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049B1 -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049B1
KR100822049B1 KR1020060037538A KR20060037538A KR100822049B1 KR 100822049 B1 KR100822049 B1 KR 100822049B1 KR 1020060037538 A KR1020060037538 A KR 1020060037538A KR 20060037538 A KR20060037538 A KR 20060037538A KR 100822049 B1 KR100822049 B1 KR 10082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ixing
ankle
sk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683A (ko
Inventor
황보창호
Original Assignee
황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창호 filed Critical 황보창호
Priority to KR102006003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0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빙상 또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일반 신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 앞부분과 상면 후단 발목보호대 사이에 신발 고정판을 결합시키고, 그 신발 고정판의 내부에 신발을 삽입하고 프레임상면 후단의 발목보호대를 결합한 후 상부의 고정끈을 통해 신발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갖는 일반 신발을 착탈하여 빙상 및 인라인 스케이팅(이하, “ 스케이트 ” 라 칭함)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칼날 또는 다수개의 바퀴가 수용되고, 칼날 또는 바퀴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스케이트 프레임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며 신발이 그 내부에 삽입되고, 일반적인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그 밑창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밑창의 양측면은 밑창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수직상향으로 절곡된 날개판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날개판의 상단에는 고정끈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신발 고정판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목을 스케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발목보호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운동화, 구두, 슬리퍼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신발 고정판의 상면에 결속시킬 수 있으며, 신발의 사이즈가 신발 고정판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신발 규격에 적합한 고정판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이고, 고정끈을 통한 결속이 일체형 체결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지지대를 발목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발목보호대의 내부하단에 원뿔형태의 돌기침이 신발 뒷굼치를 압박하여 결합하게 되므로 신발의 전후좌우이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발목보호대의 상단 내부에는 신발높이에 맞는 커프패드를 장착하거나 높이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SKATE WITH A SHOES JOIN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의 신발 고정판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에 구비된 발목보호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4:스케이트 프레임, 6:상면,
8,14:안착홈, 10,16:보조판,
12:결합홈, 20:볼록면,
22:발목보호대, 24:하우징,
26:발목결합끈, 28:결합고리,
30:돌기결합홈, 32:톱니나사선,
34:커프, 36:지지판,
38:커프패드, 40:결합돌기,
42:결합홈, 44:톱니나사선,
50:신발고정판, 52:밑창,
54:전방돌출부, 56:날개판
60:바닥곡형부, 62:결합돌기,
64:제1하향돌출부, 66:제2하향돌출부,
68:돌기침 70:돌기덮개판
72:제1고정끈 74:제2고정끈
76:결합띠 78:고정부재
80:고리 82:볼트결합구멍
본 발명은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 및 빙상스케이트(이하, 스케이트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신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과 프레임의 상면후단 발목보호대 사이에 신발 고정판을 결합시키고, 그 신발 고정판의 내부에 신발을 삽입하고 상부의 고정끈 및 발목보호대커프의 결합방법을 통해 신발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갖는 일반 신발을 착탈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케이트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을 부츠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부츠몸체와, 그 부츠몸체의 하단에 부착되는 칼날 또는 바퀴 지지대와, 칼날 또는 그 바퀴 지지대에 내설된 베어링 및 결속판등에 의해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부츠몸체를 이동시키는 칼날 또는 다수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케이트는 탁월한 주행성능에 비해 보행 기능이 취약한 것이 흠이었고,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스케이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거나 비교적 멀리 떨어진 거리를 이동하고자 할 때, 일반 신발로 바꿔 신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으며, 이러한 점이 불편하여 조심스럽게 계단을 오르는 경우 장비 및 바닥재의 손상이 있으며 이동시 계단에서 미끄러질 위험성이 매우 높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스케이트는 칼날 또는 바퀴와 바퀴 지지대의 사이에 바퀴의 마찰력을 증가 및 감소시키기 위한 칼날 또는 베어링이 장착되는 바, 그 스케이트를 모래나 흙에서 신고 다닐 경우, 칼날 또는 장비의 손상이 있거나 베어링에 모래가 삽입되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케이트는 부츠 자체의 무게가 매우 무거우므로,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보관도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힐리스 신발이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힐리스 신발은 일반 운동화의 하면 후단부위에 단일의 롤러를 장 착한 것으로 신발의 앞굼치를 들어올리면 그 롤러를 이용해서 일정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그 롤러가 일반 운동화처럼 신고 다닐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힐리스 신발은 완전한 신발형태의 운동화가 아니었을 뿐 아니라 몸의 균형을 신발의 후단부에 집중해야 되므로, 균형을 잡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그 힐리스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한 고속 주행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스케이트와는 다르게 평지에서 지면을 힐리스 신발로 밀어서 가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단지, 힐리스 신발은 신발의 앞굼치로 뛰어가서 가속한 다음, 롤러를 이용해서 약간의 거리를 미끄러지는 것에 불과한 신발이었다.
