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1587B1 -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1587B1
KR100471587B1 KR10-2004-0055906A KR20040055906A KR100471587B1 KR 100471587 B1 KR100471587 B1 KR 100471587B1 KR 20040055906 A KR20040055906 A KR 20040055906A KR 100471587 B1 KR100471587 B1 KR 100471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support frame
front plat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홍
Original Assignee
김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홍 filed Critical 김준홍
Priority to KR10-2004-005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63C17/226Wheel mounting, i.e. arrangement connecting wheel and axle mou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63C17/2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with foot bindings or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신발의 밑창에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고, 신발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시 부피를 작게 차지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Roller skates being combinable and separable on shoes}
본 발명은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신발의 밑창에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고, 신발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시 부피를 작게 차지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스케이트는 매끄러운 바닥을 빠르고 힘차게 질주하며 즐기는 레져 스포츠로 바닥이 매끄럽게 포장된 장소이면 어디서든 간편하게 즐길 수 있어 어린이나 성인 할 것 없이 서로 어울려서 즐길 수 있는 운동이다.
최근의 일반화된 롤러 스케이트는 4개의 롤러가 롤러스케이트화의 바닥에 사방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며, 또한 롤러 블레이드(또는 인라인 스케이트)는 수개의 롤러가 바닥에 일렬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154370호, 실용등록공보 제0219046호 참조)
하지만, 이들은 모두 발에 착용하는 롤러스케이트화 및 롤러블레이드화의 사이즈가 일정한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성장하는 어린아이나 청소년의 경우 약간 큰사이즈를 구입하여도 금방 작아져 장기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러스케이트 및 롤러블레이드는 전용신발에 프레임, 롤러, 스토퍼 등이 동일체로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무겁고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곤란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러스케이트와 신발을 바꾸어 신어야 할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매우 번거롭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신발의 밑창에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신발의 크기에 따라 사이즈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게가 가법고 부피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한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는 신발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대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길이조절볼트; 및 상기 길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길이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상기 길이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플레이트에는 볼넓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볼넓이조절수단은, 상기 전방플레이트 양측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폭조절볼트; 및 상기 폭조절볼트에 체결되는 폭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플레이트에는 상기 폭조절볼트가 삽입되는 폭방향의 장공이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신발의 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한 뒤꿈치 보호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뒤꿈치 보호대는 접거나 펴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측은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측은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볼트는,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장공 내에서 접촉되며 슬라이딩되는 소직경부와, 상기 길이조절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소직경부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하부에 지지되는 대직경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말단에는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는 신발의 전방측 바닥면을 지지하는 전방플레이트(110)와, 신발의 후방측 바닥면을 지지하는 후방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의 각 저면부 중앙에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과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이 각각 볼트(131) 및 너트(미도시)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전/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a)(130b)의 각 좌우측에는 롤러(13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10) 및 후방플레이트(120)의 각 바닥면상에는 플레이트의 중량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신발이 플레이트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천공된 다수의 홀(112)이 형성된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10)의 좌우측 상면에는 폭방향(도면의 "X"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폭방향의 장공(1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공(114) 주위는 단차지도록 턱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폭조절볼트(144)가 체결된 상태에서 그 머리부가 전방플레이트(110)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10)에는 신발이 안착된 상태에서 발등부위를 조여 고정시켜 주는 전방고정밴드(140a)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고정밴드(140a)는 힌지볼트(141)를 통해 전방플레이트(110)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전방지지브래킷(142)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전방플레이트(110)에는 신발의 볼 사이즈에 따라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볼넓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볼넓이조절수단은 전방플레이트(110) 좌우측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지지브래킷(142)과, 전방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장공(114) 및 전방지지브래킷(14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폭조절볼트(144)와, 폭조절볼트(144)에 체결되는 폭조절너트(146)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지지브래킷(142)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전방플레이트(110)와 요철형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동작시 정해진 위치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폭조절너트(146)의 조임력을 조절하여 신발의 볼 사이즈에 맞는 좌우측 전방지지브래킷(142)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폭조절너트(146)는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나비형 너트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방플레이트(110)의 후단부 상면에는 길이방향(도면의 "Y"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방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상기 후방플레이트(120)에는 신발의 길이에 맞는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후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고정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슬라이딩바(1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바(150)의 일측은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방플레이트(120)의 선단부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길이방향의 장공(160)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플레이트(120)의 선단부에는 경사부(162)가 형성되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착용할 경우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슬라이딩바(15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전방플레이트의 후단부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블럭(170)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상에 부호로 명기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바(150)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블럭(170)과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150)의 슬라이딩 동작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이들 사이의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볼트(164) 및 길이조절너트(16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볼트(164)는 상기 후방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길이방향 장공(160)의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165)와, 상기 머리부(165)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공(160) 내에서 접촉되며 슬라이딩되는 소직경부(167)와, 상기 길이조절너트(166)가 체결되며 상기 소직경부(167)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장공(160)의 하부에 지지되는 대직경부(16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장공(160)의 말단에는 상기 길이조절볼트(164)의 대직경부(16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장공(16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볼트 삽입부(169)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볼트(164)는 후방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볼트 삽입부(169)와 전방플레이트(110) 및 가이드블럭(170)을 관통하여 결합된 후 길이조절너트(166)를 체결하여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전방플레이트(110)와 상기 가이드블럭(170)에는 각각 상기 길이조절볼트(164)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171)(1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너트(166)는 전술된 폭조절너트(146)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나비형 너트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의 후면에는 롤러 스케이트의 주행시 지면과 마찰되어 브레이킹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브레이크 부재(176)가 고정된다.
