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477B1 -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477B1
KR101149477B1 KR1020100048778A KR20100048778A KR101149477B1 KR 101149477 B1 KR101149477 B1 KR 101149477B1 KR 1020100048778 A KR1020100048778 A KR 1020100048778A KR 20100048778 A KR20100048778 A KR 20100048778A KR 101149477 B1 KR101149477 B1 KR 10114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upport
shoes
band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243A (ko
Inventor
임정민
Original Assignee
임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민 filed Critical 임정민
Priority to KR102010004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4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0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ixable wheels permitting the skates to be used for 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2017/005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foot plate quick release or shoe bind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신발이 안착 되는 바닥판(110) 저면에 휠(W)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10)에 안착 되는 신발을 밴딩하기 위한 밴딩부(12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1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양 측면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판(112)을 형성하되 그 수직판(112) 전후단에 각각 하나의 통공(114)과 2개의 가이드공(116)을 천공하고, 상기 수직판(112) 후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가이드공(116)과 결합하면서 바닥판(110)의 후방 측으로 선형 상으로 연결되어 발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도록 뒷굼치지지부(130)를 구성하고, 상기 밴딩부(120)는 상기 수직판(112)의 선단측 통공(114)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신발 착용자의 발 앞쪽을 밴딩하기 위한 토우밴드(124)와,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구멍(133)과 연결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목 부분을 밴딩 하기 위한 앵클밴드(126)로 구성하고,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 내측에서 회동 지지되며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발목뒤지지부(140)와, 상기 발목뒤지지부(140)의 상단을 감싸며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감싸도록 하고, 하단측은 뒷굼치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목앞지지부(150)로 구성되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바닥판(110)에 신발이 위치되도록 한 후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를 이용하여 신발을 견고하게 상기 바닥판(110)과 결속되도록 하되, 뒷굼치지지부(130),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이 보호되도록 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WITH ONE'S SHOES ON IN-LINE SKATING IN USE}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여 유희를 즐길 수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발뒤꿈치를 보호하는 부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사용자의 발목 앞과 뒤 부분의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의 발이 밀접하게 결착되도록 하여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며, 보관의 용이성 및 제품의 내구성과 제품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브레이드라 칭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이후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인라인 스케이트로 통칭한다)는 운동, 레크리에이션 등의 목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 남녀에 이르기까지 많은 대중들로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 되는 부츠형 신발과, 그 신발의 고정 장착되는 휠 블레이드 조립체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휠 블레이드 조립체는 부츠에 고정 장착되는 런너 또는 블레이드와, 그 블레이드에 구비되는 샤프트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4개 내지 5개의 롤러 또는 휠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하였던 신발을 벗은 후,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성을 이루는 부츠를 착용한 후, 일반적인 빙상용 스케이트를 타는 방식으로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구조를 갖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즐기는데에는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는데, 예를 들면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일반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한 장소로 이동하기까지는 일반 신발을 착용하고, 인라인 스케이트를 운반한 다음, 해당 장소에 이동하여서는 일반 신발을 벗고, 인라인 스케이트의 일요소를 이루는 부츠를 신은 후,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일반 신발은 벗어 놓은 후 주변 벤치 등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럴 경우 일반 신발의 분실 우려 등이 있어,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거나 휴대한 상태에서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겨야 하므로, 상당한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 등에 착안하여, 인라인 스케이트에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을 그대로 착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예를 들면, 휴대가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의 발에도 사용한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개시하는 실용신안등록 제 0332556 호, 다양한 크기의 발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롤러스케이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발목부위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시키고, 전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굴신 될 수 있게 하여 발목을 보호하고 발목에 피로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실용신안 등록 제 345627 호, 인라인스케이트의 바퀴프레임을 신발로부터 탈부착시킬 수 있게 하여 인라인스케이트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인라인스케이트에 관한 것인 실용신안 등록 제 0376050 호, 신발을 신은 상태로 착용 가능한 실용신안 등록 제 037765 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주로 하나의 인라인 스케이트로 다양한 길이를 갖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인라인 스케이트의 각 부위를 분해 조립시킬 수 있게 하여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바, 신발을 신은 상태의 발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구비하는 판체의 아랫부분에 바퀴를 설치시키고, 상기 판체를 전판과 후판으로 분할 형성시키며, 분할된 전판과 후판의 사이에 전판과 후판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 출원고안의 기술에 따르면 바퀴가 설치되는 판체가 전판과 후판으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인라인 스케이트의 휴대나 보관시에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휴대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발의 길이 변화에 상관 없이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어 하나의 스케이트를 다양한 발 크기의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각 부위를 분해시켜 보관할 때 분해된 각 구성부품의 부피의 축소에 한계가 있어 휴대에 불편한 문제점과, 각각의 부위를 조립시킬 때 그 결합부위의 내구성이 취약하여 안전성의 문제점이 지적 된다.