또한, 종래의 착탈식 스케이트나 힐리스 신발은 지면에 대한 충격 흡수나 일체형이 되기 위한 구조가 전무하므로, 스케이트의 부츠가 더욱 보강되어야만 발목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츠의 중량이 커져야만 했으며, 부츠의 형태가 발목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자체 중량이 매우 무거워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츠의 길이가 길어져도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지면에 대해 충격을 받게 되면 발목이나 무릎이 손상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
또, 이러한 종래의 스케이트는 그 부츠의 신발 상면으로부터 부츠의 전단부까지 다수개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어져 발을 부츠에 삽입한 후에 발과, 발목을 수용하여 그 발과 발목에 부츠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하여야 주행중 넘어지더 라도 발과 발목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그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화장실이동 또는 계단 등을 오를 때에도 부츠가 포함된 스케이트를 이탈시켜서 올라가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때 부츠는 스케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장실을 가거나 계단을 오르기 위해 스케이트를 벗는다고 하여도 맨발로 계단 등을 오르거나, 별도의 신발을 또 준비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착탈 후 이동시에도 무거운 스케이트장비를 보관하거나 가지고 다니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 신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신발 고정판과 프레임의 상단후면에 발목보호대를 결합시키고, 그 신발 고정판의 내부에 신발을 삽입하고 상부의 고정끈을 통해 신발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갖는 일반 신발을 착탈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칼날 또는 다수개의 바퀴가 수용되고, 칼날 또는 바퀴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스케이트 프레임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며, 신발이 그 내부에 삽입되고, 일반적인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그 밑창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밑창의 양측면은 밑창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수직상향으로 절곡된 날개판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날개판의 상단에는 고정끈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된 신발 고정판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목을 스케이트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발목보호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 고정판은 볼트 또는 나사등에 의해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은 상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 1, 2 안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 1, 2 안착홈의 좌우로는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보조판이 각각 형성되어져 상기 신발 고정판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며, 상기 제 1 안착홈의 전면에는 결합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중 제 1 안착홈과 제 2 안착홈의 사이 위치에는 볼록면이 형성되어져 신발의 하면의 오목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져 착화감을 우수하게 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과 제 2 안착홈에 대해서는 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 고정판은 앞부리가 신발의 전단 형상과 동일하게,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전방돌출부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밑창의 하면 전방에는 상기 제 1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1 하향돌출부가 구성되어 있으며, 밑창의 하면 후방에는 상기 제 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 2 하향돌출부가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제 1 하향돌출부의 전방은 제 1 안착홈의 전단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져 있고, 그 밑창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바닥 곡형부가 형성되어져 그 상면은 신발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되며, 그 하면은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의 볼록면에 밀착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신발 고정판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끈은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신발 고정판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판의 상단에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천공된 삽입공을 통해 “∪”형상의 제 1 고정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끈의 상면에는 고리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신발 고정판의 타측 날개판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공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고리를 통과하면서 날개판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끈이 제공되며, 제 2 고정끈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띠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결합띠의 