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864Y1 -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864Y1
KR200272864Y1 KR2020010041086U KR20010041086U KR200272864Y1 KR 200272864 Y1 KR200272864 Y1 KR 200272864Y1 KR 2020010041086 U KR2020010041086 U KR 2020010041086U KR 20010041086 U KR20010041086 U KR 20010041086U KR 200272864 Y1 KR200272864 Y1 KR 200272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layer
leak
drainage
lea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송
박월영
Original Assignee
신충송
박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충송, 박월영 filed Critical 신충송
Priority to KR2020010041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864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고 누출된 침출수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 정화 처리함으로써 누출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매립지 원지반의 바닥면 위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차수층과, 상기 차수층 위에 포설된 차수막과,상기 차수막 위에 설치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폐기물 매립지에 있어서, 상기 차수층 내에 포설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의 내에 설치되어 누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Landfill structure with a system of detecting leaked leachate and withdrawing the same}
본 고안은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고 누출된 침출수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 정화 처리함으로써 누출 침출수에 의해 지하수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생활 쓰레기나 산업 폐기물을 보다 환경 친화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잉여 폐기물과 소각 부산물은 폐기물 매립지에 매립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 매립은 매립 장소나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와 매립가스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불투수층, 침출수 집배수시설 및 매립가스포집시설이 갖추어진 위생 매립이 주로 실시되고 있다.
즉,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생 매립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매립지의 하부에는 폐기물의 분해에 따라 발생되는 침출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불투수층(120)과 발생된 침출수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침출수 집배수시설(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불투수층(120)은 투수계수가 적은 점토 등으로 이루어진 차수층(123)과 상기 차수층(123)을 보호하기 위해 그 위에 포설되는 차수막(127)으로 구성되므로 '차수막층'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침출수 집배수시설(130)은 상기 차수막(27)위에 형성된 다공성의 침출수 배수층(129)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129)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집수관(134) 및 침출수 이송관(145)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폐기물 분해와 우수의 유입으로 침출수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불투수층(120)에 의해 침출수가 지하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매립지의 하부로 모인 침출수는 상기 침출수 집배수시설(1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어 정화 처리되기 때문에 침출수에 의한 지하수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불투수층(120)과 침출수 집배수시설(130)이 모두 갖추어진 위생 매립지라 하더라도 매립지 조성공사 중에 차수막이 찢어지거나 또는 연약지반 등에서 부등침하가 일어나 차수층이 손상되는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매립지로부터 상당량의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차수막으로 사용되는 고밀도 합성수지(HDPE)시트는 차수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시공 중 또는 매립작업 중에 찢어지거나 뚫어져서 침출수가 누출되는 경우가 있고, 차수층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점토류는 고결력이 약하기 때문에 부등침하에 의해 쉽게 붕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침출수의 누출을 보다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이를 크게 구분하면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침출수 탐지방법과 침출수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차수막층 보강방법의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다.
먼저,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6769호 "누수발생위치 검출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수막의 위쪽과 아래쪽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전원을 접속할 때 착수막이 파손된 곳은 전류의 절대치가 커지고 전류의 위상이 인가전압의 위상과 유사하게 되는 경향을 이용하여 차수막이 파손된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차수막의 위치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되면, 손상된 차수막을 조기에 보수하여 더 이상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침출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보강방법으로는 차수막 위쪽에 보호층을 더 설치하여 차수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원지반 위에 차수막을 더 포설하여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출수 누출 탐지방법은 매립 초기에는 유효한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어느 정도 매립이 진행된 후에는 아무런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매립 초기에 침출수 누출이 탐지된 경우에는 침출수가 누출되는 부위를 적당한 방법으로 보수하거나 교체함으로써 더 이상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매립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는 비록 침출수의 누출이 탐지되더라도 침출수가 누출되는 부분을 보수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므로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반면 원지반 위에 차수막을 더 포설하는 방법은 침출수가 누출되는 초기에는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계속해서 침출수가 누출되는 경우에는 침출수의 누출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누출된 