 (en)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KR100563267B1 (en) apparatus of movable inspection for bridge -pier
KR101794205B1 (en) Carriage for Bridge
KR20090069478A (en) Movable bridge inspection equipment
KR101050474B1 (en) Bridge maintenance eccentric style movable type inspection
CN214459726U (en) Hanging-filling beam spraying maintenance equipment
DE19512009C1 (en) Parking pallet for heavy motor cycles and other vehicles
CN115949221B (en) Building outside climbing type building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JP2001080869A (en) Crane for maintenance and detection of moving sidewalk
CN213510651U (en) Integral type two lining platform trucks for tunnel construction
JP6445670B1 (en) Passenger convey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1688157U (en) Adjustable elevator maintenance platform
CN216379194U (en) Cantilever tool trolley for girth welding of side box girder of cable-stayed bridge
CN216678740U (en) Stand sprays paint with carrying post device
CN210714010U (en) Longitudinal moving lift truck for multi-row lifting shuttle type parking system
CN215207941U (en) Closed corridor riding instead of walk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