또한, 상기한 선행 기술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발 폭에 따른 밴드가이드의 폭 조정시 밴드를 걸림홈으로부터 인출시켜 폭이 넓은 걸림홈에 삽입시켜 발 폭의 변화에 대응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그 폭 조정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미세한 폭까지 정확하게 폭 조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안출한 것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886877 호인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가 공고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을 첨부하는 도 1을 참조하여 특허공고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인용하면, [신발을 신은 상태의 발에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3)을 구비하는 판체(1)의 저부에 바퀴(2)가 설치되고, 상기 판체(1)가 전판(10)과 후판(11)으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된 전판(10)과 후판(11)의 사이에 전판(10)과 후판(11)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장치(4)가 설치되고, 절판(10)에 결속수단(3)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동판(31)(32)이 설치되며, 상기 가동판(31)(32)에 고정장치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상기 전판(10)과 후판(11)의 아랫부분에 설치되는 바퀴프레임을 탄력걸림장치(5)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함에 있어서 전판(10)과 후판(11)의 저부에 탄력걸림장치(5)가 설치되는 돌출부(50)를 형성시키고, 돌출부(50)에 스프링(54)에 탄력지지 되는 걸쇠(55)가 삽입되는 홈(51)을 형성시키고, 돌출부(50)의 전/후단에 바퀴프레임(20)을 전후 걸림쇠(21)(22)가 각각 걸리어지는 걸림홈(52)(53)을 형성시켜 구성되며, 상기 걸쇠(55)는 스프링(54) 설치되는 전방에 걸림쇠(21)를 지지하는 지지부(551)를 형성시키고, 지지부(551)의 저부는 걸림쇠(21)가 밀고 올라올 때 걸쇠(55)가 스프링(54)을 압착시키며 후퇴될 수 있도록 경사안내부(552)를 형성시켰으며, 걸쇠(55)의 하단부에는 돌출부(50)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553)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가장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사용자의 체중을 버티는 인라인의 견고함과 착용자의 발과 발목을 지지하여 부상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장시간 착용시 발의 편안함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러한 견고성과 착용시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어렵고 아울러,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성하는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고, 사용자의 발 폭을 감싸는 결속수단의 경우 상하 요철 돌기에 의해 결속되는데, 인라인 스케이트에 전해지는 순간 하중이 상당하여 돌기와 돌기간의 결속 상태가 해제되어 사용자의 발 폭을 감싸는 결속장치가 풀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아울러 발등을 감싸는 결속수단 이외에 발목 앞쪽을 감싸는 밴드를 이용하여 결속하고 있는데, 폭이 협소한 밴딩을 이용하여 발목을 감싸고 있어 사용시 발목 부분을 가압하는 현상이 발생 되어 혈액 순환을 방해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발목의 뒷부분에 구비되는 발목보호대와 달리 발목 앞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대가 전혀 없어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목이 심하게 접히게 되는 경우, 이의 능동적 대응이 어려워 발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인라인 스케이트 착용시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되 사용자의 발목 전후부분을 완전히 감싸며 보호 가능한 보호대를 구성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때 발목에 전달되는 과다한 충격력에 의해 발생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상관없이 인라인 스케이트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다년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를 성장 속도에 따라 자주 교체 구입하게 되는 구입 비용 부담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착용할 때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 간 견고한 결착을 위해 밴드의 폭을 비교적 넓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용자의 발과 인라인 스케이트 간 일체감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시 발과 인라인 스케이트 간 헐거워짐과 같은 유격상태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인라인 스케이트(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신발이 안착 되는 바닥판(110) 저면에 휠(W)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10)에 안착 되는 신발을 밴딩하기 위한 밴딩부(12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1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양 측면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판(112)을 형성하되 그 수직판(112) 전 후단에 각각 하나의 통공(114)과 2개의 가이드공(116)을 천공하고,
상기 수직판(112) 후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가이드공(116)과 결합하면서 바닥판(110)의 후방 측으로 선형 상으로 연결되어 발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도록 뒤꿈치지지부(130)를 구성하고,
상기 밴딩부(120)는 상기 수직판(112)의 선단 측 통공(114)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신발 착용자의 발 앞쪽을 밴딩하기 위한 토우밴드(124)와, 상기 뒤꿈치지지부(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구멍(133)과 연결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목 부분을 밴딩 하기 위한 앵클밴드(126)로 구성하고,