침출수가 차수층을 통해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이 매우 높아져 침출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환경오염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는 신뢰감을 주지 못하면 신규 폐기물 매립지를 확보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여 손상된 부위를 보수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누출된 침출수는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 정화 처리함으로써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2중 또는 3중으로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위생 매립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여 손상된 부위를 보수하거나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동시에 누출된 침출수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서 매립시기에 관계없이 항상 침출수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 매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생 매립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매립지의 단면도,
도3은 누출 침출수 집수관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침출수 누출 점검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누출 침출수의 처리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 차수층 23': 제1 차수층
23": 제2 차수층 25 : 누출 침출수 배수층
27 : 차수막 29 : 침출수 배수층
30 : 침출수 집배수시설 33 : 누출 침출수 집수관
35 : 침출수 집수관 46 : 누출 침출수 탐지장치
70 : 누출 침출수 집배수시설 75 : 침출수 누출 점검조
83 : 전극 85 : 전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립지 원지반의 바닥면 위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차수층과, 상기 차수층 위에 포설된 차수막과, 상기 차수막 위에 설치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폐기물 매립지에 있어서, 상기 차수층 내에 포함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의 내에 설치되어 누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은 상기 차수층 내에 전면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의 외측 단부에는 외부에서 육안 관찰이 가능한 침출수 누출 점검조가 설치되고, 상기 침출수 누출 점검조 내부에는 누출 침출수의 유무 또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침출수 누출 점검조에 저장된 누출 침출수는 이웃하게 설치된 침출수 집수조로 자연 유하되어 침출수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차수층 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과; 상기 누출 침출수 집수관을 감싸도록 설치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전극과; 상기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과; 각 전극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와; 각 전극의 전류량을 비교하여 침출수 누출 부위를 판단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매립지 원지반의 바닥면 위에 불투수층과 침출수 집배수관이 설치된 폐기물 매립지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 위에 형성된 제1 차수층과, 상기 제1차수층 위에 형성된 누출 침출수 차수막과, 상기 누출 침출수 차수막 위에 형성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된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위에 형성된 제2 차수층과, 상기 제2 차수층 위에 형성된 침출수 차수막과, 상기 침출수 차수막의 상부에 형성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된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매립지의 설치방법은 원지반 위에 200∼300mm 두께로 제1 차수층을 형성하는 제1 차수층 설치단계와; 상기 제1 차수층 위에 200∼300mm 두께로 쇄석을 쌓아 누출 침출수의 배수층을 형성하는 누출 침출수 배수층 설치단계와;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내에 다공관을 설치하여 누출 침출수 집수관을 형성하는 누출 침출수 집수관 설치단계와;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위에 500∼1000mm 두께로 제2 차수층을 형성하는 제2 차수층 설치단계와; 상기 제2 차수층 위에 2mm 두께의 고밀도 합성수지 시트를 포설하는 침출수 차수막 설치단계와; 상기 침출수 차수막 위에 5∼10mm의 지오컴포지트를 포설하여 상기 차수막을 보호하는 보호층 설치단계와; 상기 보호층 위에 200∼300mm 두께로 쇄석을 쌓아 침출수 배수층을 형성하는 침출수 배수층 설치단계와;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다공관을 설치하여 침출수 집수관을 형성하는 침출수집수관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폐기물 매립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은 원지반(3) 위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차수층(23)과, 상기 차수층(23) 내에 설치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25)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 내에 설치된 누출 침출수 집수관(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수층(23)은 투수계수가 1×10-6cm/sec 이하인 점토, 고화토, 벤토나이트 또는 점토광물 혼합토 등(이하, ‘점토 등’이라 함)으로 이루어진 제1차 차수층(23')과 투수계수가 1×10-7cm/sec 이하인 점토 등으로 이루어진 제2차 차수층(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차 차수층(23')은 약 200mm∼300mm 정도의 두께로 포설하되, 그 중간 예를 들어, 원지반(3)으로부터 200mm∼300mm의 높이에 공극률과 투수계수가 큰 자갈, 쇄석,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하, ‘쇄석 등’이라 함)을 200mm∼300mm 정도의 두께로 설치하여 누출 침출수 배수층(2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은 상기 차수층(23) 위에 전면적으로 포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포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누출 침출수 배수층(25) 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으로 흘러 들어온 누출 침출수는 상기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어 상기 제1 차수층(23')의 상단에는 투수계수가 1×10-7cm/sec 이하인 점토 등으로 이루어진 제2 차수층(23")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고밀도 합성수지 시트(HDPE)로 이루어진 차수막(27)이 설치되고 상기 차수막(27)의 상부에는 쇄석 등으로 이루어진 침출수 배수층(29)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29)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배출시키는 다공성 침출수 집수관(34)이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침출수 배수층(29)의 상부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수의 폐기물 층(5)과 중간 복토층이 형성되고 그 