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979Y1 -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 Google Patents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79Y1
KR200412979Y1 KR2020050032921U KR20050032921U KR200412979Y1 KR 200412979 Y1 KR200412979 Y1 KR 200412979Y1 KR 2020050032921 U KR2020050032921 U KR 2020050032921U KR 20050032921 U KR20050032921 U KR 20050032921U KR 200412979 Y1 KR200412979 Y1 KR 200412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e
wheel
driv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갑주
Original Assignee
윤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갑주 filed Critical 윤갑주
Priority to KR2020050032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써, 신발부의 저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설되여 일정부분 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형상의 구동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은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상기 신발부와 대응되게 굴선 할수 있도록 분리해서 부착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착설되도록 바퀴케이스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저면에는 고무재질의 전진 및 제동부재가 결착되며 상기 바퀴케이스와 구동바퀴의 이격공간에는 볼 베어링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육상 피거스케이트, 구형바퀴, 프레임, 볼 베어링, 전진 및 제동부재

Description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driving frame for attaching to shoe}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 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면의 분리구성도이다
도 4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프레임 10a : 전방프레임
10b : 후방프레임 20 : 구동바퀴
22 : 베어링 25 : 힌지
30 : 구동바퀴케이스 31 : 공간부
40 : 구동바퀴덮개 50 : 전진 및 제동부재
삭제
60 : 결착벤드 100 : 신발부
본 고안은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발을 수용하는 신발부의 저면에 복수개의 구동바퀴가 축설된 프레임이 결착하여 신체의 전진, 가속, 회전, 정지, 동작등을 가능 가능하게 하는 구동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 등이 개발되여 대중으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으나 기존의 롤러 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는 원판 또는 원통형상의 바퀴가 구비되여 있는바, 기본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만이 가능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동작을 소화하는데 무리가 있어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하고 화려한 동작이 가능한 구형상의 구동바퀴가 구비된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신발에도 결착될 수 있는 결착벤드가 구비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손쉽게 유희용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각별히 안전을 고려하여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이 신발부와 대응되게 굴신될 수 있도록 흰지핀에 의하여 채결되여 있기도 하고 전후방 구별없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될 수도 있으며 상기 신발부의 저면에 고착 또는 안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설되여 일정부분 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형상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착설되도록 반구형의 바퀴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바퀴케이스에는 구동바퀴와 구름 접촉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이 내설되여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이탈되지 않도록 여기에도 볼베어링이 2단이 내설된 바퀴 덮개가 융설되여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가장자리에 걸쳐 고무 재질의 전진 및 제동부재가 결착되여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분리형일때는 상기 신발부와 결착할 수 있도록 결착 밴드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프레임부의 측면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장착용 구동프레임은 발부분을 수용하는 신발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구동 바퀴케이스(30)에 형성된 공간부(31)에 내설되는 구 형상의 구동바퀴(20)을 구비하는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신발부를 안착하도록 형성되여 신발부의 앞축이 굴신됨에 따라 대응되게 굴신 가능하도록 전방 프레임(10a)과 후방 프레임(10b)이 흰지(25)핀으로 체결되여 연결되여 있으며 프레임(10)에는 구형상의 구동바퀴(20)가 적어도 2개 이상 수용될 수 있도록 바퀴케이스(3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바퀴케이스의 공간부(31)는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합입된 구조이다
프레임(10)의 상판은 신발이 안착하기에 적당한 모양으로 형성되여야 하는바 신발의 크기와 신발바닥부분의 두께나 요철을 고려하여 프레임(10)의 상판은 신발의 바닥부분이 밀착하여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프레임(10)의 상판에 안착하는 신발은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의 신발부가 교체하여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 스케이트의 신발부의 바닥부를 결착하는 방법에 따라 신발부의 바닥부와 나사체결하거나 접착제등에 의하여 부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프레임(10)의 상판에는 상기 특수한 신발이 안착되여 신발부와 분리되지 않도록 결착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다 실용적인 사용을 위하여 일반적인 운동화 등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착밴드(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밴드(6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발과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결착밴드(60)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잘 늘어나지 않은 성질을 가지는 쌍을 이루는 밴드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신발부와 결착할 수 있도록 밴드의 일단은 프레임(10)과 결착되여 있으며 밴드중 어느 하나의 타단은 쌍을 이루는 다른 밴드와 결착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바 밴드간에는 벨크로 태잎으로 탈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일단에 조임부가 구비되여 쌍을 이루는 타 밴드의 말단을 조임부에 끼워서 신발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하여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전방프레임(10a)과 후방프레임(10b)에 각각 1개씩의 구동바퀴(20)가 구비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전방프레임(10a)과 후방프레임(10b)에 각각 1개씩의 구동바퀴(20)가 구비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전방프레임(10a)에 1개의 구동바퀴(20)가 구비되고 후방프레임(10b)에 2개의 구동바퀴(2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구동바퀴케이스(30)의 공간부(31)에는 구형상의 구동바퀴(20)의 상측 바 구 부분이 구름접촉하여 자유롭게 구동바퀴(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다수의 볼베어링이 매설되며 바퀴케이스(30)의 공간부(31)에 수용된 구동바퀴(20)가 프레임(10)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볼베어링(22)2단이 매설된 바퀴덮개(40)가 융설되게 된다