상기 뒤꿈치지지부(130)의 후단 내측에서 회동 지지가 되며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지지가 되도록 하는 발목뒤지지부(140)와,
상기 발목뒤지지부(140)의 상단을 감싸며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감싸도록 하고, 하단 측은 뒷굼치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목앞지지부(150)로 구성되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바닥판(110)에 신발이 위치되도록 한 후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를 이용하여 신발을 견고하게 상기 바닥판(110)과 결속되도록 하되, 뒤꿈치지지부(130),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이 보호되도록 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라인 스케이트 착용시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되 사용자의 발목 전후부분을 완전히 감싸며 보호 가능한 보호대를 구성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때 발목에 전달되는 과다한 충격력에 의해 발생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상관없이 인라인 스케이트의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다년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라인 스케이트를 성장 속도에 따라 자주 교체 구입하게 되는 구입 비용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음은 물론, 신발과 인라인 스케이트간 견고한 결착을 위해 밴드의 폭을 비교적 넓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발 보호와, 착용자의 발과 인라인 스케이트간 일체감을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시 발과 인라인 스케이트간 헐거워짐과 같은 유격상태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신발 착용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예를 도시한 선행기술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인라인 스케이트의 몸체 부분과 휠브라켓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루는 구성 중에서, 바닥판과 뒤꿈치지지부, 발목뒤지지부, 발목앞지지부의 각 구성부분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토우밴드와 앵클밴드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발목뒤지지부의 회동조정자를 부분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인라인 스케이트에서 탈피하여, 착용자가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인라인 스케이팅이 가능하도록 하되 그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신발(1)을 신은 상태에서 신발(1)이 지지되기 위한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 저면에 구비되는 휠(W)과, 착용되는 신발을 결속하기 위한 밴딩부(120)와, 착용자의 뒤꿈치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뒷굼치지지부(130)와,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완전히 보호하기 위한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양 측면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판(112)을 형성하되 그 수직판(112) 전후단에 각각 하나의 통공(114)과 2개의 가이드공(116)을 천공한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110)의 저면측으로는 길게 휠브라켓(160)이 장착되고 그 휠브라켓(160)에 다수개의 휠(W)이 장착된다.
상기 휠브라켓(160)은 "∩"자 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를 관통하는 축(미도시)에 장착되는 휠(W)이 다수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110)의 양 측면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판(112)이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 성형 된다.
이러한 수직판(112)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토우밴드(124)가 체결되기 위한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앵클밴드(126)가 체결되기 위한 가이드공(116)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공(116)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구멍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는 착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토우밴드(124)의 양단부가 체결되는 통공(114)은 긴 장공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토우밴드(124)의 위치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앵클밴드(126) 양단부는 뒷굼치지지부(130)와 결합하도록 하였고,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부에 각각 장공의 결합공(132)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32)과 수직판(112)의 가이드공(116) 결합 위치 변위에 따라 앵클밴드(126)의 위치가 전후 가변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는 각각 어느 한 측이 쿠션재로 이루어져 버클이 구비되고, 다른 쪽은 라쳇벨트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착용자의 발등과 발가락 부분을 광범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뒤꿈치지지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뒤꿈치지지부(13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수직판(112) 후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가이드공(116)과 결합하면서 바닥판(110)의 후방 측으로 선형 상으로 연결되어 발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하였다.
