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463Y1 - 개폐가 용이한 클립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463Y1
KR200274463Y1 KR2020020002604U KR20020002604U KR200274463Y1 KR 200274463 Y1 KR200274463 Y1 KR 200274463Y1 KR 2020020002604 U KR2020020002604 U KR 2020020002604U KR 20020002604 U KR20020002604 U KR 20020002604U KR 200274463 Y1 KR200274463 Y1 KR 200274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
clip
members
pai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202002000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463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조작이 용이한 클립이 개시된다. 그러한 클립은 그 상면의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제1 집게부재와, 그 저면의 선단부에 제1 요철부와 맞물리게 제2 요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재의 수납홈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클립{CLIP}
본 고안은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힌지결합되는 두 집게부재에 결합부재를 장착하여 서로 용이하게 고정가능하며, 탄성부재를 장착함으로써 결합해제시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음으로 조작이 용이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또는 무선 호출기(이하, 휴대기기) 등을 사용자의 의류 등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립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클립은 휴대기기에 연결된 연결끈에 고정되며, 의류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만큼 벌리거나 오무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클립 구조를 살펴보면, 제1 집게부재와, 제1 집게부재와 힌지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전시 제1 집게부재와 맞물리는 제2 집게부재와, 제2 집게부재를 제1 집게부재 방향으로 누름으로서 체결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끈등을 고정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를 제2 집게부재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집게부재를 가압하여 제1 집게부재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클립은 각각의 집게부재를 맞물리기 위하여 별도의 가압부재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구조가 복잡해짐으로 제조단가 및 제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로 힌지결합되는 두 집게부재에 결합부재를 적용하여 서로 용이하게 고정가능하며,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결합해제시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음으로 조작이 용이한 클립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평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립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의 제1 집게부재의 평면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집게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A선"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의 제2 집게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집게부재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B-B선"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도 9(a)에 도시된 "C-C선"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상면의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제1 집게부재와; 그 저면의 선단부에 제1 요철부와 맞물리게 제2 요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재의 수납홈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클립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제1 집게부재(1)와,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집게부재(1)에 맞물리는 제2 집게부재(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집게부재(1) 및 제2 집게부재(3)는 서로 가압하는 경우 결합부재(5)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결합되며,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7)에 의하여 서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클립의 제1 집게부재(1)는 도3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소정 곡률로 굴곡된 형상이다.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선단부 상면에는 다수개의 제1 요철부(9)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요철부(9)는 상기 제2 집게부재(3)의 제2 요철부(23)와 서로 맞물림으로써 연결끈 등의 대상물(도시안됨)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중간 양측부에는 한 쌍의 돌출턱(11)이 상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턱(11)은 서로 일정거리 떨어짐으로써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돌출턱(11)은 양측방에 형성된 손잡이(12)를 손 등으로 각각 가압하는 경우 내측방향으로 기울어 지게 되며, 해제하는 경우 탄력성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돌출턱(11)의 전면에는 상술한 결합부재(5)의 일부인 걸림편(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편(13)은 서로 소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게 되며, 한 쌍의 걸림편(13)의 상부에는 걸림턱(15)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 집게부재(3;도7)의 탄성편(17;도7)이 상기 걸림편(13)에 외측으로부터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후방에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홈(19)이 형성된다. 이 수납홈(19)에는 후술하는 상기 제2 집게부재(3)의 힌지축(21)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 집게부재(3)는 도6 내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선단부 저면에는 다수개의 제2 요철부(23)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요철부(23)는 가압시 제1 요철부(9)와 서로 맞물림으로써 대상물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 집게부재(3)의 중간부에는 상기한 결합부재(5)의 일부인 한 쌍의탄성편(17)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탄성편(17)은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탄성편(17)의 하부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집게부재(3)가 가압되어 상기 제1 집게부재(1)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탄성편(17)이 상기 걸림편(13)에 접촉하여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서 걸림편(13)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결합부재(5)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걸림편(13)의 손잡이(12;도5)를 양측방으로부터 가압하여 내측으로 기울임으로써 탄성편(17)과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서로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집게부재(3)의 후단부에는 힌지축(21)이 형성되며, 이 힌지축(21)은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수납홈(19)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납홈(19)의 입구부(27;도4)는 힌지축(21)의 직경(D)과 동일 내지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21)은 상기 수납홈(19)의 입구부(27;도4)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9)의 내부공간은 상기 힌지축(21)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상기 힌지축(21)은 상기 수납홈(19)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 집게부재(3)가 제1 집게부재(1)에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운동에 의하여 개폐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1,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탄성부재(7)에 의하여 서로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7)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7)은 상기 제1 집게부재(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 다리부(7b)와 제2 집게부재(3)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 다리부(7a)로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7)는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1,3)를 외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게 된다.
