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449Y1 -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 Google Patents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449Y1
KR200273449Y1 KR2020010040352U KR20010040352U KR200273449Y1 KR 200273449 Y1 KR200273449 Y1 KR 200273449Y1 KR 2020010040352 U KR2020010040352 U KR 2020010040352U KR 20010040352 U KR20010040352 U KR 20010040352U KR 200273449 Y1 KR200273449 Y1 KR 200273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teel
site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학
김유정
Original Assignee
황학
정태옥
김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학, 정태옥, 김유정 filed Critical 황학
Priority to KR2020010040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4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449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에 매몰되는 철근 보강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20) 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10)이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배열 및 철선 체결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철근망 조립에 소용되는 인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직접 절단하여 조립하는 대신 공장에서 설계도면에 따라 철근망을 제작하여 현장에 공급하므로 현장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간격이 유지되므로 구조물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사현장에서 작업인력의 감축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REINFORCING BAR OF STEEL PLATE BAND FOR REINFORCING BAR NET}
본 고안은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배열 및 철선 체결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철근망 조립에 소용되는 인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직접 절단하여 조립하는 대신 공장에서 설계도면에 따라 철근망을 제작하여 현장에 공급하므로 현장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간격이 유지되므로 구조물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사현장에서 작업인력의 감축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철근(reinforcing bar: 鐵筋)은 철근 콘크리트 시공때 보강재로 구조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부재(部材)에 작용되는 인장 및 압축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은 먼저 철근을 조립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경화됨으로써 완성된다. 이렇게 철근은 콘크리트에 매몰되어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어 인장력 및 압축력 기능을 보강하게 되므로 보강근(補强筋)이라고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철근을 공사현장으로 반입하여 소요 길이에 따라 철근을 절단하고 이를 스래브 콘크리트 타설현장으로 운반하여 인력에 의하여 개개의 철근을 일방향으로 소요간격에 따라 배열한다. 그런 다음 이와 직각방향으로 또 다른 철근을 배열하여 격자망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상기 철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망의 각 교차점을 이루는 상하 철근을 철선으로 묶어 고정시켜 철근망을 조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공사현장에서 매 철근마다 소요길이에 따라 절단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철근의 교차점마다 철근이 이동하지 않도록 수작업을 통하여 일일이 철선으로 묶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하고, 작업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며, 콘크리트 타설시 철선이 끊어지거나 풀어져 철근이 이동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된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 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을 구비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며, 제2목적은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배열 및 철선 체결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철근망 조립에 소용되는 인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직접 절단하여 조립하는 대신 공장에서 설계도면에 따라 철근망을 제작하여 현장에 공급하므로 현장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간격이 유지되므로 구조물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공사현장에서 작업인력의 감축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에 매몰되는 철근 보강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 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의 일부를 나타낸 사
시도.
도 2 는 본 고안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의 일부를 나타낸 부
분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을 원통형태로 감은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근망 10: 철근
20: 강판띠 30: 용접부위
본 고안에 적용된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부호 10은 철근 콘크리트 시공때 보강재로 콘크리트 속에 넣는 철근으로, 이때 상기 철근(10)에는 원형철근(圓形鐵筋:SBC)과 이형철근(異形鐵筋:SBD)이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부호 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판띠이다.
상기 강판띠(2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20) 위에는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철근망(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철근망(1)에 구비되는 강판띠(20)와 철근(10)이 상호 맞닿는 부분마다 용접부위(30)가 형성되게 용접함으로 상기 강판띠(20)와 철근(10)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강판띠(20)와 철근(10)을 상호 일체로 형성하는 기술은 용접 이외에 다른 기술적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철근망(1)을 보관 및 양중 운반작업이 용이하도록 원통형태로 둥글게 말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형태와 균등형태 및 대체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철근(10)과 강판띠(20)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1)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둥글게 말아 보관, 양중 및 공사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사현장으로 운반된 철근망(1)은 둥그렇게 말린 상태로 크레인에 의해 건물의 각 층에 올려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스래브가 단철근일 경우에는 두 개의 일방향 철근망(1)이 필요한데, 먼저 원주형태의 첫 번째의 일방향 철근망(1)을 해당위치로 운반하여 펼친 후에 이에 직각방향으로 두 번째의 일방향 철근망(1)을 펼치면 격자형의 철근망(1)이 완성(도면상에는 미 도시함)된다.
또한 스래브가 복철근일 경우에는 네 개의 일방향 철근망(1)이 필요한데 먼저 위의 단철근의 경우처럼 두 개의 일방향 철근망(1)으로 하부철근망을 형성한 후 소요높이에 따라 스페이서(도면상에는 미 도시함)를 설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다시 일방향 철근망(1)으로 상부철근망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일방향 철근망(1)을 서로 직각방향으로 겹치게 함으로써 하나의 양방향 철근망(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반복적으로 하면 다층의 철근망(1)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 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을 구비한 것이며,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배열 및 철선 체결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철근망 조립에 소용되는 인력과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직접 절단하여 조립하는 대신 공장에서 설계도면에 따라 철근망을 제작하여 현장에 공급하므로 현장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간격이 유지되므로 구조물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공사현장에서 작업인력의 감축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인하여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에 매몰되는 철근 보강재에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강판띠(20) 위에 이와 직각방향으로 철근(10)이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강판띠(20)와 철근(10)이 서로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강판띠(20)와 철근(10)이 상호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KR2020010040352U 2001-12-27 2001-12-27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KR200273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52U KR200273449Y1 (ko) 2001-12-27 2001-12-27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352U KR200273449Y1 (ko) 2001-12-27 2001-12-27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449Y1 true KR200273449Y1 (ko) 2002-05-03

Family

ID=7311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352U KR200273449Y1 (ko) 2001-12-27 2001-12-27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4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6754U1 (ru) * 2022-08-03 2023-02-28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розоров Арматурный кове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6754U1 (ru) * 2022-08-03 2023-02-28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розоров Арматурный кове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942B2 (en) Rebar wall set-up bar
KR20130087365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시스템 및 연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KR200273449Y1 (ko) 철근이 강판띠와 일체로 형성된 철근망
ITPS20000010A1 (it) Pannello cassaforma pre-armato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0541609B1 (ko) 긴장재가 내장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부재의디본딩 구조 및 그 구조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보 부재의 제작방법
KR101628255B1 (ko)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101067844B1 (ko) 상부 인장력과 전단력을 보강하기 위한 철근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
JP3979585B2 (ja) 溶接鉄筋網
JP2003119792A (ja) ワイヤ方式法面工法
KR200334326Y1 (ko) 긴장재가 내장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부재의디본딩 구조
JP2905469B1 (ja) 壁および床スラブの配筋方法
JPH09209500A (ja) Rc構造物用の先組み鉄筋部材
JP2538528B2 (ja) 斜面安定化工法
KR200392049Y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을 위한 철근구조
JPH0685441U (ja) 堰板付き鉄筋組体ユニット
JP2003027646A (ja) スラブ鉄筋配筋方法及びスラブ鉄筋ユニット
JPH11107288A (ja) 法 枠
CN115450108A (zh) 基于爪子筋结构的防纵筋屈曲的桥墩钢筋构造的构建方法
KR19980025271A (ko) 철근조립체 제작방법
KR101343790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JPH0755220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配筋構造
CN117188606A (zh) 一种预应力装配式混凝土梁柱节点及其施工方法
KR20060121667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을 위한 철근구조
JP2599120B2 (ja) 斜面安定化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