아울러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뒷굼치지지부(130)의 위치가 가변 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뒤꿈치지지부(130) 양단부 측에 장공의 결합공(132)을 천공하고, 그 결합공(132)은 전술한 수직판(112)의 가이드공(116)과 결합하도록 하였다.
상기 발목뒤지지부(140)는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 내측에서 결합하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지지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목뒤지지부(140)는 뒷굼치지지부(130)의 후단 내측에 끼워지듯이 내합되어 있는 것이고, 발목뒤지지부(140)의 양단부는 각각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 내측에 결합 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발목뒤지지부(140)의 양단부에 다수개의 구멍(141)을 천공하고, 그 구멍(141)과 뒷굼치지지부(130)의 양 측면에 천공되는 구멍(133)을 일치시키고, 아울러 앵클밴드(126)의 양단부가 각각 동일한 각 구멍(141,133)을 통해 결합하도록 하여, 앵클밴드(126)와 뒤꿈치지지부(130) 및 발목뒤지지부(140)가 결합하고, 또한, 상기한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발목앞지지부(150)도 함께 연결 고정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을 통해 결합 되는 구성은, 앵클밴드(126), 발목뒤지지부(140)와 발목앞지지부(150)가 결합하여, 상기한 뒷굼치지지부(130)의 위치 변위에 따라 앵클밴드(126)와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도 동시에 위치 변위 되어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적정한 위치로 가변 됨으로써,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착용자의 발목 상태는 각각 다를 수밖에 없게 되는데 예를 들어 발뒤꿈치에서 발목 뒷부분으로 유선형태를 띠며 완만하게 굴곡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비교적 굴곡 상태가 심한 사람이 있는 등, 발목의 형태와 생김새에 따라 다양한 발목 뒷부분의 구조를 갖게 되어, 전술한 발목뒤지지부(140)가 뒷굼치지지부(130)의 후단에서 보았을 때 고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게 되면, 착용자에 따라 다소 불편한 착용감을 불러 오게 되므로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때 발목의 부자연스러움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개연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발목뒤지지부(140)가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에 결합 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회동 된 상태를 고정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목뒤지지부(140) 배면 측에 회동조정자(1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회동조정자(142)는 발목뒤지지부(140) 배면 측 표면으로 라쳇이 형성되는 고정자(143)를 형성하고, 이와 맞물리는 라쳇타입의 이동자(144)를 구성하되 상기 이동자(144)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리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자(144)와 고정자(143)의 각 라쳇부분이 상호 해제된 후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이동자(144)의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서, 이동자(144)의 하단부는 뒷굼치지지부(130)의 배면 측 상단에 접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이동자(144)가 고정자(143)를 따라 하강하게 되면 이동자(144)의 하단부는 항상 뒷굼치지지부(130)의 배면 측 상단에 접하게 되므로 발목뒤지지부(140)가 전방 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반대로 이동자(144)가 고정자(143)를 따라 상승하게 되면, 발목뒤지지부(140)는 후방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조정자(142)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발목 상태에 따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적인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발목앞지지부(150)는 상기한 발목뒤지지부(140)의 상단을 감싸며 착용자의 발목 앞과 전체를 감싸도록 하여 발목앞지지부(150)와 발목뒤지지부(140)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목앞지지부(15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그 양단부가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과 결합하도록 하였으며, 발목앞지지부(150)의 전면 측은 개방된 상태로 밴드에 의해 체결 가능하도록 하되, 후단 측은 발목뒤지지부(140)의 뒷면을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은 발목앞지지부(150)도 뒷굼치지지부(130)의 전후진 위치 변경에 따라 연동하여 위치 이동됨은 물론이고, 발목뒤지지부(150)가 회동저정자(142)에 의해 일정각 회동 될 때에도 연동하며 회동 될 수 있어,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안전하게 발목을 보호하며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발명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최초의 상태는 각각의 밴딩부(120) 즉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는 해제되어 열려진 상태에 있게 되고, 발목앞지지부(150)의 전면 측 밴드부분도 열려져 있으며, 그 열려진 사이로 발목뒤지지부(140)가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기 위한 장소로 이동될 것이다.