외면은 톱니형상의 나사선이 각설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목보호대는 발목의 후단에 밀착되는 하우징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는 결합끈이 플라스틱 재질로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단 타측에는 상기 결합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고리가 부착되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돌기결합홈의 내벽에는 톱니나사선이 각설되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면에는 사용자의 발목이 고정될 때, 발목을 완충시키면서 운동화의 상하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커프가 구비되는 바, 그 커프는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판이 구성되 며, 그 지지판의 양측 외표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돌기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부착되어져 있으며, 그 결합돌기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의 벽면에는 상기 톱니나사선에 대응되는 톱니나사선이 형성되어져 커프 패드가 상하로 이동조절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커프의 내벽면에는 쿠션력이 우수한 커프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는 일반 신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신발 고정판을 결합시키고, 프레임상단 뒷부분에 발목보호대가 힌지형태로 결합되어 그 신발 고정판의 내부와 발목보호대 사이에 신발을 삽입하고 발목보호대를 결합한 후 상부의 고정끈을 통해 신발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 및 형태를 갖는 일반 신발을 착탈하여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스케이트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는 신발의 종류나 형태에 무관하게 신발을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신발 고정판을 스케이트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시키고, 그 신발 고정판과 발목보호대에 장치된 결합방법을 통해 내부에 신발을 고정시키도록 한 스케이트이다.
따라서, 일반 구두, 운동화, 슬리퍼 등의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 에서 스케이트에 그 신발을 결속시켜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2)는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을 삽입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신발 고정판(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은 상면(6)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 1, 2 안착홈(8, 14)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 1, 2 안착홈(8, 14)의 좌우로는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으로부터 연장된 보조판(10,16)이 각각 형성되어져 상기 신발 고정판(5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홈(8)의 전면 좌우에는 결합홈(12)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 중 제 1 안착홈(8)과 제 2 안착홈(14)의 사이에는 볼록면(20)이 형성되어 이 볼록면(20)이 신발 하면의 오목면과 밀착됨으로서 착화감을 우수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안착홈(8)과 제 2 안착홈(14)에 대해서는 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안착홈(14)의 후면에는 폭방향으로 별도의 걸림턱(18)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후단에는 발목보호대(22)가 힌지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신발 고정판(50)은 신발이 내부에 삽입되며, 일반적인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밑창(52)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밑창(52)의 양측면은 수직상향으로 절곡된 날개판(56)이 각각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날개판(56)의 상단에는 고정끈(도 3참조)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삽입공(58)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신발 고정판(50)은 그 앞부리가 신발의 전단 형상과 동일하게,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전방돌출부(54)로 구성되어져 있고 밑창(52)의 하면 전방에는 상기 제 1 안착홈(8)에 안착되는 제 1 하향돌출부(6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밑창(52)의 하면 후방에는 상기 제 2 안착홈(14)에 안착되는 제 2 하향돌출부(66)가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향돌출부(64)의 전방은 제 1 안착홈(8)의 프레임상단 전단좌우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62)가 돌출되어져 있고, 상기 밑창(52)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바닥 곡형부(60)가 형성되어 신발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되며, 그 하면은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볼록면(20)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신발 고정판(50)은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제 1, 2 안착홈(8, 14)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Bolt: 미도시) 또는 나사(Screw: 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2)는 먼저 상기 신발 고정판(50)을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8,14)에 안착시키고, 그 신발 고정판(50)의 바닥면에 볼트 및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시키면 