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89Y1 -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89Y1
KR200388489Y1 KR20-2005-0008783U KR20050008783U KR200388489Y1 KR 200388489 Y1 KR200388489 Y1 KR 200388489Y1 KR 20050008783 U KR20050008783 U KR 20050008783U KR 200388489 Y1 KR200388489 Y1 KR 200388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ed
patient
patient bed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베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베드
Priority to KR20-2005-0008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사용하는 침대에 있어서, 특히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는 환자용 침대에 적용되는 매트리스 구조를,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을 따라 5분할된 단위체로 구분 형성하고, 분할된 각각의 단위체를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 굴절 방향에 따라 그 연결방향을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는 환자용 침대의 작동에 따라 그 매트리스의 밀림이나 들뜸없이 자연스럽게 절곡되게 하여 보다 편안하고 합리적인 침대의 사용을 가능케 한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Mattress of a patient bed having multi-bending structure}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사용하는 침대에 있어서, 특히 다단계로 굴절되는 환자용 침대에 적용되는 매트리스 구조를, 5분할된 단위체로 구분 형성하고 각각의 단위체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구분 연결 형성함으로서,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 작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굴절되게 한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사용되는 침대는 환자의 등받이부가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환자의 다리부에 위치하는 매트리스는 수동조작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에 의해 상향으로 각도 조절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매트리스의 일측을 상승시켜 TV를 시청하거나 독서 및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구조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한 나사축의 승강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환자 스스로 구동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하부 일측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모터에 의한 각도 조절은 물론 수동 조작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케 구성되어 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환자 스스로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수동조작에 의한 불편함으로 인해 대부분 자동 각도조절구조를 갖는 침대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의 각도 조절구조는 단순히 매트리스의 일측만을 상향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하는 것이므로 환자의 신체적 구조에 부합되지 않아 일정시간 사용후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구동모터에 의한 소음이 유발되므로 심리적인 안정을 취해야 하거나 소리에 민감한 환자에게는 적합치 않은 것이며,
특히, 환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하체는 여전히 침대 상측에 머물고 있으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무리한 움직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상체만을 상승시켜 휴식을 취하는 경우 환자의 하체는 침대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에는 혈액순환 장애나 다리저림을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되어진 2004년 특허출원 제48784호와 같이, 침대 프레임을 복수로 분할 형성하여 이를 엑츄에이터에 의해 각기 구분 각도 조절되게 함으로서, 이에 의해 사용자의 등받이측 매트리스의 상향 각도 조절은 물론 환자의 대퇴부 및 종아리, 발목부로 분할되는 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환자 하체부의 각도 조절을 가능케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면서도 침대에 누운상태에서도 다양한 매트리스의 각도 조절을 통해 환자의 몸상태에 따라 가장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환자가 침대밖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트리스를 완전한 의자형태로 각도조절되게 하여 그 침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거나 다시 누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 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에 적용되는 매트리스는 통상의 매트리스를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어지는 침대 프레임에 효과적으로 대응 절곡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절곡 프레임 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는 환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형태 및 각도로 그 프레임이 절곡 및 회전 작동하는 것인데, 그 상측의 매트리스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매트리스의 원활한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며, 이에 따라 그 매트리스의 단부가 밀리거나 중간이 들뜨는 등 효과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5분할된 단위체로 구분 형성하고, 분할된 각각의 단위체를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 굴절 방향에 따라 연결방향을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서,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는 환자용 침대의 작동에 따라 그 매트리스가 밀림이나 들뜸없이 자연스럽게 절곡되게 하여 보다 편안하고 합리적인 침대의 사용을 가능케 한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전체사시도이다.
쿠션재로 된 매트리스를 다양한 굴절각도를 갖는 환자용 침대(100)에 적용함에 있어,
그 매트리스를 5분할된 단위체로 구분 형성하여 각각의 단위체를 서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한 각각의 단위체는 등받이부(1)와 엉덩이부(2) 및 허벅지부(3), 종아리부(4), 발판부(5)로 연속하여 구분 형성하되,
상기 등받이부(1)와 엉덩이부(2) 및 허벅지부(3)의 경계부는 상측단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허벅지부(3)와 종아리부(4) 및 발판부(5)의 경계부는 하측단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한 종아리부(4)와 발판부(5)의 경계부는 상향 전개상의 경사면(6)(6')을 대향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엉덩이부(2)와 허벅지부(3)의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별도의 배변부(7)가 형성되어, 그 배변부(7)를 통해 환자가 용변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되어진 환자용 침대는 그 상측 프레임을 다수로 분할 형성하여 엑츄에이터 및 실린더 등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굴절 절곡되도록 만들어진 것으로서, 그 환자용 침대의 굴절 각도에 따라 환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독서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환자용 침대에 적용되는 매트리스는 상기한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과 동일한 분할갯수 및 절곡방향을 갖고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등받이부(1)와 엉덩이부(2) 및 허벅지부(3), 종아리부(4), 발판부(5)로 각각 5분할 형성되고, 이들 분할체는 그 경계부가 서로 연결 되어 있어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도 2의 도시와 같이 환자용 침대(100)의 상측에 올려진 본 고안 매트리스는, 침대의 일측으로부터 등받이부(1) 및 엉덩이부(2), 하벅지부(3), 종아리부(4), 발판부(5)로 각각 분할 형성되어 있어 각각의 분할 단위체는 환자의 신체부위별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그 환자용 침대(100)를 작동시켜 도 3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이 굴절되는 경우에는, 그 프레임의 굴절각도에 따라 상기한 각각의 단위체가 절곡되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굴절각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등받이부(1)와 허벅지부(3)는 통상적으로 상향 절곡되는 것임을 감안하여, 그 엉덩이부(2)의 좌,우측 경계부 선단을 연결 형성함으로서, 상향 절곡시 원활한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허벅지부(3)와 종아리부(4) 및 발판부(5)는 하향 절곡되는 것이므로 이 굴절각도에 따라 그 경계부 하측단을 연결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종아리부(4)와 발판부(5)의 경계부는 하향 굴절시 서로 간섭이 발생하므로 상향 전개상의 경사면(6)(6')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굴절에 의해 접힘이 발생하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매트리스를 사용하게 되면 환자용 침대(100)의 프레임 굴절각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절곡되며 무리없이 편안한 침대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그 환자용 침대(100)의 프레임 내측에 별도의 용변처리시설이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엉덩이부(2)와 허벅지부(3)를 걸쳐 형성되는 별도의 배변구(7)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배변부(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배변부(7)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별도의 덮개(도면에는 미도시함)를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그 배변부(7)를 막아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는, 다양한 각도로 굴절되는 환자용 침대의 작동에 따라 그 매트리스가 밀림이나 들뜸없이 자연스럽게 절곡되게 하여 보다 편안하고 합리적인 침대의 사용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매트리스를 환자용 침대 프레임에 설치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매트리스가 환자용 침대의 작동에 따라 절곡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환자용 매트리스의 타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등받이부 2 : 엉덩이부
3 : 허벅지부 4 : 종아리부
5 : 발판부 6,6' : 경사면
100 : 환자용 침대