착용자는 발목뒤지지부(140)를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수직상태에 이루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발목앞지지부(150)도 동시에 수직상태로 연동하여 회동 된다.
한편, 사용자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바닥판(110)에 신발이 위치되도록 한 후,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를 각각 자신의 신발을 감싸도록 밴딩 하게 되는데, 신발의 사이즈에 따라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의 위치를 가변하게 된다.
그 가변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토우밴드(124)의 양단이 수직판(112)의 장공 형태의 통공(114)에 결합하여 있으므로 장공 형태 통공(114)과 체결된 토우밴드(124) 양단을 헐겁게 한 후 상기 통공(114)의 위치를 따라 전후 이동시켜 적정 위치를 선정한 다음, 다시 조이는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는 각각 수직판(112)의 통공(114)과 뒷굼치지지부(130)의 구멍(133)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앵클밴드(126)의 위치를 가변하는 것은 뒤꿈치지지부(130), 발목뒤지지부(140), 발목앞지지부(150) 전체가 동시에 전후로 위치 변위 되는데, 이를 위해서 뒷굼치지지부(130)의 결합공(132)과 수직판(112)의 가이드공(116)간 볼트 결합하여 있는 부분을 헐겁도록 한 후, 뒤꿈치지지부(130)를 착용자의 발 위치 및 사이즈에 따라 선택 조절하여 위치 조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밴딩부(120)인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를 각각 체결하여 신발을 조여줄 수 있다.
아울러, 착용자의 발목 앞 부분을 커버하는 발목앞지지부(150)를 밴딩하여 발목 전체를 발목앞지지부(150)와 발목뒤지지부(140)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데, 착용자의 발목 상태에 따라 상기 발목뒤지지부(140)를 전술한 회동조정자(142)를 이용하여 일정 각 회동 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발목이 가장 편안한 상태의 위치를 정한 후 회동조정자(142)의 이동자(144)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하여, 인라인 스케이팅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 휠 100; 인라인 스케이트
110; 바닥판 112; 수직판
114; 통공 116; 가이드공
120; 밴딩부 124; 토우밴드
126; 앵클밴드 130; 뒤꿈치지지부
132; 결합공 133; 구멍
140; 발목뒤지지부 141; 구멍
142; 회동조정자 143; 고정자
144; 이동자 150; 발목앞지지부
160; 휠브라켓

Claims (5)

  1. 신발을 신은 상태로 인라인 스케이트(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신발이 안착 되는 바닥판(110) 저면에 휠(W)을 다수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110)에 안착 되는 신발을 밴딩하기 위한 밴딩부(120)를 포함하는 인라인 스케이트(1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양 측면으로 각각 수직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판(112)을 형성하되 그 수직판(112) 전후단에 각각 하나의 통공(114)과 2개의 가이드공(116)을 천공하고,
    상기 수직판(112) 후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가이드공(116)과 결합하면서 바닥판(110)의 후방 측으로 선형 상으로 연결되어 발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도록 뒤꿈치지지부(130)를 구성하고,
    상기 밴딩부(120)는 상기 수직판(112)의 선단 측 통공(114)과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며 신발 착용자의 발 앞쪽을 밴딩하기 위한 토우밴드(124)와,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측에 형성되는 구멍(133)과 연결되며 신발 착용자의 발목 부분을 밴딩 하기 위한 앵클밴드(126)로 구성하고,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 내측에서 회동 지지되며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발목뒤지지부(140)와,
    상기 발목뒤지지부(140)의 상단을 감싸며 착용자의 발목 전체를 감싸도록 하고, 하단 측은 뒷굼치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발목앞지지부(150)로 구성되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바닥판(110)에 신발이 위치되도록 한 후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를 이용하여 신발을 견고하게 상기 바닥판(110)과 결속되도록 하되, 뒤꿈치지지부(130),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에 의해 착용자의 발목이 보호되도록 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밴드(124)와 앵클밴드(126)는 각각 어느 한 측이 쿠션재로 이루어져 버클이 구비되고, 다른 쪽은 라쳇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밴드(124)의 양단부가 체결되는 통공(114)은 긴 장공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토우밴드(124)의 위치 가변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앵클밴드(126) 양단부는 뒷굼치지지부(130)와 결합하도록 하였고,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단부에 각각 장공의 결합공(132)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132)과 수직판(112)의 