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790Y1 -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 Google Patents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790Y1
KR200457790Y1 KR2020090002894U KR20090002894U KR200457790Y1 KR 200457790 Y1 KR200457790 Y1 KR 200457790Y1 KR 2020090002894 U KR2020090002894 U KR 2020090002894U KR 20090002894 U KR20090002894 U KR 20090002894U KR 200457790 Y1 KR200457790 Y1 KR 200457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air cushion
slipper
s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96U (ko
Inventor
문기춘
Original Assignee
문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기춘 filed Critical 문기춘
Priority to KR2020090002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7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퍼의 바닥창에 에어쿠션을 구비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슬리퍼를 착용하고 오랫동안 실내에서 활동하거나 외출 할 경우에도 발이 피로하거나 착용자의 무릎이나 발목 등의 관절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 상기 갑피에 부착되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바닥창;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에어쿠션을 포함하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를 제공한다.
신발, 슬리퍼, 에어쿠션, 충격흡수

Description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SLIPPER HAVING INDOOR SHOES FUNCTION}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게하게는 장시간의 활동이나 외출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는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도보나 운동중에 발을 보호하고 지면충격으로부터 완충기능을 갖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와, 갑피의 하부에 부착되며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미끄럼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착용하여도 쉽게 마모되지 않는 고밀도 우레탄이나 천연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바닥창(밑창)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신발 중에서 달리기, 농구, 축구, 및 테니스 등의 운동을 할 때에는 운동화를 착용하게 된다. 이렇게 달리기, 농구, 축구, 테니스 등의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발에 상당한 충격력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력은 운동자의 발이 착지할 때마다 발에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발은 전 체중을 지탱하면서 그 충격을 흡수해야 하는데, 이 충격은 운동자의 체중의 수배에 달하기 때문에 운동자의 연골부 등이 약화되어 부상이나 노화 등이 쉽게 유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발에는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용 쿠션이 바닥창에 장착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용 쿠션은 고무, 스펀지, 폴리우레탄폼 등의 통상적인 탄성재질을 판상으로 가공하여 바닥창에 취부시켜 발바닥을 지지하면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성인들은 사무실이나 집안과 같이 실내에서 하루 중 반 이상을 생활하게 되고, 학생들도 학교의 교실이나 학원 등과 같이 실내에서 하루중 반 정도를 보내게 된다.
이렇게 실내에서 활동하기 위하여 실내화나 슬리퍼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여름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 외출 할 때에 발을 감싸서 땀이 나는 신발보다는 발등이 노출되어 땀이 차지 않는 슬리퍼를 착용하고 외출하게 된다.
이렇게 실내에서 활동하거나 여름철에 발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슬리퍼는 지면에 직접 접촉되는 바닥창과, 바닥창의 위쪽에 결합되어 발에 끼워지며 발등의 일부를 감싸는 갑피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리퍼를 착용하여 실내에서 오랫동안 활동하면 발바닥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져서 쉽게 피로해지고, 발바닥의 충격이 발목, 무릎 등의 관절로 그대로 전달되어 관절이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름철에 물놀이를 하기 위해 답답한 운동화를 대신하여 슬리퍼를 즐겨 착용하고 외출하게 되는데, 이렇게 슬리퍼를 착용하고 오랫동안 외출하게 되면 바닥창 위에 발바닥이 올려진 상태로 착용되므로, 발바닥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져서 쉽게 피로해지고, 발목, 무릎 등의 관절로 충격이 전달되어 관절이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슬리퍼의 바닥창에 에어쿠션을 구비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 슬리퍼를 착용하고 오랫동안 실내에서 활동하거나 외출 할 경우에도 발이 피로하거나 착용자의 무릎이나 발목 등의 관절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 상기 갑피에 부착되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바닥창;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에어쿠션을 포함하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고정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결합부 윗면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아랫면 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의 고정홈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고정홈에서 상기 이탈방지부(50)의 단부까지의 높이(H2)는, 상기 제1결합부의 고정홈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고정홈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에어쿠션의 중심까지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에어쿠션이 밀려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에어쿠션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며 상기 고정홈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슬리퍼의 바닥창에 에어쿠션을 구비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킴으로써, 실내에서 오랫동안 활동에도 발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에 충격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창의 제1,2결합부에 고정되는 에어쿠션의 측부가 제1,2결합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에 감싼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에어쿠션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쿠션과 고정홈에 에어쿠션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가 구비됨으로써,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에어쿠션이 뒤로 밀려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4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5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10)는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20)와, 갑피(20)의 하부에 부착되는 제1바닥창(31)과, 제1바닥창(31)에 결합되는 제2바닥창(32)과, 제1바닥창(31)과 제2바닥창(32) 사이에 구비되어 보행시 착용자의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쿠션(40)을 포함한다.