한편, 후방플레이트(120)의 후단부에는 신발의 뒤꿈치 부위를 감싸며 보호하는 뒤꿈치 보호대(180)가 구비된다.
상기 뒤꿈치 보호대(180)는 후방플레이트(120)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후방지지브래킷(178)상에 2개의 힌지볼트(181)(182)를 통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뒤꿈치 보호대(180)는 후방측 힌지볼트(182)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바, 전방측 힌지볼트(181) 결합부위에 회동방향의 궤적을 그리는 아치형의 안내공(1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뒤꿈치 보호대(180)에는 신발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방측 발등 부위를 조여 고정시켜 주는 후방고정밴드(140b)가 힌지볼트(186)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롤러 스케이트(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뒤꿈치 보호대(180)를 하방으로 접은 상태로 가방 등에 넣어 보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200)는, 예컨대, 운동화와 같은 일반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처럼 롤러 스케이트를 신기 위하여 신발을 벗어야 하거나 급한 용무로 인해 신발을 다시 신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길이조절너트(166) 및 폭조절너트(146)를 통해 신발의 사이즈에 따른 길이 및 폭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를 신발에 장착하게 되는 경우, 먼저 길이조절너트(166)를 통해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신발의 길이에 적합하게 세팅하고, 아울러, 폭조절너트(146)를 통해 전방지지브래킷(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신발의 볼 넓이에 맞도록 세팅하게 된다.
그런 다음, 신발을 뒤꿈치 보호대(180)에 밀착하여 지지한 후 전방플레이트(110)에 구비된 전방고정밴드(140a)와 후방플레이트(120)에 구비된 후방고정밴드(140b)를 이용하여 신발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롤러 스케이트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길이조절너트(166)와 폭조절너트(146)를 이용하여 신발의 길이 및 볼 사이즈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발 사이즈에 구애 받지 않고 롤러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뒤꿈치 보호대의 회동구조를 보여주는 것인 바,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 보호대(180)가 후방측 힌지볼트(18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뒤로 젖혀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롤러 스케이트를 가방 등에 포개 넣어 보관하게 될 경우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상에 다수의 홀(112)을 형성함에 따라, 신발이 착용된 상태에서는 신발의 밑창 부분이 홀(112) 내부로 눌려지게 되므로 신발이 플레이트 위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홀(112)의 크기 및 수 만큼의 플레이트의 중량 감소로 이어져 롤러 스케이트의 전체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6은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롤러 스케이트가 신발에 착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제1실시예의 롤러 스케이트 구조를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롤러 블레이드)에 적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8은 도 7의 저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하고, 상기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을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300)는 전방플레이트(110)와 후방플레이트(120)의 하부에 다수의 롤러(132)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롤러지지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롤러지지프레임(130)은 전방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과 후방플레이트(12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과 일체로 형성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의 후단부측 상면은 후방플레이트(120)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의 선단부측 상면은 전방플레이트(110)의 저면부와 슬립 가능하게 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후방플레이트(120)의 선단부 좌,우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장공(160a)(160b)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60a)(160b)에는 길이조절볼트(164a)(164b)가 삽입되어 전방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길이조절볼트(164a)(164b)에는 길이조절너트(166a)(166b)가 체결된다.
슬라이딩바(150)는 일측이 후방롤러지지프레임(130b)에 고정된 채 타측은 가이드블럭(170)과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전방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 진퇴운동시 상기 가이드블럭(170)과 전방롤러지지프레임(130a) 내부를 슬라이딩하며 상기 전방플레이트(110)가 정해진 위치를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발목 보호를 위해 종아리 부위까지 감싸주는 부츠형태의 신발을 채용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도 이를 고려하여 뒤꿈치 보호대(180)의 상측부분에 종아리로부터 발목으로 이어지는 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종아리 보호대(19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아리 보호대(190)는 전방측으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뒤꿈치 보호대(180)의 양측에 힌지볼트(192)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종아리 보호대(190)의 안쪽에는 종아리 부위의 완충작용을 위하여 스폰지나 두꺼운 천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쿠션부재(194)가 마련된다.
물론, 도면상에 부호로 명기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쿠션부재(194)에는 이를 조여 사용자의 종아리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밴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 구조는 전방플레이트(110) 및 후방플레이트(120)의 하부 구조와 별도 장착되는 종아리부 보호구조만 상이할 뿐 상기한 제1실시예의 롤러 스케이트 구조와 동일하게 채용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작용효과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참고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가 신발에 착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착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신발과 롤러 스케이트를 번갈아 바꿔 신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상대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른 신발의 크기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적용 가능하다.
