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919Y1 - 전동 요동 침대 - Google Patents

전동 요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919Y1
KR200272919Y1 KR2020020001758U KR20020001758U KR200272919Y1 KR 200272919 Y1 KR200272919 Y1 KR 200272919Y1 KR 2020020001758 U KR2020020001758 U KR 2020020001758U KR 20020001758 U KR20020001758 U KR 20020001758U KR 200272919 Y1 KR200272919 Y1 KR 200272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attress
user
cam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이석
Original Assignee
장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이석 filed Critical 장이석
Priority to KR2020020001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919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요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온몸의 근육은 물론 장(腸)에 떨림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상부가 요동되도록 한 전동 요동 침대(電動搖動寢臺)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침대의 매트리스가 얹혀지는 상부를 전동장치에 의해 레일 위에서 요동되도록 함으로서 매트리스 위에 누운 사용자의 온몸 근육 및 장에 떨림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강한 사람의 질병 예방을 위한 운동은 물론 중증/중복 장애인이나 병약자등 장기간 침대 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변비, 근육 경직,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숙면을 취하는데 지대한 기여를 함과 동시에 기상시 담병 등의 유발을 방지하고, 보호자나 알람시계 등의 도움 없이도 취침 상태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요동 침대{electromotive shaking bed}
본 고안은 전동 요동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온몸의 근육은 물론 장(腸)에 떨림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상부가 요동되도록 한 전동 요동 침대(電動搖動寢臺)에 관한 것이다.
통상 침대는 기대 상에 매트리스를 얹어놓는 구조로 되어 있어 매트리스가 단순히 인체의 굴곡을 따라 탄력을 가지고 떠 받쳐줌과 동시에 보온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편안한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기능을 갖는 것이었다.
이러한 침대는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본래 침대의 효과를 제공하는 반면 중증, 중복 장애인이나 질병으로 인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장기간 정지된 자세로 누워있게 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욕창 및 내장 기관의 약화 현상에 의한 질병에 대해 전혀 역할을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욕창의 경우는 순환, 영양 또는 배설장애, 인지장애, 감각 혹은 운동에 제한이 있는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일종의 합병증으로서 처음에는 뼈 돌출 부위에 아주 국소적으로 발진이 생기나 점점 깊고 커지면서 궤양으로 변하고, 이것이 감염되면 심지어 패혈증으로 진행되어 급기야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무서운 질병인바, 가족이나 주변의 사람들이 적어도 2시간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해 피부의 압박을 경감시키는 등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놓고 이러한 정보를 서로 교환토록 하는 바디엑티비티 운동을 확산시키는 정도가 고작이고, 내장 기관의 약화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인 변비 같은 경우에는 배가 항상 더부룩하고 전신이 무거우며힘이 없음은 물론, 특히 여성들에게는 기미와 여드름, 생리불순 등을 유발함에도 불구하고 약물에 의존하고 있음이 작금의 실정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침대의 매트리스가 얹혀지는 상부를 전동장치에 의해 레일 위에서 요동되도록 함으로서 매트리스 위에 누운 사용자의 온몸 근육 및 장에 떨림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 작용도.
도3 및 도4는 도2에 연계하여 연속적인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
도5 및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요부의 확대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대 2 : 고정프레임 3 : 탄력장치
4 : 실린더 5 : 스프링 6 : 작동로드
7 : 로울러 8 : 조절보울트 9a, 9b : 베어링
10 : 감속기어장치 11 : 회전축 12 : 캠
13 : 만곡면 14 : 수직면 15 : 정점
16a, 16b : 레일 17 : 가동프레임 18 : 헤드보드
19 : 풋보드 20 : 보텀 21 : 캐스터
22 : 매트리스 23 : 연결프레임 24 : 클램프
25 : 콘트롤장치
장방형의 고정프레임(2)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대(1)의 저부 중심에 실린더(4)의 내부에 스프링(5)이 설치되어 전방에 작동로드(6)가 탄력 설치되고, 후방에 조절보울트(8)가 설치되는 탄력장치(3)가 설치된다.
