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147Y1 -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147Y1
KR200275147Y1 KR2020010034863U KR20010034863U KR200275147Y1 KR 200275147 Y1 KR200275147 Y1 KR 200275147Y1 KR 2020010034863 U KR2020010034863 U KR 2020010034863U KR 20010034863 U KR20010034863 U KR 20010034863U KR 200275147 Y1 KR200275147 Y1 KR 200275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ine
shoes
skate
skates
inline sk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은
Original Assignee
이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은 filed Critical 이성은
Priority to KR2020010034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147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신은 채로 탈 수 있는 간편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부피와 무게 또, 개인의 신발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놀이와 운동에 국한되어 실생활에 적용시키지 못하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합성 수지, 금속, 그 밖의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조임 장치와 이탈,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츠가 같이 고정 장착되어 있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달리, 본 고안은 신발의 탈 부착이 용이해 외부에서도 얼마든지 활동이 자유로운 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놀이와 운동뿐이라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한정된 제약에서 벗어나 일과 놀이, 운동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이 인라인 스케이트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 부에 신발의 일 측면이 삽입될 수 있게 원형 보호막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서 보호해 주는 한편, 운동으로 인한 신발의 앞쪽 쏠림 현상도 방지하였다. 또, 진행 시, 신발이 인라인 스케이트 바깥쪽으로 나가려는 쏠림 현상을 막을 수 있게 인라인 스케이트 외측 면에 일정 높이의 보호막이 형성되어 신발의 바깥쪽 이탈을 막아 주었으며, 그리고 이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최대 난제인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덮개 식 조임 장치가 폭이 넓은 광폭 조임 장치로구성되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최대한 끌어올려 주었다. 또, 계절마다 조금씩 다른 신발의 크기를 고려해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에 유동성 있는 톱니레일 식 조임장치를 장착, 다양한 신발도 소화해 낼 수 있는 장치도 제공된다.

Description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In Line Skate that there is no Boots}
본 고안은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전후방 부에, 조임 장치와 이탈,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를 갖게 함으로써, 고정된 부츠가 없이 개인이 신고 다니는 신발로도 얼마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는 효과를 내는 물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에 부츠가 고정 장착되어 탈수 있는 것이 전부였다. 신제품으로 출시되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도, 부츠와 스케이트의 디자인을 조금씩 바꾸거나 색깔을 바꾼 것이 많고, 바퀴의 롤링을 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해 주거나, 발목이나 발가락의 피로 도를 줄이려 부츠 바닥을 부드럽게 하기도 하고, 외부에서 받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게 부츠의 외피를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부츠 내부는 신축성과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다. 최근에는 밤에도 식별이 가능하고 안전하게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도록 바퀴에 야광으로 된 발광 장치를 부착하거나, 길이를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는 것도 나와 있다. 하지만 이런 인라인 스케이트의 기능과 디자인의 끊임없는 개선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가지고 있는 한계, 즉 놀이와 운동에 국한되어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실생활에도 적용시키고 싶은 사람들의 욕구를 완전히 해결해 주지는 못하였다.
종래 기술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가 같이 붙어 있기 때문에 일과 관련된 실생활에 연결시키지 못하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람이 뛰는 것만큼 빠른 신속성을 제공한다. 적은 운동량으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이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벗고 다른 일을 해야 할 경우 난처한 경우가 매우 많다.따로 신발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도 있고, 따로 신발을 준비해도 부츠가 고정 장착된 스케이트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휴대하면서 활동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불편하다. 그렇기 때문에 따로 준비한 신발이 없는 경우, 인라인 스케이트를 벗고 다른 일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볼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인라인 스케이트를, 출퇴근용이나 통학용은 물론, 그 외에 신속하게 이동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을 때도, 그것의 대안 책이라 할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활용은 거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일과 관련된 실생활에 거의 적용을 시키지 못하고 놀이와 운동이라는 한정된 용도에만 쓰고 있는 것이 전부라 할 수 있다. 