갑피(20)는 사용자의 발 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슬리퍼(10)를 착용하였을 때 슬리퍼(10)가 발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갑피(20)는 슬리퍼(10)의 외관을 구성하기 때문에 슬리퍼(10)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부분으로서 그 외관의 모양과 형상이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에서, 갑피(20)는 제1바닥창(32) 위쪽에 결합되어 발이 끼워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슬리퍼를 착용하면 착용자의 발에서 슬리퍼가 벗겨지지 않고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갑피(20)는 제1바닥창(32)의 위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적용 가능하다.
제1바닥창(31)은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착용하여도 쉽게 마모되지 않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바닥창(31)과 제2바닥창(32)에는 각각 고정홈(31a)(32a)이 형성되고, 고정홈(31a)(32a)에 에어쿠션(40)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에는 밀림방지부(60)가 더 구비된다.
밀림방지부(60)는 에어쿠션(40)이 착지되는 하중에 의해 밀려서 제1바닥창(31)과 제2바닥창(32) 사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밀림방지부(60)는 에어쿠션(40)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61)와, 돌출부(61)에 대응되며 고정홈(31a)(32a)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62)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제1바닥창(31)과 제2바닥창(32)을 일체로 구성하여 하나의 바닥창(33)으로 구성하고, 바닥창(33)에 에어쿠션(40)이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33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바닥창(33)에 형성되는 끼움홈(33a)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끼움홈(33a)에 에어쿠션(40)을 끼워 고정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는 하나의 바닥창(33)에서 발의 뒤꿈치가 닿는 뒷부분이 절개되어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가 형성되고, 제1,2결합부(34)(35) 사이에 에어쿠션(40)이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에는 에어쿠션(40)이 안착 고정되는 고정홈(34a)(35a)이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34)의 고정홈(34a)에 에어쿠션(40)의 하부가 안착된 후에, 제2결합부(35)의 고정홈(35a)이 에어쿠션(40)의 상부를 감싸도록 된 구성인 것이다.
또한, 제1결합부(34)의 윗면 또는 제2결합부(35)의 밑면 가장자리에는 이탈방지부(5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부(50)는 도보나 운동시 착지되는 충격과 착용자의 신체 하중이 가해져서 고정홈(32a)(34a)에 고정되는 에어쿠션(40)이 측면 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이탈방지부(50)는 제1결합부(34)의 윗면 또는 제2결합부(35)의 밑면보다 더 높이 돌출 형성되어 에어쿠션(40)의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이탈방지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4)의 고정홈(34a) 또는 제2결합부(35)의 고정홈(35a)에서 이탈방지부(50)의 상단 또는 하단까지의 높이를 H2 라 하고, 제1결합부(34)의 고정홈(34a) 또는 제2결합부(35)의 고정홈(35a)의 바닥에서 고정홈(34a)(35a)에 안착되는 에어쿠션(40)의 중심까지의 높이를 H1 라 할 때, 고정홈(34a)(35a)의 바닥에서 이탈방지부(50)의 상단 또는 하단까지 높이(H2)가 에어쿠션(40)의 중심에서 고정홈(34a)(35a)의 바닥까지 높이(H1)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의 가장자리에는 각각 맞춤돌부와 맞춤홈부(34b)(35b)가 각각 형성된다. 이 맞춤홈부와 맞춤돌부(34b)(35b)는 에어쿠션(40)을 고정홈(34a)(35a)에 끼워넣고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를 결합하여 고정할 때 제1결합부(34)와 제2결합부(35)의 가장자리가 잘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1결합부(34)에 맞춤돌부를 형성하고, 제2결합 부(35)에 맞춤홈부를 형성한 구성이지만, 제1결합부(34)에 맞춤홈부를 형성하고, 제2결합부(35)에 맞춤돌부를 형성하는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5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에는 밀림방지부(60)가 더 구비된다.
밀림방지부(60)는 에어쿠션(40)과 바닥창(33)의 고정홈(34a)(35a)에 형성되어, 에어쿠션(40)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에어쿠션(40)이 밀려 고정홈(34a)(35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밀림방지부(60)는 에어쿠션(4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돌출부(61)와, 돌출부(61)에 대응되며 고정홈(34a)(35a)에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요홈(62)을 포함한다.
즉, 에어쿠션(40)이 고정홈(34a)(35a)에 고정될 때, 에어쿠션(40)의 돌출부(61)가 고정홈(34a)(35a)의 요홈(62)에 끼워져서 에어쿠션(40)이 고정홈(34a)(35a)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구성인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갑피(20)와 제1 및 제2바닥창(31)(32)을 별도로 구비되는 각각의 제작 금형으로부터 따로 제작하여 준비하고, 별도로 제작되어 공급되는 에어쿠션(40)을 준비한다.