Claims (2)

  1. 쿠션재로 된 매트리스를 다양한 굴절각도를 갖는 환자용 침대(100)에 적용함에 있어,
    그 매트리스를 5분할된 단위체로 구분 형성하여 각각의 단위체를 서로 연결 형성하고, 상기한 각각의 단위체는 등받이부(1)와 엉덩이부(2) 및 허벅지부(3), 종아리부(4), 발판부(5)로 연속하여 구분 형성하되,
    상기 등받이부(1)와 엉덩이부(2) 및 허벅지부(3)의 경계부는 상측단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허벅지부(3)와 종아리부(4) 및 발판부(5)의 경계부는 하측단을 연결 형성하며,
    상기한 종아리부(4)와 발판부(5)의 경계부는 상향 전개상의 경사면(6)(6')을 대향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엉덩이부(2)와 허벅지부(3)의 중앙에는 이를 관통하는 별도의 배변부(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KR20-2005-0008783U 2005-03-31 2005-03-31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KR200388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83U KR200388489Y1 (ko) 2005-03-31 2005-03-31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783U KR200388489Y1 (ko) 2005-03-31 2005-03-31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89Y1 true KR200388489Y1 (ko) 2005-06-30

Family

ID=4368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83U KR200388489Y1 (ko) 2005-03-31 2005-03-31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95A (ko)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595A (ko) * 2015-04-27 2016-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KR102001439B1 (ko) * 2015-04-27 2019-07-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349B1 (ko)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US8246557B2 (en) Health mat and health bed with the health mat
CN111671587B (zh) 护理用辅助翻身装置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CN204709198U (zh) 骨科椅
KR100621350B1 (ko) 하지 관절 운동이 가능한 작동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
KR200422757Y1 (ko) 바른 자세 방석
KR200388489Y1 (ko)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KR100622342B1 (ko)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 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
JPS61280862A (ja) 空気マツサ−ジ椅子
KR100661870B1 (ko) 밀림방지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식 환자용 침대
CN214806177U (zh) 一种偏瘫患者康复用护理床
KR100465424B1 (ko) 허리의 근육 신장기
KR101102513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CN109350399B (zh) 智能控制的防坠床装置
JP2004166925A (ja) マットレス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200362237Y1 (ko)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각도 조절을 위한 프레임 구조
CN217138518U (zh) 一种医用褥垫
TWM558007U (zh) 能五段式調整躺臥角度的人體工學床墊及其扶手支架
CN220546022U (zh) 一种便于调节的躺椅
CN217408292U (zh) 一种靠垫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10728155U (zh) 一种人体模型按摩床
CN219662195U (zh) 一种用于心理治疗的躺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