최상단 폐기물 층의 위에는 최종 복토층이 차례로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은 불투수층인 상기 차수층(23) 내에 누출 침출수 배수층(25)과 누출 침출수 집수관(33)이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차수막(27) 또는 차수층(23)의 상부(23")가 손상되어 침출수가 누출되더라도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 및 집수관(33)을 통해 누출된 침출수가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기 때문에 침출수가 지하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과 집수관(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누출 침출수는 육안 관찰이 가능한 침출수 누출 점검조(47)로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침출수 누출 점검조(47)를 주기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침출수의 누출 시기 및 누출 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점검조(47) 내에 침출수 측정수단(46)을 설치하여 침출수의 누출여부 및 수위변화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이어서,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매립지는 침출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출수 집배수시설(30) 뿐만 아니라 누출 침출수를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누출 침출수 집배수시설(70)이 더 구비되어 있어 침출수가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침출수 집배수시설(30)은 차수막(27) 상부에 설치되어 폐기물층(5)에서 발생된 침출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침출수 배수층(29)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29)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수집하는 다수의 침출수 집수관(34)과 상기 다수의 침출수 집수관(34)에 의해 수집된 침출수를 외부로 이송하는 침출수 이송관(45)으로 구성되며, 상기 누출 침출수 집배수시설(70)은 상기 차수층(2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막(27)과 차수층의 상부(23")를 통해 누출된 침출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누출 침출수 배수층(25)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 내에 설치되어 누출 침출수를 수집하는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33)과 상기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33)에 의해 수집된 누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누출 침출수 이송관(4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침출수 이송관(45)의 단부에는 이송된 침출수가 일시 저장되는 침출수 집수조(55)가 설치되고 누출 침출수 이송관(43)의 단부에는 이송된 누출 침출수가 일시 저장되는 침출수 누출 점검조(57)가 설치되며, 상기 침출수 누출 점검조(75)에 저장된 누출 침출수는 이웃하게 설치된 상기 침출수 집수조(55)로 넘쳐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누출 침출수를 별도의 침출수 누출 점검조(75)를 거쳐 침출수 집수조(55)로 보냄으로써 누출 침출수의 탐지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침출수 집수조(55)로 자연 유하하여 별도의 동력이 소요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 상기 침출수와 누출 침출수는 혼합되어 유량조정조(57)와 이후의 각종 침출수처리공정을 거쳐 정화된 후 하천으로 방류되게 된다. 도6은 이러한 누출 침출수의 처리공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지반(3)위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제1차 차수층(23')과, 상기 차수층(23') 내에 설치된 제1 차수막(26)과 상기 제1 차수막(26) 위에 설치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25)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 내에 설치된 누수 침출수 집수관(33)으로 구성된다. 이어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25)의 상부에는 제2 차수층(23")이 형성되고 그 위에는 제2 차수막(27), 침출수 배수층(29) 및 침출수 집배수관(34)이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차수막(26,27)이 설치되므로 침출수의 누출이 이중으로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수막(26,27) 위에는 배수층(25,29)의 쇄석 등에 의해 차수막(26,27)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컴포지트 등으로 이루어진 보호층(24,28)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매립지의 상황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차수막(26)과 보호층(24)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수층(23) 내에 다수의 누출 침출수 배수관(33)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배설하되 누출 침출수 배수층(25)을 트렌치 타입으로 형성하거나 전면적으로 포설하는 경우에도 가로방향의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a)과 세로방향의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b)으로 유입되는 누출 침출수가 구분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의 단부에는 침출수의 유무에 따라 전류량이 변동되는 소정의 전극(83), 예를 들어 누출 침출수의 접촉량에 따라 저항치가 작아져 많은 량은 전류가 흐르는 전극을 각각 설치한다. 따라서 전원(85)을 통해 상기 전극(83)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극(83)의 저항에 따라 변하는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에서의 침출수 누출 여부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87은 각 전극(83)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이고, 참조부호 89는 침출수의 누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가로방향의 집수관(33a)에 설치된 전극(83)과 세로방향의 전극(83)의 전류량을 비교하여, 예를 들어 각 전극(83)의 전류량을 곱한 값을 기준으로 침출수의 누출 위치를 찾아내는 프로세서이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가로방향의 누출 침출수 배수관(33a)과 세로방향의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33b)에서 누출 침출수가 탐지되는 경우에는 그 교점을 탐색하여 침출수의 누출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침출수 누출 부위가 확인되면 매립 초기의 경우에는 보수하거나 교체함으로써 더 이상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립 후에는 누출 침출수를 신속히 배출시켜 지하수나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는 따른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매립지는 침출수의 누출을 조기에 탐지하여 손상된 부위를 보수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누출된 침출수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매립 시기에 관계없이 항상 침출수에 의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이중 차수층 구조로 시공되므로 침출수가 누출되는 경우라도 지하수와 토양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침출수 누출 점검조를 통해 유량조절조 및 침출수 처리시설로 이송 처리되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비용이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매립지 원지반의 바닥면 위에 소정 두께로 설치된 차수층과, 상기 차수층