작동로드(6)는 베어링(9a)(9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작동로드(6)의 선단에는 로울러(7)가 설치되며, 감속기어장치(10)의 회전축(11)상에 설치되는 캠(12)이 로울러(7)에 접면되도록 설치된다.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는 단면 삼각뿔 형태의 레일(16a)(16b)이 고정 설치된다.
헤드보드(18)와 풋보드(19) 및 보텀(20)으로 구성되는 가동프레임(17)의 저부 사방에 캐스터(21)가 설치되어 캐스터(21)가 레일(16a)(16b)에 안착되고, 가동프레임(17) 상부에 매트리스(22)가 탑재되며, 헤드보드(18)의 일 측에 통상의 콘트롤장치(25)가 설치된다.
작동로드(6)에는 클램프(24)로 연결프레임(23)이 설치되어 상단이 가동프레임(17)의 저부에 고정된다.
상기 캠(12)은 180도 방향에 동형의 만곡면(13)과 수직면(14) 및 정점(15)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축(11)상에 설치된 캠(12)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울러(7)와 회전 접촉하여 작동로드(6)를 탄력장치(3)측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서 작동로드(6)에 연결프레임(23)으로 연결 설치된 가동프레임(17)이 헤드보드(18)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도2 에서와 같이 캠(12)의 만곡면(13)이 작동로드(6)를 밀어주기 시작하면 작동로드(6)의 후방이 스프링(5)을 압축하게 되고, 가동프레임(17) 또한 계속 헤드보드(18) 측으로 이동하다가 도3 에서와 같이 캠(12)의 정점(15)이 작동로드(6)의 중심선에 위치하게 될 때 가동프레임(17)은 헤드보드(18)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가 되는데, 도4 에서와 같이 캠(12)이 계속 회전하여 정점(15)이 작동로드(6)의 중심선을 지나는 순간 수직면(14)이 로울러(7)와의 접지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키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5)의 탄발력이 작동로드(6)를 캠(12) 측으로 순간적으로 탄동시키게 됨으로서 가동프레임(17)과 함께 상부에 탑재된 매트리스(22)가 동시에 탄력 이동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작동은 캠(12)의 1/2 회전 동안에 이루어 짐으로서 캠(12)이 1회전하는 동안 도2 내지 도4의 작동은 연속해서 2회가 반복되는 것이다.
이때, 탄력장치(3)의 탄발력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실린더 후방에 나사 결합된 조절보울트(8)를 풀어줌으로서 탄발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탄발력이 너무 약할 경우에는 조절보울트(8)를 조여줌으로서 탄발력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가동프레임(17)의 하부에 설치되는 로울러(7)는 도5 및 도6 에서와 같이 중앙이 오목한 형태의 것을 적용함으로서 단면이 삼각뿔 형태를 갖는 레일(16a)(16b)에 긴밀히 안착되어 안내되므로 레일(16a)(16b)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소음 또한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물성이 우수한 우레탄 고무를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감속기어장치(10)는 통상 모우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는 것을 사용케 되는데, 이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변 저속 회전용이 적합하며, 콘트롤장치(25)는 일반적으로 전기/전자 제어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갖추면 족할 것이어서, 감속기어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가변 온/오프(ON/OFF) 스위치와 타이머 및 작동 상태 확인을 위한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정도를 갖추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한바 없으나, 가동프레임(17)이 풋보드(19) 측으로 순간 탄동을 하게 되므로 사람이 누워있는 상태에서 풋보드(19) 측으로 반복 탄동에 따른 극미한 이동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풋보드(19)의 높이를 매트리스(22)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하여 줌으로서 사용자가 침대 밖으로 낙상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필요하다면 가동프레임(17)의 측 방향으로 안전밴드등을 별도로 설치하여 가동 시에는 사용자의 신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안전밴드로 매트리스(22)상에 묶어줌으로서 낙상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사용자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콘트롤장치(25)를 오프 상태로 하게 되면 일반적인 침대로 사용케 됨은 당연할 것이나, 콘트롤장치(25)를 온 상태로 하고 침대에 사용자가 자세를 달리하여 누움으로서 다양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이를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