셋째, 전방플레이트에 구비되는 볼넓이조절수단을 통해 신발의 길이뿐만 아니라 신발의 볼 넓이까지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후방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뒤꿈치 보호대를 하방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롤러 스케이트를 포개어 보관하게 될 경우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섯째, 전방플레이트 및 후방플레이트상에 다수의 홀을 형성함에 따라, 신발이 착용된 상태에서 그 밑창 부분이 상기 홀 내부로 눌려지게 되므로 신발이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량을 저감시켜 롤러 스케이트의 전체적인 중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슬라이딩바의 일측을 후방롤러지지프레임에 고정하고 타측을 전방롤러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바의 전방측 부위가 전방롤러지지프레임을 통해 견고하게 가이드됨과 동시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전방플레이트의 좌우방향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일곱째, 길이조절볼트가 볼트 삽입부에 삽입되어 장공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그 머리부 및 대직경부가 상기 장공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유사시 길이조절너트가 풀릴 경우에도 전방플레이트가 후방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와 지지브래킷의 길이 및 폭 조절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길이조절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뒤꿈치 보호대의 회동구조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신발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7이 신발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 : 전/후방플레이트 112 : 홀
114 : (폭방향)장공 130a,130b : 전/후방롤러지지프레임
131 : 볼트 132 : 롤러
140a,140b : 전/후방고정밴드 141,181,182,186 : 힌지볼트
142 : 전방지지브래킷 144 : 폭조절볼트
146 : 폭조절너트 150 : 슬라이딩바
160 : (길이방향)장공 162 : 경사부
164 : 길이조절볼트 165 : 머리부
166 : 길이조절너트 167 : 소직경부
168 : 대직경부 169 : 볼트 삽입부
170 : 가이드블럭 171,172 : 관통공
176 : 브레이크 부재 178 : 후방지지브래킷
180 : 뒤꿈치 보호대 184 : 안내공
190 : 종아리 보호대 194 : 쿠션부재
200 : 롤러 스케이트 300 : 인라인 스케이트

Claims (8)

  1. 삭제
  2. 신발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후방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방플레이트;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상대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길이조절볼트; 및
    상기 길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길이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상기 길이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에는 볼넓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볼넓이조절수단은,
    상기 전방플레이트 양측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폭조절볼트; 및
    상기 폭조절볼트에 체결되는 폭조절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플레이트에는 상기 폭조절볼트가 삽입되는 폭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신발의 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한 뒤꿈치 보호대가 더 설치되고, 상기 뒤꿈치 보호대는 접거나 펴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측은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후방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는 후방롤러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측은 상기 후방롤러지지프레임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상기 전방롤러지지프레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볼트는,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상부에 안착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 장공 내에서 접촉되며 슬라이딩되는 소직경부와,
    상기 길이조절너트가 체결되며, 상기 소직경부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하부에 지지되는 대직경부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장공의 말단에는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10-2004-0055906A 2004-07-19 2004-07-19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10047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06A KR100471587B1 (ko) 2004-07-19 2004-07-19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906A KR100471587B1 (ko) 2004-07-19 2004-07-19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1587B1 true KR100471587B1 (ko) 2005-03-09

Family

ID=4366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906A KR100471587B1 (ko) 2004-07-19 2004-07-19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1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61B1 (ko) 2006-11-15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100750560B1 (ko) * 2006-07-19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100770054B1 (ko) 2006-06-03 2007-10-24 황보창호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22049B1 (ko) 2006-04-26 2008-04-21 황보창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49B1 (ko) 2006-04-26 2008-04-21 황보창호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0770054B1 (ko) 2006-06-03 2007-10-24 황보창호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0750560B1 (ko) * 2006-07-19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100750561B1 (ko) 2006-11-15 2007-08-20 정동렬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815B1 (ko) 외줄 롤러스케이트
US5331752A (en) Skate with detachable shoe
US5794362A (en) Size adjustable athletic boot
AU2011293859B2 (en) Roller skate
EP1258268B1 (en) Tool-less size adjustable in-line skate
KR100853052B1 (ko) 확장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CA2329499A1 (en)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adjusting the size of an in-line roller skate
US6253467B1 (en) Mounting for a snowboard boot strap
KR100471587B1 (ko)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KR200378100Y1 (ko) 바퀴달린 신발을 위한 착탈형 바퀴 유니트
KR20080013671A (ko) 신발 장착용 롤러장치
US6158748A (en) Skate
KR101149477B1 (ko)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71542Y1 (ko)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KR200348256Y1 (ko) 신발에 장착되는 다기능 롤러 스케이트
KR101868569B1 (ko) 탈착구조를 갖는 기능성 슈즈
KR200210238Y1 (ko)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KR200292544Y1 (ko) 롤러스케이트
US20050055847A1 (en) Sports shoe
KR101430211B1 (ko) 신발착용이 가능한 인라인스케이트
KR200237494Y1 (ko)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가 장착된 롤러 스케이트
KR100338163B1 (ko) 체중을 이용한 브레이크 장치가 장착된 롤러 스케이트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00770054B1 (ko)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