    위에 포설된 차수막과, 상기 차수막 위에 설치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되어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폐기물 매립지에 있어서,
    상기 차수층 내에 포함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의 내에 설치되어 누출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침출수가 배수층은 상기 차수층 내에 전면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 침출수 집배수관의 외측 단부에 육안 관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침출수 집수조에 이웃하게 설치되는 침출수 누출 점검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누출 점검조 내부에는 누출 침출수의 유무 또는 유량을 측정 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층 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과;
    상기 누출 침출수 집수관을 감싸도록 설치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다수의 누출 침출수 집수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된 전극과;
    상기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과;
    각 전극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과;
    각 전극의 전류량을 비교하여 침출수 누출 부위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6. 매립지 원지반의 바닥면 위에 불투수층과 침출수 집배수관이 설치된 폐기물 매립지에 있어서,
    상기 원지반 위에 형성된 제1 차수층과;
    상기 제1 차수층 위에 형성된 누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된 누출 침출수 집수관과;
    상기 누출 침출수 배수층 위에 형성된 제2 차수층과;
    상기 제2 차수층 위에 형성된 침출수 차수막과;
    상기 침출수 차수막의 상부에 형성된 침출수 배수층과;
    상기 침출수 배수층 내에 설치된 집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수층 위에 고밀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누출 침출수 차수막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수층은 투수계수가 1×10-6cm/sec 이하인 점토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 매립지 구조.
KR2020010041086U 2001-12-31 2001-12-31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KR200272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86U KR200272864Y1 (ko) 2001-12-31 2001-12-31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86U KR200272864Y1 (ko) 2001-12-31 2001-12-31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9018A Division KR100355434B1 (en) 2001-12-31 2001-12-31 Structure of landfill provided with leachate leakage monitoring and collec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864Y1 true KR200272864Y1 (ko) 2002-04-20

Family

ID=7307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86U KR200272864Y1 (ko) 2001-12-31 2001-12-31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8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8877A (zh) * 2021-07-16 2021-11-02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垃圾池体渗漏和腐蚀监控预警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8877A (zh) * 2021-07-16 2021-11-02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垃圾池体渗漏和腐蚀监控预警系统
CN113588877B (zh) * 2021-07-16 2023-12-19 中能建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垃圾池体渗漏和腐蚀监控预警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4081A (en) Process and structure for storing and isolating hazardous waste
US4810131A (en) Landfill leachate collection and leak detection sump system
KR101769594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발생방지를 위한 제방 우수배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5480260A (en) Ground wate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272864Y1 (ko) 침출수 누출탐지 및 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폐기물매립지의 구조
Cossu Engineering of landfill barrier systems
CN114733890A (zh) 一种填埋场区域地下水修复与监测通道结构
JP2000107721A (ja) 廃棄物処分場の浸出水貯留工法
Fluet Jr et al. A review of geosynthetic liner system technology
JP4002344B2 (ja) 廃棄物処分施設
JP3248437B2 (ja) 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構築工法
JPH1043706A (ja) 廃棄物処分施設の汚染水漏出防止方法および汚染水漏出防止構造
KR100376490B1 (ko) 우수방지 및 매립가스포집능이 우수한 폐기물 매립장용 우수막및 이를 이용한 매립공법
JPH08246485A (ja) 仕切り壁から漏出する汚染水の管理方法
KR100218901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배수 및 폐기물 매립방법
JP3709633B2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遮水構造
Cavalli Composite barrier slurry wall
JPH1015517A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遮水シートの破損検出方法及び漏水防止方法
JPH10128266A (ja) 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構築工法
JP2004237256A (ja) ピット構造
JP2000237710A (ja) 廃棄物処分場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0352541A (ja) 遮水シートの漏水検知システム
Cretan et al. SEALING SOLUTIONS FOR COMPLIANT LANDFILL FOUNDATION, ACTIVITIES UNDERTAKEN TO PROTECT ENVIRONMENTAL FACTORS IN OPERATING AND AFTER CLOSING A LANDFILL
Schneck Technical standards for the construction of hazardous waste landfills in Germany documented at the hazardous waste landfill site at Raindorf
JP3697808B2 (ja)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漏水管理システム及び漏水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