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285Y1 -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285Y1
KR200273285Y1 KR2020010036304U KR20010036304U KR200273285Y1 KR 200273285 Y1 KR200273285 Y1 KR 200273285Y1 KR 2020010036304 U KR2020010036304 U KR 2020010036304U KR 20010036304 U KR20010036304 U KR 20010036304U KR 200273285 Y1 KR200273285 Y1 KR 200273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vehicle
rail
sides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경
Original Assignee
강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경 filed Critical 강태경
Priority to KR2020010036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285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 또는 대형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손쉽게 덮을 수 있게 하여 차량 이동중일때 흙이나 돌, 모래 등이 적재함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한, 그리고 이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바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 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좌우 양측 및 후방으로 절첩되는 팬스 및 전방으로는 화물 지지 가더를 형성한 적재대를 구비한 화물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지지 가더의 측면 팬스 높이 이상의 양측으로는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주지의 자바라 절첩식 브래킷을 포함한 일정 길이의 고정 레일;
양측 팬스의 상기 고정 레일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가동 레일이 설치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레일 및 가동 레일은 양 내향측에 절결부가 형성된 찬넬구조이거나, 상부가 개구된 찬넬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Covering Apparatus for Loading Duck of Freight Car}
본 고안은 화물차 또는 대형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을 손쉽게 덮을 수 있게 하여 차량 이동중일때 흙이나 돌, 모래 등이 적재함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한, 그리고 이를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게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적재함을 덮는 용도로 쓰이는 호루나 기타 비닐의 재질로 된 커버를 단순 평면으로 재단하여 가장자리에 홀을 형성하고 줄을 이용하여 화물운반중에 물건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는 절첩하여 별도로 보관되는 것은 물론 이를 사용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물건을 커버할 때 커버를 덮는 작업과 그 둘레의 연결 줄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화물이 흙이나 돌, 모래 등과 같은 거친 물건일때 비닐 덮개로 된 커버가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이 고속으로 운행중 일때는 적재함에 적재된 돌이나, 흙, 모래 등이 비닐커버나 호루의 고정끈 사이로 흘러내려와 뒤따르는 차량에 떨어지거나 지나가는 보행자들에게 떨어져 크게 다치는 등의 피해와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이 고정 부착식으로 설치된 장치에 의해 손쉽게 화물을 커버하고 해제시킬 수 있게 한 커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차량을 별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추가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목적은 차량 본체의 후방에 설치된 좌우 양측 및 후방으로 절첩되는 팬스 및 전방으로는 화물 지지 가더를 형성한 적재대를 구비한 화물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지지 가더의 측면 팬스 높이 이상의 양측으로는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주지의 자바라 절첩식 브래킷을 포함한 일정 길이의 고정 레일;
양측 팬스의 상기 고정 레일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일정 길이의 가동 레일이설치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고정 레일 및 가동 레일은 양 내향측에 절결부가 형성된 찬넬구조이거나, 상부가 개구된 찬넬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전 및 사용상태를 보인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측방 팬스 후방부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측방 팬스 후방부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전 및 사용 상태를 보인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측방 팬스 후방부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따른 측방 팬스 후방부 단면도이다.
차량 본체(100)의 후방에 설치된 좌우 양측 및 후방으로 절첩되는 팬스(110, 120) 및 전방으로 화물 지지 가더(130)를 형성한 적재대(200)를 구비한 화물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지지 가더(130)의 측면 팬스(110) 높이 이상의 양측으로는 지지 브래킷(30)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하부에 롤러(R)를 설치한 주지의 자바라 절첩식 브래킷(40)을 포함한 일정 길이로써 후단에 스톱퍼 핀(P)이 착탈되게 한 고정 레일 (10);
양측 팬스(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 레일(10)과 연장되어 연결되는일정 길이로써 후단에 스톱퍼 핀을 구비한 가동 레일(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레일(10) 및 가동 레일(20)은 양 내향측에 절결부(11,21)가 형성된 찬넬구조로 형성된다.상기에서 차량 지지 가더(130)의 측면 높이 이상으로 설치되는 고정 레일 (10)은 주지의 화물차량 설계기준에 따르면 약 40㎜이상의 높이에 설치되어 갭(G)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는 적재대의 양측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팬스의 상단부는 일정면적의 평면을 이루고 있어 팬스가 회전하는 경우 힌지에서 가장 먼 지점은 팬스의 상단부의 평면이 아니라 팬스의 모서가 되므로 팬스를 회동시켜 가동레일과 고정레일을 일축선상에 있게 하는 때에는 팬스의 모서리가 고정레일의 하부와 간섭을 일으켜 그 실시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 레일(10) 및 가동 레일(20)은 상부 중앙부가 개구된 가이드 절결부(12,22)가 형성된 찬넬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b에서와 같이 측면 팬스(110)상에 고정되는 가동 레일 (20)은 측면 팬스 상부에 캡상으로 씌워져서 볼트 및 너트(51,52)로 고정되는 지지프레임(50)의 상면에 용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4b에서와 같이, 측면 팬스(110)상에 고정되는 가동 레일 (20)은 측면 팬스 상부에 캡상으로 씌워져서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의 양 측면에 접하는 좌우 한쌍의 앵글(23,24)을 덧대어 볼트 및 너트(51,52)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설치전 상태로써, 절첩식 브래킷(40)이 절첩되너 밀착된 상태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40)이 풀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레일(10)의 후단에 스톱퍼 핀(P)에 의해 잠금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스톱퍼 핀(P)은 가동 레일(20)의 후단에도 설치될 것이다.