상기 신발 고정판(50)이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신발의 사이즈가 신발 고정판(50)보다 더 크거나 작은 사용자인 경우에는 스케이트프레임(4)의 상단 후면에 결합되어 있는 발목보호대(22)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형태를 교체하고 신발 고정판(50)만의 형태를 교체하면 되고, 이때 신발 고정판(50)의 제 1 하향돌출부(64)와 제 2 하향돌출부(66) 사이의 길이는 내부에 삽입되는 신발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일정하게 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신발크기에 따라 발목보호대의 형태변경 또는 위치를 조절하거나 대,중,소별로 규격에 맞는 신발고정판(50)을 선택하여 착용하면 신발형태 및 크기와 관계없이 사용용도별로 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의 신발 고정판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의 신발 고정판(50)은 그 내부에 신발을 삽입한 상태에서, 신발을 고정끈에 의해 결속시키기 위해, “× ”형상의 고정끈(72, 74)이 구성되는 바, 먼저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일측에 형성된 날개판(56)의 상단에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천공된 삽입공(58)을 통해 “∪”형상의 제 1 고정끈(72)이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끈(72)의 상면에는 고리(80)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타측 날개판(56)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공(58)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타단은 상기 고리(80)를 통과하면서 날개판(56)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재(78)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끈(74)이 제공되며, 제 2 고정끈(74)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78)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띠(76)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결합띠(76)의 외면은 톱니형상의 나사선이 각설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끈(72)은 “∪”형상으로 항상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일측에 고정되어져 있으면서 결속이 해제되지 않으며, 상기 제 2 고정끈(74)의 전단도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타측에 고정되어져 있으면서 결속이 해제되지 않고, 제 2 고정끈(74)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띠(76)만이 신발 고정판(50)의 타측 후단에 부착된 고정부재(78)에 일체형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면서 신속하게 신발을 결속 및 결속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2)는, 먼저 상기 신발 고정판(50)을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신발 고정판(50)의 내부에 신발을 삽입하고, 프레임의 상단 후단에 있는 발목보호대를 수직으로 올려 발목에 결속시키고, 상기 결합띠(76)를 잡아당기게 되면 제 1 고정끈(72)과 제 2 고정끈(74)이 조여지게 되며, 상기 결합띠(76)를 상기 고정부재(78)에 결합시키면 신발이 프레임후단의 발목보호대(22)에 밀착되면서 상기 발목보호대(22)의 안쪽하단에 형성된 원추형의 돌기침(68)이 신발하단의 뒷부분을 강하게 밀착 및 압박하면서 신발뒷부분을 프레임(4)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신발 고정판(50)에 신발을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에 구비된 발목보호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에 구비된 발목보호대(22)는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후단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져 있으면서, 사용자의 발목을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발목보호대(22)는 발목의 후단에 밀착되는 하우징(24)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하우징(24)의 상단 일측에는 결합끈(26)이 플라스틱 재질로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단 타측에는 상기 결합끈(26)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고리(28)가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4)의 상부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기결합홈(30)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돌기결합홈(30)의 내벽에는 톱니나사선(32)이 각설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4)의 상단 내면에는 사용자의 발목이 고정될 때, 발목을 완충시키기 위한 커프(34)가 구비되는 바, 그 커프(34)는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판(36)이 구성되며, 그 지지판(36)의 양측 외표면에는 상기 하우징(24)의 돌기결합홈(3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0)가 부착되어져 있으며, 그 결합돌기(4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42)의 벽면에는 상기 톱니나사선(32)에 대응되는 톱니나사선(44)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커프(34)의 내벽면에는 쿠션력이 우수한 커프패드(38)가 부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프(34)를 하우징(24)의 내부에 삽입하면서, 상기 커프(34)의 외벽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0)를 상기 하우징(24)에 형성된 돌기결합홈(30)에 맞춰 재료가 지닌 고유한 탄력특성을 이용하여 가압하게 되면, 상기 결합돌기(40)에 형성된 톱니나사선(44)이 돌기결합홈(30)에 형성된 톱니나사선(32)에 탄력끼움방식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커프(34)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서 커프(34)를 상향 및 하향되게 