제2바닥창(32)의 고정홈(32a)과 에어쿠션(4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고정홈(32a)에 에어쿠션(40)을 안착하여 고정한다.
그런 다음, 제1바닥창(31)과 고정홈(31a)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바닥창(32)의 위쪽에서 결합시켜 고정한다.
여기에서, 에어쿠션(40)을 제1바닥창(31)의 고정홈(31a)에 먼저 접착제로 먼저 고정한 후에, 제2바닥창(32)의 위쪽에서 제1바닥창(31)을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갑피(20)를 제1바닥창(31)의 상측 양쪽 가장자리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3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4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5실시예에 따른 슬리퍼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리퍼 20 : 갑피
31 : 제1바닥창 32 : 제2바닥창
33 : 바닥창 33a : 끼움홈
34 : 제1결합부 35 : 제2결합부
40 : 에어쿠션 50 : 이탈방지부
60 : 밀림방지부 61 : 돌출부
62 : 요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착용하는 사람의 발을 감싸주는 갑피;
    상기 갑피에 부착되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바닥창;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에어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에어쿠션이 고정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결합부 윗면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아랫면 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고정홈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고정홈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의 단부까지의 높이(H2)는,
    상기 제1결합부의 고정홈 또는 상기 제2결합부의 고정홈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에어쿠션의 중심까지의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 고정되는 상기 에어쿠션이 착지되는 하중에 의해 밀려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에어쿠션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며 상기 고정홈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화 기능을 갖는 슬리퍼.
KR2020090002894U 2009-03-13 2009-03-13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KR200457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94U KR200457790Y1 (ko) 2009-03-13 2009-03-13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894U KR200457790Y1 (ko) 2009-03-13 2009-03-13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96U KR20100009296U (ko) 2010-09-27
KR200457790Y1 true KR200457790Y1 (ko) 2012-01-03

Family

ID=4419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894U KR200457790Y1 (ko) 2009-03-13 2009-03-13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7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342B1 (ko) * 2022-11-04 2023-01-04 주식회사 바크 슬리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65B1 (ko) * 2019-03-25 2020-07-02 주식회사 듀발 미드솔이 생략된 신발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73Y1 (ko) * 1990-05-22 1992-06-15 김상도 환기와 완충 및 패션을 겸비한 신발창
KR200251075Y1 (ko) * 2001-06-26 2001-11-16 박윤길 공기주머니 을 겸한 쿠션운동용 건강 슬리퍼
KR200259494Y1 (ko) * 2001-08-28 2002-01-09 조인숙 에어백구조의 슬리퍼
KR20020051075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롤 갭 보상을 통한 열간 사상압연 폭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9494A (ko) * 2001-01-06 2002-07-13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73Y1 (ko) * 1990-05-22 1992-06-15 김상도 환기와 완충 및 패션을 겸비한 신발창
KR20020051075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롤 갭 보상을 통한 열간 사상압연 폭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9494A (ko) * 2001-01-06 2002-07-13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오리피스 장착구조
KR200251075Y1 (ko) * 2001-06-26 2001-11-16 박윤길 공기주머니 을 겸한 쿠션운동용 건강 슬리퍼
KR200259494Y1 (ko) * 2001-08-28 2002-01-09 조인숙 에어백구조의 슬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342B1 (ko) * 2022-11-04 2023-01-04 주식회사 바크 슬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96U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137T3 (es) Calzado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US8635785B2 (en) Midsole for a shoe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US20130232820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20110232128A1 (en) Shoe Soles With Damping Foot Pads
KR200428447Y1 (ko) 신발 깔창
KR20180011573A (ko) 기능성 양말
KR200457790Y1 (ko) 실내화 기능을 구비한 슬리퍼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101119566B1 (ko) 하체 근력강화를 유도하는 신발창
KR200396954Y1 (ko) 검도용 실내 덧신
KR20140020550A (ko) 충격 흡수 및 통기성을 갖는 신발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101258604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101949819B1 (ko) 보행성이 향상된 덧신 및 양말
CN213307774U (zh) 一种缓震跑步鞋
TWM530173U (zh) 用於輕量型溜冰鞋之鞋體
KR200376852Y1 (ko) 충격을 흡수 하여 무릅을 보호하는 신발
JPS6241601Y2 (ko)
KR200375314Y1 (ko) 신발
JPH0610811Y2 (ja) スポーツシューズの靴底
KR200378052Y1 (ko) 충격완화용 건강 보조깔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