화물 등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측면 및 후방 팬스(110,120)를 상부로 올려 장착한 후, 고정 레일(10)에서 스톱퍼 핀(P)을 해제한다. 그러면 고정 레일(10)과 팬스(110)의 상부에 고정된 가동 레일(20)이 일축선 상을 이루면서 고정 레일(10)에있던 절첩식 브래킷(40)이 펼쳐지면서 롤러(R)가 고정 레일(10) 및 가동 레일(20)을 통해 자유롭게 가이드되면서 도 1b에서와 같이 커버를 완료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이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동작되면 될 것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고정 레일(10)과 가동 레일(20)이 비교적 간단한 찬넬구조로써 기존의 화물 차량에 쉽게 용접 등의 작업으로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이 팬스(110,120)의 상부 면을 이용하여 절첩식 브래킷(40)의 하중을 버티게 함으로써 그 설계적 효과가 배가되며, 고정 레일(10)의 브래킷(3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 레일(10)의 저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이 고정 부착식으로 설치된 장치에 의해 손쉽게 화물을 커버하고 해제시킬 수 있게 한 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기존의 차량을 별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목적을 쉽게 달성하여 차량 운전자가 손쉽게 화물을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 장치를 자동으로 절첩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비교적 정밀한 치수와 균형을 갖지 못하는 화물차에서 수동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그 효과를 배가할 수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고안은 주지의 설계적 변형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 본체(100)의 후방에 설치된 좌우 양측 및 후방으로 절첩되는 팬스(110, 120) 및 전방으로 화물 지지 가더(130)를 형성한 적재대(200)를 구비한 화물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지지 가더(130)의 측면 팬스(110) 높이 이상의 양측으로는 지지 브래킷(30)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하부에 롤러(R)를 설치한 주지의 자바라 절첩식 브래킷(40)을 포함한 일정 길이로써 후단에 스톱퍼 핀(P)이 착탈되게 한 고정 레일 (10);
    양측 팬스(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 레일(10)과 연장되어 연결되는 일정 길이로써 후단에 스톱퍼 핀을 구비한 가동 레일(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10) 및 가동 레일(20)은 양 내향측에 절결부(11,21)가 형성된 찬넬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10) 및 가동 레일(20)은 상부 중앙부가 개구된 가이드 절결부(12,22)가 형성된 찬넬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측면 팬스(110)상에 고정되는 가동 레일(20)은 측면 팬스 상부에 캡상으로 씌워져서 볼트 및 너트(51,42)로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의 상면에 용접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측면 팬스(110)상에 고정되는 가동 레일(20)은 측면 팬스 상부에 캡상으로 씌워져서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50)의 양 측면에 접하는 좌우 한쌍의 앵글(23,24)을 덧대어 볼트 및 너트(51,52)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2020010036304U 2001-11-24 2001-11-24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200273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4U KR200273285Y1 (ko) 2001-11-24 2001-11-24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04U KR200273285Y1 (ko) 2001-11-24 2001-11-24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285Y1 true KR200273285Y1 (ko) 2002-04-25

Family

ID=7307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04U KR200273285Y1 (ko) 2001-11-24 2001-11-24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2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94B1 (ko) * 2010-05-31 2011-07-19 김웅기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200471766Y1 (ko) * 2013-09-23 2014-03-13 박태화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394B1 (ko) * 2010-05-31 2011-07-19 김웅기 차량용 적재함 덮개
KR200471766Y1 (ko) * 2013-09-23 2014-03-13 박태화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1261A (en) Catwalk for vehicle boxes
US5868449A (en) Auxiliary tailboard assembly for drop-down tailgate
KR200273285Y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20140140703A (ko)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US4026597A (en) Collapsible overhead guard
KR20100077384A (ko)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차량
EP1817252B1 (en) Elevator car with fold-away shock absorbing legs, and the corresponding elevator
US4623196A (en) Safety seat assembly for industrial vehicles
US20140239660A1 (en) Apparatus for Collection of Debris Escaping Around a Vehicle Tailgate
EP1992523B1 (en) A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for a semi-trailer
CN207645068U (zh) 一种挡杆组件及具有其的集装箱
US3556449A (en) Retractable corner support
KR101003721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JPS5820636Y2 (ja)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のマスト緩衝装置
CN209290534U (zh) 一种高强度货车护栏及具有该护栏的货车侧防护组件
JPS5814147Y2 (ja)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におけるヘツドガ−ド
RU212560U1 (ru) Вагон-платформа
US6099000A (en) Chair truck table accessory
US2941483A (en) Vehicle folding step assembly
CN207403674U (zh) 新型铰接式自卸车发动机底部防护板结构
KR100330897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로프후크장치
KR100483750B1 (ko) 구내운반차의 조종석에서의 진동흡수장치
BE1013753A3 (nl) Laadbak en elementen hierbij aangewend.
KR20210129811A (ko) 카고 트럭 적재함용 센터 포스트
KR0123143Y1 (ko) 화물자동차의 후방계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