변화하는 사회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고착상태에 빠져 있는 사람들의 고정관념이 실생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케이트에 부츠가 고정 장착되어 있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발을 신은 채로도 언제든지 인라인 스케이트에 탈 부착해서 탈 수 있게 하여 실생활에 연결시키는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스케이트에 고정 장착된 부츠가 없어도, 신속한 이동을 주목적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고유 기능을 만족시켜주고 있음은 물론, 신고 있는 신발로도 얼마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해 실생활과 연결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주는 물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 부와 외측 면에 견고한 재질의 보호막을 만들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는 물론,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게 하였고, 관성과 원심력이 적용되는 신발의 이탈, 쏠림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인라인 스케이트가 덮개 식 조임 장치와 이중 결합 구조로 구성되고,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가 후방 부에 장착되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유지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해 준,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 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인라인 스케이트 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덮개 식 조임 장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를 도시한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②. 원형 보호막 ④. 외측 보호막
⑥. 덮개 식 조임 장치
⑥-a.고정 축 ⑥-b. 홈
⑥-c. 결합 구조 ⑥-d.결합 구조
⑥-e.이중 결합 구조 ⑥-f. 이중 결합 구조
⑧. 바닥 돌출 부 ⑩.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⑩-a. 레일 ⑩-b. 톱니 식 바
⑩-c. 누름 식 버튼
본 고안에 의한, 플라스틱 합성 수지,금속, 그 외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가 없는 대신 인라인 스케이트 내에 조임 장치와 이탈, 쏠림 현상을 방지하는 장치가 결합, 개인의 신발을 인라인 스케이트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 간편함을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기본으로 하되,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이 안전성 문제에 있어서도 탄력 있게 대처하였다. 인라인 스케이트에 부츠가 고정 장착되지 않는 대신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 부의 원형 보호막 ②내에 신발 상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높였고, 인라인 스케이트 외측 보호막 ④ 은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신발의 이탈과 쏠림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신발 중앙부는,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덮개 식 조임 장치 ⑥에 고정 장착된 결합 구조⑥-c, ⑥-d 와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에 고정 장착된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 로 구성, 신발을 압착시켜 인라인 스케이트와의 밀착도를 더욱 깊게 유지하게 하였고, 사람들의 발 구조에 따른 발바닥 중앙 내 측 공간을 참작, 인라인 스케이트 바닥 돌출 부 ⑧ 가 높게 형성, 바닥 돌출 부를 중심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바닥 전, 후방이 완만한 경사가 되게 하여,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결합 구조 ⑥-c , ⑥-d,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가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닥 돌출 부⑧ 와 상호 결합되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더욱 높여 주었고, 길이가 상이한 신발 종류에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후방 부를 분리시키고, 전후 이동이 가능한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로 하여 신발의 크기와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신발로도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게 한, 간편함과 편리함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이하,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 부에 있는 원형 보호막 ② 과 인라인 스케이트 외측 보호막④은 신발의 안전성과 이탈및 쏠림 현상을 막아주고 있으며,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에 고정 장착된 결합 구조 ⑥-c, ⑥-d와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 ⑩ 에 고정 장착된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가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긴밀히 유지시켜 주고 있고,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부에 분리되어 있는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 ⑩ 가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크기와 길이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신발도 소화해낼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스케이트에 부츠가 고정 장착되어 있어 발과 발목의 안전성 문제가 그리 크지 않았다. 하지만 부츠가 없는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높여 주고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신발의 이탈과 쏠림을 막아 주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도2에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보면, 인라인 스케이트의 전방 부에 있는 원형 보호막 ② 이 둥그런 모양으로 감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신발 상부가 원형 보호막 ② 내부로 삽입되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유지시켰고,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 부는 외부로부터 가장 많은 충격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견고한 재질을 써서 신발 보호는 물론, 발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성도 확보하였다. 그리고 인라인 스케이트 바깥쪽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외측 보호막 ④ 도 신발의 이탈과 쏠림 현상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가 분리되었기 때문에, 신발이 원심력으로 인해 바깥쪽으로 나가려는 속성을 보완해야 한다. 만약, 원형 보호막 ② 과 일정 높이의 외측 보호막 ④ 이 없다면 신발은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이탈할 것이고, 도 2에 있는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결합구조 ⑥-c, ⑥-d, 그리고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 ⑩ 와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 가지고는 신발의 이탈및 쏠림 현상을 모두 해결하기는 힘들 것이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 바깥 외측 면은 견고한 재질의 막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신발의 이탈과 쏠림 현상을 막도록 하였다. 