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595A -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 Google Patents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595A
KR20160127595A KR1020150059252A KR20150059252A KR20160127595A KR 20160127595 A KR20160127595 A KR 20160127595A KR 1020150059252 A KR1020150059252 A KR 1020150059252A KR 20150059252 A KR20150059252 A KR 20150059252A KR 20160127595 A KR20160127595 A KR 2016012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rame
hinged
bodies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439B1 (ko
Inventor
신상도
송경준
김주현
박주옥
홍기정
송성욱
김희찬
이정찬
윤명오
함승희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7Stretcher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는, 환자를 눕도록 하여 수용하는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있어서, 격리를 위한 모듈과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2지지대와, 상기 제1,2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는 마감대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반신을 지지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둔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종아리부위를 지지하는 제3바디로 구성되는 가변프레임; 상기 가변프레임의 제1,2,3바디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가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고, 제1,2,3바디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환자의 체위를 0~90도로 조작하여 변경해줌으로써 가장 안정적인 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고, 부피 축소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도 수송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판 구조의 내구성 및 안전성 확보될 수 있고, 시트 내부 오염 등의 방지 대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온열기능에 의해 환자의 체온을 유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Self-contained Isolation Carrier for patient transport}
본 발명은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생방 및 핵물질 등에 의해 야기되는 특수재난 현장에서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통한 2차 오염 확산을 차단하면서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해 거동이 불가한 환자를 안전하게 병원으로 긴급히 이송시키기 위해 환자 이송용 들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휴대가 간편하고, 주로 휴대가 간편하고 이송이 용이한 환자 운반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제0193342호 "다용도 구조용 들것"이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다용도 구조용 들것(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상호 탈 부착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2개의 조립부(11,12)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조립부에는 합성수지 성형물로 형성된 여러 개의 결합부재(15); 상기 결합부재에 끼워 맞춤되어 조립되는 프레임(17); 상기 결합부재 외측 소정위치에 동축 상에 위치도록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파이프조립부(16);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파이프로서, 상기 파이프조립부(16)에 미끄럼작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조립부(11, 12)의 분리 상태에서는 일 측 조립부(11)의 파이프조립부(16)에 조립되어 고정되고, 조립부의 결합 시에는 타측 조립부(12)쪽으로 이동시켜 절반이 타측 조립부(12)의 파이프조립부(16)에 조립되도록 하여 결합수단(13, 14)에 의해 연결된 결합부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강파이프(21)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한편 화생방 및 핵물질 등에 의해 야기되는 특수재난현장에서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의 경우, 통상적인 인명 구조 및 응급처치 이외에도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통해 2차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격리 장비를 이용하여 충분한 격리조치를 수행한 이후 이송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 환자 격리 장치와 환자 운반 장치는 별도의 분리된 장치로서 존재하고 있어, 유해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유연한 지지대에 의해 외부형태가 유지되고 외부와는 가벼운 무게의 투명하지만 충분한 두께의 방수 재질의 환자 격리 장치에 반듯하게 눕히고 다시 환자 운반 장치 위로 얹어서 이송하여야 하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바 환자 격리 장치와 환자 운방 장치의 보관, 운반이 어렵고 설치하는데 시간 소요가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두 장치의 구조상의 간섭 등으로 인해 특수한 의학적인 처치나 치료를 위해 필요한 환자 체위 변경이 불가하여 환자 상태가 악화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눕거나 구부린 상태로도 수용될 수 있도록 형태 가변이 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환자 운반 장치에 격리기능을 통합하여, 유해 물질에 오염된 환자를 적절하게 격리하면서 환자 상태나 의학적인 필요에 따라 적합한 자세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질병 및 외상에 의한 상태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를 눕도록 하여 수용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2지지대와, 상기 제1,2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는 마감대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반신을 지지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둔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종아리부위를 지지하는 제3바디로 구성되는 가변프레임; 상기 가변프레임의 제1,2,3바디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가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고, 제1,2,3바디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을 구비한 모터이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이 제1바디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장치;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을 구비한 모터이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이 제2,3바디의 연결부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는 종아리 및 발을 받칠 수 있도록 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 받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수평되게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는 캐스터와, 상기 상기 발 받침부의 가동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롤러로 구성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체위를 0~90도로 조작하여 변경해줌으로써 가장 안정적인 포지션을 설정할 수 있고, 부피 축소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도 수송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판 구조의 내구성 및 안전성 확보될 수 있고, 시트 내부 오염 등의 방지 대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온열기능에 의해 환자의 체온을 유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리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는, 격리를 위한 격리모듈(100)과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2지지대(21)(22)와, 상기 제1,2지지대(21)(22)의 양단에 연결되는 마감대(24)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2); 상기 메인프레임(2)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반신을 지지하는 제1바디(41)와, 상기 제1바디(41)와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둔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42)와, 상기 제2바디(42)에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종아리부위를 지지하는 제3바디(43)로 구성되는 가변프레임(4); 상기 가변프레임(4)의 제1,2,3바디(41)(42)(43)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가변프레임(4)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고, 제1,2,3바디(41)(42)(43)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절곡부(82)가 형성된 시트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자 격리 이송장비는 주로 화학 및 생물학 물질(일부에서는 방사선 물질)에 노출된 환자를 대상으로 격리를 위한 모듈(isolation module)과 공기정화송풍기(filtration blower system)의 2가지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격리를 위한 격리모듈(100)은 구부릴 수 있는 유연한 지지대(120)에 의해 외부형태가 유지되고 외부와는 가벼운 무게의 투명하지만 충분한 두께의 방수 PVC 재질(일부에서는 다른 소재)의 방호막(150)을 이용하여 조작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고 뾰족한 물체에 의한 천공을 방지한다.