삭제
삭제
도 3을 참조하면 바퀴덮개(40)는 구동바퀴(2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폭을 가지는 원형의 태두리 형상을 가지되 측면에서 보았을때 구동바퀴(20)가 지면으로 부터 약 15mm 이상 노출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융설되여 설치되는데 구동바퀴(20) 지름이 60mm 이상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바퀴덮개(40)는 프레임(10)의 저면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저면과 나사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이면 나사가 풀리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퀴케이스(30)와 덮개케이스(40)를 볼트로 조일 수 있도록 구비하여 결합한 다음 풀리지 않도록 조여진 너트에 맞후워 볼트에다 핀구멍을 뚫어 핀을 넣어 구부린다
삭제
한편 프레임의 저면에는 전진 및 제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진 및 제동부재(50)가 부설되게 되는바 전진 및 제동부재(50)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워지며 상기 바퀴덮개(40)가 프레임(10)의 저면으로 부터 융설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지는 않게 되므로 측면에서 보았을때 바퀴덮개(40)는 전진 및 제동부재(5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전진 및 제동부재(50)는 지면으로 부터 약 15mm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바 사용자가 전진 후진 회전 등의 운동을 한후 제동시키고저 하는 경우에는 발을 살짝 안쪽이던 바깥쪽이던 기울이면 된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진 및 제동부재(50)는 프레임(10) 저면의 구동바퀴(20)가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10) 저면의 둘레에 일정 폭을 갖고 부설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발은 어느 방향으로든 기우리기만 하면 제동은 자연스럽게 이루워지게 된다
구형상의 바퀴는 형태의 안전성이 유지되도록 강한 내구력과 강도를 가지는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재질의 구동바퀴(20)를 사용하는 경우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구형상의 바퀴 내부에 일정 부분 중공(中空)상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진행방향이 제한받지 않아 다양하고 화려한 동작이 가능한 구형상의 구동바퀴가 구비된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이 제공되며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인 신발에 결착될 수 있는 결착밴드가 구비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손쉽게 유희용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이 제공된다 안전하게는 맞후워 제작된 신발에 프레임이 고착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6)

  1.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이 신발부와 대응되게 굴신될 수 있도록 흰지 핀에 의하여 체결되여 있되 상기 신발부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착설되여 일정부분 노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형상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착설되도록 반구형의 바퀴케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바퀴케이스에는 구동바퀴와 구름 접촉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이 내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이탈되지 않도록 바퀴덮개가 약간의 볼베어링이 내설된채 융설되여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저면의 가장자리에 걸쳐 고무재질의 전진 및 제동부재가 결착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신발부와 결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결착 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덮개는 상기 프레임으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상의 구동 바퀴는 내부의 일정부분이 중공(中空)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6. 삭제
KR2020050032921U 2005-11-22 2005-11-22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KR200412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21U KR200412979Y1 (ko) 2005-11-22 2005-11-22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921U KR200412979Y1 (ko) 2005-11-22 2005-11-22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79Y1 true KR200412979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921U KR200412979Y1 (ko) 2005-11-22 2005-11-22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9842B2 (ja) ローラースケートおよびローラースケート用ホイールトラック
US7464944B2 (en) Wheeled skate
CN103228324B (zh) 旱冰鞋
US4134598A (en) Land skis
US7618046B2 (en) Roller skate and wheel trucks therefor
US5067736A (en) Slotted brake for in-line roller skate
US6712395B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used interchangeably as a jumpshoe or roller skate
KR200412979Y1 (ko) 신발장착용 구동프레임
WO1994019073A1 (en) In-line skate brakes
JP2000507468A (ja) スポーツ・レジャー及び/又はフィットネス用具
WO2004078288A2 (en) Low profile roller skate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KR20060084476A (ko)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CA2181212C (en) In-line skate with slotted midsole
US20040227310A1 (en) Roller shoe having brake pad
KR200272255Y1 (ko)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KR200330228Y1 (ko) 인라인스케이트가 내장된 신발
KR200342328Y1 (ko) 아우트라인스케이트
KR200371542Y1 (ko)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200381602Y1 (ko) 신발착탈용 롤러스케이트
WO2022256232A1 (en) Enhanced land ski, system, and method for replicating the motions of snow skiing in dry conditions
KR200426711Y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200340595Y1 (ko) 롤러기구의 착탈 구조
US20080238008A1 (en) Spokeless Wheel Inline 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