또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개인의 신발이라 할지라도 모양과용도, 계절에 맞는 신발의 특성과 변화에 따라 조금씩 그 부피와 길이가 차이가 난다. 따라서 신발의 이탈과 쏠림 현상, 안전성만을 생각해, 인라인 스케이트 전방부와 외측과 같이 후방 부도 막아버리면 인라인 스케이트에 탈 부착할 수 있는 개인의 신발 종류는 그만큼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2의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를 보면, 톱니 식 레일 조임 장치 ⑩ 가 인라인 스케이트 본체와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느 종류의 신발이든지 인라인 스케이트에 탈 부착 할 수 있게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톱니 레일 식으로 구성되어, 인라인 스케이트와 신발이 더욱 밀착될 수 있게 유지시킨 것은 물론, 편의성, 안전성까지 갖춘 인라인 스케이트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덮개 식 조임 장치 상세도에서 보면, 인라인 스케이트와 신발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가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인라인 스케이트 지지대 중앙에 있는 고정 축 ⑥-a 과 덮개 식 조임 장치 하단 부에 있는 홈 ⑥-b 이 상호 연결되고 전후 개폐식으로 형성되어 신발의 탈 부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 덮개 식 조임 장치의 장점은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최대한 높여주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는 밀착도가 뛰어나야 하기 때문에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가 신발을 압착시킬 수 있는 한계점까지 올리는 것이 가능해 인라인 스케이트의 유격을 최대한 압착시킬 수 있고,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폭이 광폭으로 되어 있어 조임 장치가 신발 등 부위와 서로 밀착 시 발생되는 압력을 고루 분산시켰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매우 필요한 조임 장치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결합 구조 ⑥-c, ⑥-d 는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에 고정 장착된 이중 결합 구조와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외부의 불필요한충격에 의해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 도 4의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상세도(A, B)에서 보면, 인라인 스케이트의 후방 부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와 접하는 하부 밑창에 플라스틱 합성수지나 금속, 그 외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레일 ⑩-a 을 고정 장착시키고, 분리된 인라인 스케이트 뒷축 하부 밑창에 고정 장착된 톱니 식 바 ⑩-b 가 상호 맞물리면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 레일 ⑩-a 과 톱니 식 바 ⑩-b 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도록 톱니의 각을 깊게 하고 역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였으며, 레일 ⑩-a 의 일 측 부위에 스프링이 내장된 누름 식 버튼 ⑩-c 이 고정 장착되어, 누름 식 버튼 ⑩-c 과 톱니 식 바 ⑩-b 의 결속과 이완이, 인위적인 접촉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구성하였고, 누름 식 버튼 ⑩-c 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도 4에 있는 A의 입면도를 보면, 누름 식 버튼 ⑩-c 과 가장 근접해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하단 부의 바퀴 커버를 라운드 형으로 처리, 그 공간을 활용하여 누름 식 버튼 ⑩-c 의 용이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 간편한 인라인 스케이트임을 알 수 있다. 또, 신발 탈 부착 시, 분리된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⑩ 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최대한 수용함과 동시에,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성도 긴밀히 유지시켜 준 편리한 인라인 스케이트임을 알 수 있다.
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합성 수지로 가공 제작한 인라인 스케이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알루미늄 합금 같은 금속으로도 쓰이며, 그 외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앞에서 개시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인라인 스케이트와 큰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개인이 신고 다니는 신발로도 얼마든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고, 놀이와 운동밖에 할 수 없었던 기존 인라인 스케이트의 한계를 뛰어넘어 출근과 통학, 또는 신속함을 요하는 일 같은 실생활에도 용이하게 쓰일 수 있는 간편하고 편리한 인라인 스케이트라 할 수 있겠다. 또, 부츠가 같이 고정 장착된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의 단점인 부피와 중량도, 부츠가 빠졌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지고 무게가 현저하게 경량 화되어 휴대가 가능하다는 점도 본 고안의 큰 효과라 할 수 있겠다. 개인의 신발로도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수 있고, 부피가 작아지고 무게가 가벼워서 휴대가 가능해, 실생활에 용이하게 쓸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 그 밖의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인라인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부츠가 없는 대신 신발의 이탈과 쏠림을 방지하는 원형 보호막과 외측 보호막이 일정 높이로 구성되고,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덮개식 조임 장치가 구성되고,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구조가 이중으로 구성되고,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높이기 위해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닥 중앙이 완만한 경사가 되게 구성하였으며,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부가 레일과 톱니 식 바로 구성되고 레일 일 측면에 스프링이 내장된 누름 식 버튼을 사용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게 하였으며, 전후 이동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발을 소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높여주고 이탈과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형 보호막 ② 을 설치하여, 신발 상부가 원형 보호막 ② 안으로 삽입되고,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함께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깊게 유지시켜 주고, 원형 보호막 ② 