또한 조작이 가능한 너비의 장갑으로 보호된 구멍(140)을 통하여 환자에 대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정맥로 및 산소공급을 위한 연결선과 심전도와 같은 환자 감시장비를 위한 전선의 출입에 대비한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정화송풍기(160)가 구비되고, 공기정화송풍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2가지 방식의 특별한 정화방식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환자에게 전달하여 냉각효과를 제공하고 헤파(HEPA) 공기 정화 시스템과 연결되어 음압환경을 유지함으로써 오염물질이 누출되면서 발생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특정 장비는 음압뿐 아니라 양압환경도 제공할 수 있어 화상환자와 같은 면역저하상태의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대부분 충전식 전지를 이용하여 8시간~10시간정도 연속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완전 충전을 하는데는 4-6시간이 소요된다.
격리모듈(100) 전체 장비의 무게는 10kg 내외로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비교적 가벼운 무게이다.
몇몇 제품은 작은 크기의 보관 가방에 말아서 휴대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강화한 제품도 있었다.
환자 이송을 위해 환자 이송장비인 침상 등에 통합되거나 필요에 따라 탈 부착하는 방식이 존재하며 별도의 고정용 부가장치가 존재한다. 이외에도 환자 신체에 유래한 체액이나 혈액 등을 흡인하거나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2)은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되며 일정 길이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제1,2지지대(21)(22)와, 상기 제1,2지지대(21)(22)의 양단에 연결되는 짧은 길이의 마감대(24)로 구성되어 대략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며 사람의 표준 신장에 적합한 길이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프레임(4)은 제1바디(41)가 상하로 승강되면서 환자의 등을 지지하게 되고,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제2바디(42) 및 제3바디(43)는 서로 힌지로 연결되고, 이 연결된 부위는 환자의 무릎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가 되도록 하여 다리를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611)을 구비한 모터(612)이며, 상기 작동축(611)의 선단이 제1바디(41)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612)는 메인프레임(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장치(61);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621)을 구비한 모터(622)이며, 상기 작동축(621)의 선단이 제2,3바디(42)(43)의 연결부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622)는 메인프레임(2)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장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승강장치(61)의 작동축이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제1바디(4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유발된다.
제2승강장치(62)의 작동축이 신장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제2바디(42) 및 제3바디(43)가 상승 및 하강작동이 유발된다.
상기 시트부(8)는 쿠션을 갖는 소재가 바람직하고, 표면은 직물 또는 인조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며, 세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균처리가 되어야 하고, 아울러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해 방오처리 된 소재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8)는 환자의 체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줄 수 있도록 열선이 내장되어 온열기능이 포함된다. 물론 열선의 온/오프는 외부의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고, 또는 타이머 및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에 온오프작동되고, 설정된 온도에 맞춰 온오프 작동되도록 한다.
시트부(8)는 가변프레임(4)으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탈착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시트부(8)의 하부에는 가변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2,3바디(41)(42)(4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단면이 'C'자 형상으로 된 탄성력을 갖는 클립이며, 클립의 외측에는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조임구가 형성된다. 조임구는 클립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볼트이며, 볼트의 일단이 제1,2,3바디(41)(42)(43)의 외주면에 강하게 지지되어 조임력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의 일측에는 종아리 및 발을 받칠 수 있도록 발 받침부(7)가 형성된다.
상기 발 받침부(7)는 상기 메인프레임(2)에 힌지 연결된 가동프레임(72)과, 상기 가동프레임(72)에 형성된 쿠션(74)으로 구성된다.
발 받침부(7)는 환자가 누운 자세에서는 메인프레임(2)과 평행되게 펴지거나 또는 앉은 자세에서는 수직되게 접히는 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2)의 타측에 수평되게 연결되는 지지대(25)와, 상기 지지대(25)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는 캐스터(26)와, 상기 상기 발 받침부(7)의 가동프레임(72)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롤러(27)로 구성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5)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다리(28)가 더 형성된다. 다리(28)는 파이프를 절곡시켜 형성되며 지면이나 구급차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캐스터(26)를 보조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부를 작동시켜 제1,2,3바디(41)(42)(43)를 펴지도록 하여 수평 상태로 하여 평상으로 배치하면 환자를 누운 자세로 시트부(8)에 수용할 수 있다.