사용자가 매트리스(22)위에 길이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를 중고속으로 설정한 후 작동시킨 결과 온몸의 근육과 내장 기관에 강한 떨림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바, 건강한 사람이나 스스로 자세를 바꿀 정도의 경미한 장애를 갖는 사람들의 지방질 분해 효과와 장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자는 일정 시간마다 두부를 헤드보드(18)측으로 위치되게 하거나 풋보드(19)측으로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에서 눕거나 엎드리는 자세로 전환하여 줌으로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었는바,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콘트롤장치(25)의 타이머를 조작하여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작동시키고자 하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일정 주기 및 일정 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2 >
사용자가 매트리스(22)위에 길이방향으로 누운 상태로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를 중속으로 설정한 후 작동시킨 결과 온몸의 근육과 내장 기관에 약한 떨림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바, 병약한 사람이나 스스로 자세를 바꿀 수 없을 정도로 중증/중복 장애를 갖는 사람들의 지방질 분해 효과와 장 운동 효과 및 욕창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때, 병약자 또는 보호자는 스스로 또는 환자를 일정 시간마다 '실시예 1'과 같이 자세 전환 및 작동 조건을 설정해 줌으로서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 실시예 3 >
사용자가 매트리스(22)위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취침 또는 휴식 자세로 위치한 상태로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를 저속으로 설정한 후 작동시킨 결과 온몸의 근육과 내장 기관에 경미한 파장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바,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는 마치 요람(搖籃)과 같은 안락함을 제공하여 쉽게 숙면에 빠져들게 하거나 피로를 풀 수가 있었고, 병약자 및 장애인의 경우에는 미약하나마 근육 및 장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취침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고, 병약자 및 장애인의 보호자는 이들의 신체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콘트롤장치(25)의 타이머를 조작하여 일정 시간 후 작동을 멈추도록 시간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 실시예 4 >
사용자가 취침 전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기상 시간에 맞추어 전원이온(ON) 되도록 함과 동시에 감속기어장치(10)를 저속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중고속으로 빨라지도록 설정한 후 취침하게 되면, 설정된 기상 시간에 맞추어 가동프레임(17)이 약한 탄동 작동으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강한 탄동 작동으로 변화됨으로서 사용자가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취침을 하게 됨에 따른 경직된 근육을 서서히 강도를 더해가며 풀어주게 되어 담병(痰病) 발생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아침에 쉽게 기상하지 못하는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보호자나 알람시계 등이 깨우지 않더라도 중고속 회전 시에는 결국 탄동 작동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스스로 기상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실시예 5 >
사용자가 콘트롤장치(25)를 조작하여 감속기어장치(10)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조건에 맞추어 저속 내지 중고속으로 설정한 후 침대의 측면에 침대 높이와 같거나 비슷한 높이의 의자를 배치하고 매트리스(22)의 폭 방향 즉, 길이 방향에 90도 각도로 베개를 베지 않고 편안히 누워 다리를 쭈욱 뻗은 상태에서 무릎을 마주 대고 붙인 자세로 의자 위에 올려놓은 다음 양손은 깍지를 끼어 제3,제4의 경추 아래에 밀착을 시킨 상태에서 감속기어장치(10)를 작동되게 하면 마치 금붕어가 헤엄치는 듯한 일명 '금붕어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척추 좌우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허리와 등 부분을 편안하게 하고, 경추, 흉추, 요추의 3개에 척추골의 아 탈구가 대부분 교정되며,척수 신경,교감,부교감 신경의 기능이 조정됨은 물론 복부에서 장 기능을 생리적인 위치에 되돌리는 작용이 현저하여 장폐색,염전,유착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변비 