은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게 견고한 재질을 사용하여 신발을 감싸듯이 원형으로 구성되고, 원심력으로 인한 신발의 이탈과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에 형성된 외측 보호막 ④ 은 원형 보호막 ② 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고 일정한 높이의 턱을 형성, 외부의 충격과 신발의 이탈, 쏠림 현상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인라인 스케이트 지지대 중앙 부위 양측에 금속이나 그 외 견고한 재질로 된 고정 축 ⑥-a 이 형성되고, 고정 축⑥-a 과 결합하려는 덮개식 조임 장치 ⑥ 양측 하단 부 일 측에 천공을 하고, 천공 부위를 금속이나 그 외 견고한 재질로 씌워 홈 ⑥-b 을 형성, 형성된 홈 ⑥-b 을 고정 축 ⑥-a 과 결합, 전후 개폐가 용이한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로 되어, 인라인 스케이트와 신발의 탈 부착을 용이하게 한 덮개 식 조임 장치를 특징으로 하고,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에 고정 장착된 결합구조 ⑥-c, ⑥-d 가 인라인 스케이트 후방 부에 있는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⑩ 에 고정 장착된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 와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되어,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함께 신발 갑피를 압착시켜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높여 주고,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가 신발과 밀착된 결합 구조 ⑥-c, ⑥-d의 결속력을 재 보강, 불필요한 이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중으로 결합하고, 사람들의 발 구조에 따른 발바닥 중앙 안쪽 공간을 참작, 인라인 스케이트 바닥 돌출 부 ⑧ 가 높게 형성, 안쪽 중앙부를 중심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바닥 전, 후방이 완만한 경사가 되게 하여,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와 결합 구조 ⑥-c, ⑥-d, 이중 결합 구조 ⑥-e ,⑥-f 가 인라인 스케이트의 바닥 돌출 부 ⑧ 와 상호 결합되어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 도를 더욱 높여준 덮개 식 조임 장치 ⑥ 를 특징으로 하는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후방 부가 분리되어, 인라인 스케이트 바퀴와 접하는 하부 바닥 밑창에 플라스틱 합성 수지나 금속, 그 외 성형 가능한 재질로 가공 제작한 레일 ⑩-a 을 고정 장착시키고, 분리된 인라인 스케이트 뒷축 하부 밑창에 고정 장착된 톱니 식 바 ⑩-b 가 상호 맞물리면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레일 ⑩-a 과 톱니 식 바 ⑩-b 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서 톱니의 각을 깊게 하고 역 방향으로 치우치게 하였으며, 레일 ⑩-a 일 측면에 스프링이 내장된 누름 식 버튼 ⑩-c 을 사용, 외부의 충격에도 용이하게 이완이 되지 않도록 하였고, 누름 식 버튼 ⑩-c 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누름 식 버튼 ⑩-c 과 가장 근접해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 하단 부의 바퀴 커버를 라운드 형으로 처리, 그 공간을 활용하여 누름 식 버튼 ⑩-c 의 용이한 조작을 하게 했으며, 신발 탈 부착 시, 분리된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 ⑩ 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길이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최대 한 수용함과 동시에,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의 밀착성도 긴밀히 유지시켜 준, 후방 부가 분리되고, 톱니 레일 식 조임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20010034863U 2001-11-13 2001-11-13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75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63U KR200275147Y1 (ko) 2001-11-13 2001-11-13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863U KR200275147Y1 (ko) 2001-11-13 2001-11-13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147Y1 true KR200275147Y1 (ko) 2002-05-13

Family

ID=7311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863U KR200275147Y1 (ko) 2001-11-13 2001-11-13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1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60B1 (ko) * 2006-07-19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100750561B1 (ko) 2006-11-15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60B1 (ko) * 2006-07-19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100750561B1 (ko) 2006-11-15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6451A (en) Footwear apparatus with grinding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75187B2 (en) Wheeled skate with step-in binding and brakes
US6115946A (en) Method for making footwear grinding apparatus
JP2007520241A (ja) ジャンプ用の履物
US20030145677A1 (en) Use of studs in a bicycle shoe and pedal system
US5673502A (en) Headlamp for sports shoes, particularly for inline skates and the like
JP2013512754A (ja) 自転車用靴
KR200275147Y1 (ko) 부츠가 없는 인라인 스케이트
US5588890A (en) Swimming fin
US20080134542A1 (en) Shoe heel structure
US20110057400A1 (en) Wheeled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wheeled footwear
JP2562889Y2 (ja) ホッピングローラースケート
US20030154629A1 (en) Shoe with detachable heel
KR200378100Y1 (ko) 바퀴달린 신발을 위한 착탈형 바퀴 유니트
KR100394918B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324899Y1 (ko)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롤링슈즈
USD527065S1 (en) Handgrip for a sports pole
US7036829B2 (en) Retractable skates and method therefor
CN218960156U (zh) 一种田径钉鞋防护套
KR200337494Y1 (ko) 착탈식 롤러 보드
CN220916712U (zh) 一种具备强抓地力的鞋底结构
KR200272255Y1 (ko) 뒤축 분리형 스케이트
GB2325142A (en) Activity shoe and attachable footwear
KR200336022Y1 (ko) 롤러 스케이트
KR100432591B1 (ko) 등산용 아이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