가압하거나 운동화 높이에 맞춰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40)에 형성된 톱니나사선(44)이 돌기결합홈(30)에 형성된 톱니나사선(32)에 재료의 탄력에 의한 끼움 상태로 상향 및 하향되게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신장 및 운동화 커프의 높이에 따라 상기 커프(3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운동화를 통제하기 때문에 프레임에서 운동화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4)의 하단 내면에는 원추형의 돌기침(68)이 형성되어져 있는 바, 그 돌기침(68)은 착용하는 신발 밑창(미도시)을 가압하여 신발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신발의 종류 및 특성상 상기 돌기침(68)에 의한 고정압착이 불가능할 경우 그 돌기침(68)의 주변에 예비적으로 결합돌기공이나 복수개의 볼트결합구멍(82)을 형성하여 하우징(24)의 외부에서 운동화에 나사 및 볼트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신발 밑창은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이므로 상기 원추형의 돌기침(68)이 후단에서 밀착되어 가압되게 되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2)는 단지 인라인 스케이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동일한 방식과 구조로 빙상용 스케이트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고 간단한 스키장비나 스노우 보드등에도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 및 빙상스케이트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는 기존의 부츠형 신발이나 스케이트부착식의 전용 운동화와는 달리 일반운동화, 구두, 슬리퍼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신발 고정판의 상면에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신발의 사이즈가 신발 고정판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발목보호대의 위치조절과 신발 고정판만을 교체하면 1 - 2 개의 프레임만으로도 가족단위등 다수의 인원이 사용가능하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또한 고정끈을 통한 결속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발목을 지지하는 발목지지대 내부의 커프를 운동화등의 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성과 편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칼날 또는 다수개의 바퀴가 수용되고, 칼날 또는 바퀴가 지면으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스케이트 프레임(4)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신발이 그 내부에 삽입되고, 일반적인 신발 깔창과 같은 형상으로 밑창(52)이 구성되면서 그 양측면은 밑창(52)으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수직상향으로 날개판(5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날개판(56)의 상단에는 고정끈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삽입공(58)이 형성된 신발 고정판(50)과;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상면 후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목을 스케이트 프레임(4)에 고정시키는 발목보호대(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은 그 상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제 1, 2 안착홈(8)(14)이 형성되고 이 제 1, 2 안착홈(8)(14)의 좌우로는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으로부터 연장된 보조판(16)이 형성되어 상기 신발 고정판(50)과의 접촉면적을 확대시키며, 상기 제 1 안착홈(8)의 전면에는 결합홈(12)이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 중 제 1 안착홈(8)과 제 2 안착홈(14)의 사이에는 볼록면(20)이 형성되어 신발 하면의 오목면과 밀착되어 착화감을 우수하게 하면서 상기 제 1 안착홈(8)과 제 2 안착홈(14)에 대해서는 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제 2 안착홈(14)의 후면에는 폭 방향으로 별도의 걸림턱(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고정판(50)은 그 앞부리가 신발의 전단 형상과 동일하게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휘어진 전방돌출부로 구성되고, 밑창(52)의 하면 전방에는 상기 제 1 안착홈(8)에 안착되는 제 1 하향돌출부(64)가 구성되면서 후방에는 상기 제 2 안착홈(14)에 안착되는 제 2 하향돌출부(66)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향돌출부(64)의 전방은 제 1 안착홈(8)의 전단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62)가 돌출되고, 밑창(52)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바닥 곡형부(60)가 형성되어 이 바닥 곡형부(60)의 상면이 신발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그 하면은 상기 스케이트 프레임(4)의 볼록면(20)에 밀착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신발 고정판(50)의 상단에 구비된 고정끈은 “×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날개판(56)의 상단에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천공된 삽입공(58)을 통해 “∪”형상의 제 1 고정끈(7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끈(72)의 상면에는 고리(80)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신발 고정판(50)의 타측 날개판(56)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공(58)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면서 그 타단은 상기 고리(80)를 통과하면서 날개판(56)의 후단에 부착된 고정부재(78)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끈(74)이 제공되며, 제 2 