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255Y1 -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255Y1
KR200272255Y1 KR2020020000321U KR20020000321U KR200272255Y1 KR 200272255 Y1 KR200272255 Y1 KR 200272255Y1 KR 2020020000321 U KR2020020000321 U KR 2020020000321U KR 20020000321 U KR20020000321 U KR 20020000321U KR 200272255 Y1 KR200272255 Y1 KR 200272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upport
skate
insertion hole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정
Original Assignee
김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정 filed Critical 김무정
Priority to KR2020020000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55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스케이트 날이 신발부의 뒤축과 서로 분리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스케이트 날을 신발부의 뒤축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12), 신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신발받침대(20), 신발받침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신발받침대의 앞축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케이트 날(16), 신발부(12)의 후방 하단에 돌출 설치되는 지지체(24), 및 스케이트 날의 몸체(18)의 후방 상단에서 지지체(24)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구(26)를 구비하고, 삽입구 및 지지체 사이에는 삽입구가 지지체에 삽입될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삽입된 삽입구가 지지체에서 빠져나가게 하는 반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프링(4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SKATES WITH SEPARATING HEEL}
본 고안은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이트날이 신발부의 뒤축과 서로 분리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스케이트 날을 신발부의 뒤축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란 가죽으로 만든 신발의 밑창에 날 형태의 금속판을 부착하여 빙판 위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활주용구를 말한다. 이러한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신발 부분과 날 부분으로 나뉘어 제작되며, 이후 신발부분과 날부분을 서로 체결수단 등에 의해 신발부 하단으로 스케이트날을 고정하기 위한 날몸체와 날몸체를 고정지지하는 고정판을 결합하여 스케이트날과 신발부를 완전히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튼튼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케이트 신발과 날틀이 분리되는 기술이 소개되었고, 이러한 구조는 빙상경기의 중장거리 트랙(아웃도어 트랙)에서 주행하거나, 회전 시에 속력이 감속되는 것을 막아주고, 구조적으로도 안정되어 좋은 경기력을 갖게 한다는 사실이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이러한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의 한 예가 1998년 7월 14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847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는 스케이트 날이 신발부분의 뒤축과 항상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에도 스케이트 날이 계속해서 신발의 반대방향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는 빙판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스케이트를 수리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분리되는 날틀이 오히려 거추장스럽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빙판을 주행할 때에도 스케이트의 뒤축부분이 계속 붙었다 떨어지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킴은 물론, 사용자의 뒤꿈치에 피로를 주며, 또한 스케이트의 접촉부위 파손이 잘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부와 날부분이 뒤축에서 서로 분리되면서도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수리가 간편하며, 또한 신발부와 날부분 사이에 완충수단을 마련하여 서로 부딪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신발부 하단에 부착되는 신발받침대를 고정판과 앞축 및 뒤축을 단일체로 형성하여 제작의 간소화와 비용절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 받침대의 뒤축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신발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뒤축부분에서 지지체 및 삽입구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케이트의 뒤축부분에서 지지체 및 삽입구가 서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케이트 12..신발부 16..스케이트 날
18..날 몸체 20..신발받침대 24..지지체
26..삽입구 28..패킹 30,32..통공
34..볼트 39..나사부 40..스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 신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신발받침대, 신발받침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신발받침대의 앞축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케이트 날, 신발부의 후방 하단에 돌출 설치되는 지지체, 및 스케이트 날의 몸체의 후방 상단에서 지지체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구를 구비하여 뒤축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삽입구 및 지지체 사이에는 삽입구가 지지체에 삽입될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삽입된 삽입구가 지지체에서 빠져나가게 하는 반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신발부 및 신발받침대의 후방에는 지지체를 관통하도록 통공이형성되고, 삽입구의 상단에는 암나사형 나사부가 형성되어, 삽입구는 신발부의 통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를 나사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삽입구에 고정된다.