가이드공(116) 결합 위치 변위에 따라 앵클밴드(126)의 위치가 전후 가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굼치지지부(130)의 양측에 천공되는 구멍(133)을 통해 앵클밴드(126), 발목뒤지지부(140)와 발목앞지지부(150)가 결합하여, 상기한 뒷굼치지지부(130)의 위치 변위에 따라 앵클밴드(126)와 발목뒤지지부(140) 및 발목앞지지부(150)도 동시에 위치 변위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뒤지지부(140) 배면 측 표면으로 라쳇이 형성되는 고정자(143)를 형성하고, 이와 맞물리는 라쳇 타입의 이동자(144)를 구성하되 상기 이동자(144)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리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동자(144)와 고정자(143)의 각 라쳇부분이 상호 해제된 후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이동자(144)의 위치가 가변 되도록 하는 회동조정자(142)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20100048778A 2010-05-25 2010-05-25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114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78A KR101149477B1 (ko) 2010-05-25 2010-05-25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78A KR101149477B1 (ko) 2010-05-25 2010-05-25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43A KR20110129243A (ko) 2011-12-01
KR101149477B1 true KR101149477B1 (ko) 2012-05-24

Family

ID=4549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78A KR101149477B1 (ko) 2010-05-25 2010-05-25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89B1 (ko) 2010-10-19 2012-09-12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95451Y1 (ko) 2021-12-15 2022-05-26 박영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10Y1 (ko) 2005-06-30 2005-09-14 김성국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86877B1 (ko) 2007-07-27 2009-03-04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967653B1 (ko) 2009-07-16 2010-07-07 김광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910Y1 (ko) 2005-06-30 2005-09-14 김성국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KR100886877B1 (ko) 2007-07-27 2009-03-04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100967653B1 (ko) 2009-07-16 2010-07-07 김광수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489B1 (ko) 2010-10-19 2012-09-12 이동근 신발 위에 덧신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495451Y1 (ko) 2021-12-15 2022-05-26 박영호 신발 장착형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243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362A (en) Size adjustable athletic boot
CA2113327A1 (en) Skate
KR100719159B1 (ko) 슬리퍼 겸용 샌들
KR101149477B1 (ko) 신발을 신은 채 사용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US6425586B1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KR200392500Y1 (ko) 발판 길이 가변형 스케이트
EP0681857B1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US8556274B2 (en) Skate brake
JP3528988B2 (ja) スキーブーツ用歩行具
KR200378100Y1 (ko) 바퀴달린 신발을 위한 착탈형 바퀴 유니트
EP0685245A1 (en) Brak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ates
EP1390108B1 (en) A skate, particularly for aggressive skating
KR101868569B1 (ko) 탈착구조를 갖는 기능성 슈즈
KR101430211B1 (ko) 신발착용이 가능한 인라인스케이트
KR200359320Y1 (ko) 스케이트 스키
KR101430212B1 (ko) 제동수단을 갖는 인라인스케이트
KR200395910Y1 (ko)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KR100770054B1 (ko)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100750561B1 (ko)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WO2008054105A1 (en) Boots for fixing passive sports equipment
US20050253346A1 (en) Skates having instep protectors
KR100750560B1 (ko)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20050047061A (ko) 발목 보호수단이 구비된 신발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KR940007193Y1 (ko) 로울러 보드
TWI235079B (en) In-line skating shoes with a instep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