이후 메인프레임(2) 및 지지대(25)를 운반자가 파지한 채 이동시킨 다음 지면이나 구급차의 바닥에 내려놓는다.
또는 조절부의 제1승강장치(61)를 작동시켜 제1바디(41)를 세워 상반신만 세우도록 하여 자세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환자를 앉은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제1승강장치(61)를 신장시키고, 제2승강장치(62)도 신장시켜 시트부(8)가 의자의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환자를 앉은 자세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환자를 앉은 자세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처에 따라 적합하도록 자세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메인프레임 4 : 가변프레임
7 : 발 받침부 8 : 시트부
21,22,23 : 제1,2,3지지대 41,42,43 : 제1,2,3바디

Claims (7)

  1. 환자를 눕도록 하여 수용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에 있어서,
    격리를 위한 격리모듈과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되는 제1,2지지대와, 상기 제1,2지지대의 양단에 연결되는 마감대로 구성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연결하며 상반신을 지지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둔부와 대퇴부를 지지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에 연결되며 힌지 결합되어 굴절작동되며, 종아리부위를 지지하는 제3바디로 구성되는 가변프레임;
    상기 가변프레임의 제1,2,3바디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
    상기 가변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자가 누울 수 있고, 제1,2,3바디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시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을 구비한 모터이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이 제1바디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장치;
    상하로 승강작동되는 작동축을 구비한 모터이며, 상기 작동축의 선단이 제2,3바디의 연결부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항균처리 및 방오처리된 소재이고, 열선이 내장되어 온열기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는 종아리 및 발을 받칠 수 있도록 발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발 받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가동프레임과, 상기 가동프레임에 형성된 쿠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수평되게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는 캐스터와, 상기 상기 발 받침부의 가동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롤러로 구성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일측에 상기 가변프레임의 제1,2,3바디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단면이 'C'자 형상으로 된 탄성력을 갖는 클립이며, 클립의 외측에는 조임력을 제공하도록 조임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구는 클립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볼트이며, 볼트의 일단이 제1,2,3바디의 외주면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KR1020150059252A 2015-04-27 2015-04-27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KR10200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52A KR102001439B1 (ko) 2015-04-27 2015-04-27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52A KR102001439B1 (ko) 2015-04-27 2015-04-27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595A true KR20160127595A (ko) 2016-11-04
KR102001439B1 KR102001439B1 (ko) 2019-07-18

Family

ID=5753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52A KR102001439B1 (ko) 2015-04-27 2015-04-27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10B1 (ko)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KR101883489B1 (ko) * 2017-05-02 2018-07-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 격리모듈장치
KR101878411B1 (ko)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수재난 환자이송침상
KR20210016909A (ko) * 2019-08-06 2021-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격리 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61U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대형 트럭의 착탈식 침대
JPH11290383A (ja) * 1998-04-08 1999-10-26 Tabai Espec Corp クリーン患者搬送容器
KR200388489Y1 (ko) * 2005-03-31 2005-06-30 주식회사 해피베드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KR200397421Y1 (ko) * 2005-07-13 2005-10-04 김용태 접이식 온열 이동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61U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대형 트럭의 착탈식 침대
JPH11290383A (ja) * 1998-04-08 1999-10-26 Tabai Espec Corp クリーン患者搬送容器
KR200388489Y1 (ko) * 2005-03-31 2005-06-30 주식회사 해피베드 다단 절곡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
KR200397421Y1 (ko) * 2005-07-13 2005-10-04 김용태 접이식 온열 이동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10B1 (ko) * 2017-04-05 2018-07-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침상의 수평유지방법
KR101878411B1 (ko) * 2017-04-05 2018-08-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특수재난 환자이송침상
KR101883489B1 (ko) * 2017-05-02 2018-07-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 격리모듈장치
KR20210016909A (ko) * 2019-08-06 2021-02-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격리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39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1522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10182956B2 (en) Transport apparatus
US8914924B2 (en) Patient support with universal energy supply system
RU2612920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надувной матрас, способ надувания/сду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дувного матраса и способ наклона несу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медицинского надувного матраса
US8887327B2 (en) Fold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patient
US9254233B2 (en) Apparatus for lifting persons
KR102001439B1 (ko) 격리기능이 통합된 환자 이송용 운반 장치
EP3215098B1 (en) Device for containing deadly germs of a patient during treatment
US11642267B2 (en) Patient positioning and support system
EP3107424B1 (en) Patient lifter with intraoperative controlled temperature air delivery system
EP1505936A2 (en) Patient transfer device having inflatable air mattress
US10987267B2 (en) Patient transport apparatus
US8646125B2 (en) Transport apparatus
WO2011067594A1 (en) Inflatable member for rotating sleep surface transfer system
KR102027334B1 (ko) 환자 감시 및 응급소생처치를 위한 통합 기능성 구급 침상 플랫폼 장치
EP2086492B1 (en) A patient support surface with turn-assist
US7685656B1 (en) Transfer device
CN210698058U (zh) 改进医护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