또한, 신발받침대는 앞축과 뒤축이 일체형으로 주물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10)는 대략적으로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분과 빙판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스케이트 날 부분으로 구성된다.
신발부분은 가죽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12)가 대략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끈을 넣어 동여매기 위한 다수의 통공(14)이 신발부(12)의 전방에 배열된다.
신발부(12)의 하단에는 강성 재질의 신발받침대(20)가 부착된다. 신발받침대(20)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그 하단에 스케이트 날 부분이 설치된다. 이때, 신발받침대(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앞축이 스케이트 날 부분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뒤축이 스케이트 날 부분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신발받침대로서 앞축부분과 뒤축부분을 분리형으로 제작한 후 각각 별도로 신발부(12) 하단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신발받침대(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앞축부분과 뒤축부분을 일체형으로 주물제작하며, 그로 인해 신발받침대(20)는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를 균일한 강도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일체형 신발받침대(20)는 스케이트 날 부분과 연동될 때 앞뒤축 사이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뒤축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신발받침대(20)는 종래보다 구조적으로도 더 견고하며, 종래의 신발부 밑창에 부착되는 고정판과 스케이트 날을 고정하는 날몸체가 각각 분리되어 따로 결합되는 공정을 간소화하여 제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 등을 가질 수 있다.
스케이트 날 부분은 대략적으로 빙판 위에 미끄럼 접촉하는 스케이트 날(16)과 스케이트 날(16)의 상부에 설치되어 신발받침대(20)와 결합되는 날몸체(18)로 구성된다. 신발받침대(20)와 날몸체(18)는 앞부분에 회전식 결합구(22)가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뒷부분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회전식 결합구(22)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신발부(12)와 스케이트 날 부분의 뒤축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날몸체(18)의 뒷부분 상단에는 삽입구(26)가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삽입구(26)는 신발받침대(20)의 뒷부분 하단에 형성된 지지체(24)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구(26)의 상단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킹(28)을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케이트(10)는 뒤축에 중력이 가해질 때에는 삽입구(26)가 지지체(24)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며, 뒤축에 중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삽입구(26)가 지지체(24)에서 분리되어 스케이트 날 (16)이 지속적으로 빙판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10)는 사용자가 빙판 위를 주행할 때에는 유용하지만, 스케이트를 신지 않은 상태에서는 결합구(22)의 스프링에 의해 뒤축이 분리된 채로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스케이트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삽입구(26)와 지지체(24)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 신발받침대(20)와 지지체(24)에 통공(30)을 형성하고 삽입구(26)의 상단에 나사부(39)를 형성한 후, 통공(30)을 통해 삽입한 볼트(34)를 삽입구(26)에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체(24)에는 중심 위치에 통공(30)이 형성되며, 이 통공은 신발받침대(20) 및 신발부(12)의 하면을 통해 관통된다. 또한, 패킹(28)이 설치될 경우, 패킹(28)에도 이에 대응하는 통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구(26)의 상단에는 통공(30, 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부(39)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통공(30, 32)을 통해 볼트(34)가 삽입되며, 볼트(34)의 단부는 삽입구(26)의 나사부(39)와 서로 나사결합되어, 받침대(20)와 삽입구(26)를 서로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신발부(12)와 날 부분의 뒤축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스케이트의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스케이트 주행을 위해 뒤축 분리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단지 볼트(34)를 회전시켜 나사부(39)와 분리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볼트(34)에는 통상적으로 볼트머리(36)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볼트머리(36)가 사용자의 발바닥을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0)에는 볼트머리(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홈(38)을 형성하여, 볼트(34)가 결합될 때 볼트머리(36)가 홈(38)에 안착되어 바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볼트(34)는 결합 해제시 스케이트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될 수도 있으나, 사용의 편리를 위해서 결합을 해제해도 볼트(34)가 삽입구(26)와는 완전히 분리되고 받침대(20)에는 여전히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 예로서 홈(38)을 더 깊게 형성하고, 볼트(34)에 턱을 형성하여 통공(30)에서 완전히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4는 받침대(20)와 날 부분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받침대(20)와 날 부분이 볼트(34)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10)에는 뒤축 부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스프링(40)은 지지체(24)의 하단, 즉 삽입구(26)의 상단, 또는 패킹(28)이 설치될 경우 패킹(28)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40)은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체(24)는 하부 양측에 연장부(25)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함몰된 부분을 가지며, 이 연장부(25) 사이의 함몰된 부분으로 삽입구(26)가 삽입된다. 