및 복통 등에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온몸의 근육 및 내장 기관의 운동에 탁월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서 건강한 사람의 질병 예방을 위한 운동은 물론 중증/중복 장애인이나 병약자등 장기간 침대 생활을 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욕창이나 변비, 근육 경직,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숙면을 취하는데 지대한 기여를 함과 동시에 기상시 담병 등의 유발을 방지하고, 보호자나 알람시계 등의 도움 없이도 취침 상태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장방형의 고정프레임(2)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대(1)와;
    선단에 로울러(7)를 갖는 작동로드(6)가 베어링(9a)(9b)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설치되고 후단이 실린더(4)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5)에 탄력 설치되며, 실린더(4)의 후방에 조절보울트(8)가 설치되어 기대(1) 저부의 중심에 설치되도록 한 탄력장치(3)와;
    로울러(7)에 접면되도록 캠(12)이 회전축(11)상에 설치된 감속기어장치(10)와;
    고정프레임(2)의 상부에 고정되고 단면이 삼각뿔 형태를 갖는 레일(16a)(16b)과;
    헤드보드(18)와 풋보드(19) 및 보텀(20)으로 구성되어 상부에 매트리스(22)가 탑재되고 저부 사방에 캐스터(21)가 설치되어 캐스터(21)가 레일(16a)(16b)에 안착되도록 한 가동프레임(17)과;
    하단이 작동로드(6)에 클램프(24)로 고정되고 상단이 가동프레임(17)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23)과;
    헤드보드(18)에 설치되는 콘트롤장치(25)가 감속기어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전동 요동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캠(12)의 외주면을 회전방향에 대하여 180도 위치에 동형의만곡면(13)과 수직면(14) 및 정점(15)으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요동 침대.
KR2020020001758U 2002-01-19 2002-01-19 전동 요동 침대 KR200272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758U KR200272919Y1 (ko) 2002-01-19 2002-01-19 전동 요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758U KR200272919Y1 (ko) 2002-01-19 2002-01-19 전동 요동 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63A Division KR100519965B1 (ko) 2003-04-08 2003-04-08 전동 요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919Y1 true KR200272919Y1 (ko) 2002-04-20

Family

ID=7311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758U KR200272919Y1 (ko) 2002-01-19 2002-01-19 전동 요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9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349B1 (ko)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JP4015259B2 (ja) 頸椎用装具
US8246557B2 (en) Health mat and health bed with the health mat
US8713729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 user
JP4258209B2 (ja) エアーマッサージマット
US8707477B1 (en) Powered rocking bed device
WO2012016493A1 (zh) 三曲面腰椎自然生理曲度康复床垫板
KR200428734Y1 (ko) 신체교정용 침대
KR200272919Y1 (ko) 전동 요동 침대
KR100519965B1 (ko) 전동 요동 침대
JPS61280862A (ja) 空気マツサ−ジ椅子
KR20210088129A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JP5992987B2 (ja) 改良型マットレス
US8011047B2 (en) Spinal relaxation apparatus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CN200938989Y (zh) 组合式承托物
KR102419429B1 (ko) 롤러회전 장치에 의한 마사지 베개
KR200388489Y1 (ko)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CN210728155U (zh) 一种人体模型按摩床
KR200320986Y1 (ko) 척추교정의자
CN213130228U (zh) 一种便携式颈肩腰腿疼康复器
CN106820731A (zh) 人体模型床
KR102213398B1 (ko) 변비 예방 장운동 및 수면 운동매트와 그 운동매트를 이용한 운동방법
KR100807528B1 (ko) 허리를 찜질하고 받쳐주는 뒷무릎 베개
JP2509877B2 (ja) 人体ひずみ整復い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6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