고정끈(74)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78)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결합띠(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보호대(22)는 발목의 후단에 밀착되는 하우징(24)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상단 일측에는 발목결합끈(26)이 부착되어져 있으며, 상단 타측에는 상기 발목결합끈(26)을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고리(28)가 부착되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24)의 상부 양측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돌기결합홈(30)이 형성되어지되,이 돌기결합홈(30)의 내벽에는 톱니나사선(32)이 각설되어져 있고, 상기 하우징(24)의 상단 내면에는 사용자의 발목이 고정될 때, 발목을 완충시키고 운동화의 상하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커프패드(34)가 구비되어지되, 이 커프패드(34)는 외부가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판(36)으로 구성되고, 그 지지판(36)의 양측 외표면에는 상기 하우징(24)의 돌기결합홈(30)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0)가 형성되며 그 결합돌기(40)의 양측에는 톱니나사선(44)이 형성되고, 상기 커프(34)의 내벽면에는 쿠션력이 우수한 커프패드(3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4)은 그 하단 내면에 신발의 밑창에 밀착되어 가압되는 돌기침(68)이 형성되고 신발형태에 따라 결속이 부적합할 경우 나사나 볼트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결합구멍(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20060037538A 2006-04-26 2006-04-26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082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38A KR100822049B1 (ko) 2006-04-26 2006-04-26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38A KR100822049B1 (ko) 2006-04-26 2006-04-26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235U Division KR200426711Y1 (ko) 2006-04-26 2006-04-26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83A KR20060066683A (ko) 2006-06-16
KR100822049B1 true KR100822049B1 (ko) 2008-04-21

Family

ID=371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38A KR100822049B1 (ko) 2006-04-26 2006-04-26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0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844A (ja) * 1993-05-17 1994-11-22 Wing Roorii Japan:Kk ローラースケート
KR200345591Y1 (ko) 2003-10-07 2004-03-19 전필동 착탈식 인라인 신발
US6742788B1 (en) 2002-09-17 2004-06-01 Shan-Yuan Chan Replaceable skate assembly
KR100471587B1 (ko) 2004-07-19 2005-03-09 김준홍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50047061A (ko) * 2005-04-29 2005-05-19 전필동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844A (ja) * 1993-05-17 1994-11-22 Wing Roorii Japan:Kk ローラースケート
US6742788B1 (en) 2002-09-17 2004-06-01 Shan-Yuan Chan Replaceable skate assembly
KR200345591Y1 (ko) 2003-10-07 2004-03-19 전필동 착탈식 인라인 신발
KR100471587B1 (ko) 2004-07-19 2005-03-09 김준홍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50047061A (ko) * 2005-04-29 2005-05-19 전필동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83A (ko)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150A (en) Longitudinal grind plate
US6115946A (en) Method for making footwear grinding apparatus
US5331752A (en) Skate with detachable shoe
EP1254611B1 (en) Crampon, mountain boot and relative fastening system
US6006450A (en) Wear resistant grind shoe apparatus
US6195920B1 (en) Grinding footwear apparatus with storage compartment
KR101841085B1 (ko) 신기 편한 신발구조
US20110119961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riding
CA2359377A1 (en) Foot retaining system
FR2816177A1 (fr) Element de renfort de tige
US7048601B2 (en) Swimming flipper with blade and footwear structure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200426711Y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EP2301370B1 (en) Sports footwear
KR200378100Y1 (ko) 바퀴달린 신발을 위한 착탈형 바퀴 유니트
KR200457790Y1 (ko)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KR20050047061A (ko)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20070091169A (ko) 충격흡수부재가 내장된 인라인신발
KR200324899Y1 (ko)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된 롤링슈즈
KR100823683B1 (ko) 아이젠
KR200395818Y1 (ko)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2626233B1 (ko) 운동용 뒤꿈치 받침대
KR20110000605A (ko) 탈착식 등산화 충격흡수기
KR200471407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KR100832882B1 (ko) 신발 착용용 부상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