이때, 스프링(40)은 지지체 연장부(25) 사이의 함몰된 부분에 설치되여, 삽입구(26)가 삽입될 때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패킹(28)이 설치될 경우 스프링(40)은 패킹(28)의 상변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키게 된다. 또한, 이 스프링(40)은 삽입구(26)가 지지체(24)에 삽입되었다가 다시 분리되는 경우, 삽입구(26)가 보다 빠르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반발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스케이트 주행시 본 고안의 스케이트를 착용한 사용자가 스케이트 뒤축을 빙판에서 떼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스케이트 날이 신속하게 분리되어 빙판에 밀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42는 스프링(40)을 지지체(24)에 결합시키기 위한 스프링 결합부(42)이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는 필요에 따라 뒤축을 결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시에 날 부분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날 부분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뒤축의 접촉부위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뒤축이 서로 맞닿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 사용자의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케이트날이 뒤축으로부터 이탈될 때에는 보다 신속하게 작용되는 이점이 있고, 신발받침대가 고정판과 앞축 및 뒤축이 일체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스케이트날을 고정하기에 간단하며 제작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12), 상기 신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신발받침대(20), 상기 신발받침대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신발받침대의 앞축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케이트 날(16), 상기 신발부(12)의 후방 하단에 돌출 설치되는 지지체(24), 및 상기 스케이트 날의 몸체(18)의 후방 상단에서 상기 지지체(24)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구(26)를 구비하여 뒤축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 및 상기 지지체 사이에는 상기 삽입구가 상기 지지체에 삽입될 때 충격을 완화시키고, 삽입된 삽입구가 상기 지지체에서 빠져나가게 하는 반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프링(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 및 상기 신발받침대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체를 관통하도록 통공(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의 상단에는 암나사형 나사부(39)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는 상기 신발부의 통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34)를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삽입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받침대는 신발을 받쳐주는 고정판과 앞축 및 뒤축이 일체형으로 주물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KR2020020000321U 2002-01-05 2002-01-05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KR200272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21U KR200272255Y1 (ko) 2002-01-05 2002-01-05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21U KR200272255Y1 (ko) 2002-01-05 2002-01-05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255Y1 true KR200272255Y1 (ko) 2002-04-13

Family

ID=7307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321U KR200272255Y1 (ko) 2002-01-05 2002-01-05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348C (en) Skating sports device with a detachably mounted exchangeable blade
US8661708B2 (en)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AU2010318724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KR20000067994A (ko)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US6623017B1 (en) Skate with removable blade
US7516562B2 (en) Multi-function cycling shoe
US5839736A (en) In line skate construction
JPH09122291A (ja) インラインローラースケート
FR2816177A1 (fr) Element de renfort de tige
JP2006511301A (ja) サスペンションヒールループを備えたスノーボードのビンディング
US6712395B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used interchangeably as a jumpshoe or roller skate
KR200272255Y1 (ko)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US20090284001A1 (en) Roller Shoe
US11198053B2 (en) Functional shoes and functional device for functional shoes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KR20080013671A (ko)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
US6145854A (en) In-line roller skate
JP2000507468A (ja) スポーツ・レジャー及び/又はフィットネス用具
KR200275147Y1 (ko)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EP0993326B1 (en) Ergonomic skate boot with shock absorber
KR200324899Y1 (ko)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롤링슈즈
KR200412979Y1 (ko)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KR200345591Y1 (ko) 착탈식 인라인 신발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