결국, 상기 결합부재(5)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7)은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집게부재(1,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집는 경우, 먼저 대상물(도시안됨)을 제1 집게부재(1)의 제1 요철부(9)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2 집게부재(3)를 제1 집게부재(1)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제1 집게부재(1)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 집게부재(3)의 탄성편(17)이 제1 집게부재(1)의 걸림편(13)에 접근하게 되고, 상기 탄성편(17)의 걸림턱(25)이 걸림편(13)의 걸림턱(15)에 걸림으로써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은 대상물을 고정하게 되며 결합부재(5)에 의하여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7)은 제1 및 제2 집게부재(1,3)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클립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1 집게부재(1)의 손잡이(12)를 양측방으로부터 가압한다. 손잡이(12)가 측방 외력에 의하여 가압되면, 상기 걸림편(13)은 내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 지게 되며, 이때 상기 걸림편(13)과 탄성편(17)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7)이 제1 및 제2 집게부재(1,3)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는 상태임으로, 상기 걸림편(13)과 탄성편(17)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1,3)를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은 해제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탄성편과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집게부재들을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집게부재들의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결합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부품의 수를 줄이고 간단화 함으로써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그 상면의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요철부가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수납홈이 형성되는 제1 집게부재와;
    그 저면의 선단부에 제1 요철부와 맞물리게 제2 요철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 후면에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게부재의 수납홈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집게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집게부재를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클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편과,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클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은 상기 제1 집게부재의 중간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그 상부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클립.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은 상기 제2 집게부재의 중간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며, 그 하부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의 걸림턱에 결합/해제되는 클립.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립.
KR2020020002604U 2002-01-28 2002-01-28 개폐가 용이한 클립 KR200274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04U KR200274463Y1 (ko) 2002-01-28 2002-01-28 개폐가 용이한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04U KR200274463Y1 (ko) 2002-01-28 2002-01-28 개폐가 용이한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463Y1 true KR200274463Y1 (ko) 2002-05-06

Family

ID=7311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04U KR200274463Y1 (ko) 2002-01-28 2002-01-28 개폐가 용이한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4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6845B2 (ko)
GB2324115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EP1027842A1 (en) Rotation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plates in center fixing device of band-shaped ornament
JP3179479B2 (ja) 物体を互いに連結するための締着装置
US6892878B2 (en) Case for holding a disc-shaped article
KR200274463Y1 (ko) 개폐가 용이한 클립
KR20180079723A (ko) 팔찌용 체결구조
JP2002262921A (ja) 携帯品装着用の取付装置
US20050174752A1 (en) Lantern detachable cap
KR200373108Y1 (ko) 머리핀
JP3160852U (ja) クリップおよびクリップハンガー
KR200393855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3048611U (ja) クリップ
KR200408639Y1 (ko) 신분증 고정구
GB2038917A (en) Buckle for Watch Bands
JP3048228B2 (ja) 携帯電話機
KR200428961Y1 (ko) 스냅훅
KR200304201Y1 (ko) 가방끈 걸고리
KR200258143Y1 (ko)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JP3062130U (ja) クリップおよびクリップ付き携帯電話
JP3419742B2 (ja) 警備用盾の取手装置
JP3046302U (ja) 携帯電話の取付け具
KR970006231Y1 (ko) 탄력걸쇠
JP2001204267A (ja) クリップ具およびその係脱機構
KR200272270Y1 (ko) 휴대폰의 배터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