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248Y1 - 문서결착지지대 - Google Patents

문서결착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248Y1
KR200272248Y1 KR2020020000104U KR20020000104U KR200272248Y1 KR 200272248 Y1 KR200272248 Y1 KR 200272248Y1 KR 2020020000104 U KR2020020000104 U KR 2020020000104U KR 20020000104 U KR20020000104 U KR 20020000104U KR 200272248 Y1 KR200272248 Y1 KR 200272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binding
binding member
support
elas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주
Original Assignee
백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주 filed Critical 백남주
Priority to KR2020020000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24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노트북 컴퓨터 등에 결착되어 문서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문서결착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결착대(110)에는 컴퓨터 등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재(118)와, 상기 문서결착부재(120)의 일단부에 결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114)와, 상기 힌지부(114)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부(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문서결착부재(120)는 문서를 결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결착부재(124)와, 상기 제1결착부재(124)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서를 결착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결착부재(126)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의 힌지부(11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12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문서결착지지대{SUPPOR BAR FOR HOLDING DOCUMENTS}
본 고안은 문서를 결착하는 문서결착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 결착되어 문서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한 문서결착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문서결착지지대는 컴퓨터 등의 측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문서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클립 등으로 문서를 결착한 후 작업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문서결착지지대는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은, 문서를 결착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클립 등의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탄성력 및 돌기부의 원리만으로 간편하게 문서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한 문서결착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는, 간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둔탁하고 부피가 큰 문서결착지지대와 달리 특히, 노트북 등에 부착하더라도 미적감각을 향상시키고 사용하기 편리한 문서결착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는 기존의 문서결착지지대의 구조를 간편하면서도 단순화시키므로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서결착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는, 통상의 컴퓨터 등에 부착되는 컴퓨터결착대와, 상기 컴퓨터결착대에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문서를 결착하는 문서결착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결착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결착대에는 컴퓨터 등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재와, 상기 문서결착부재의 일단부에 결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문서결착부재는 문서를 결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결착부재와, 상기 제1결착부재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서를 결착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결착부재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결착대의 힌지부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1결착부재 및 제2결착부재에는 이들을 연결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발생연결부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착부재의 내측면에는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와, 상기 제2결착부재의 내측면에는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1결착부재 및 제2결착부재에 형성된 복수개의 굴곡부는 한쪽 방향 또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문서결착지지대 110 : 컴퓨터결착대
112 : 힌지지지부 114 : 힌지부
116 : 접착지지부재 118 : 접착부재
120, 130 : 문서결착부재 122, 132 : 힌지연결부
123, 133 : 관통구멍 124, 134 : 제1결착부재
125, 127 : 돌출지지부 126, 136 : 제2결착부재
128, 138 : 탄성력발생연결부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에 대한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사시도이며, 100은 각종 서류 또는 종이 등의 문서를 결착하는 문서결착지지대이고, 통상의 컴퓨터 등에 측면 또는 정면 등에 부착되는컴퓨터결착대(110)와,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에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문서결착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에는 컴퓨터 등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재(118)와, 상기 문서결착부재(120)의 일단부에 결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114)와, 상기 힌지부(114)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부(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재(118)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면테이프이며, 상기 접착지지부재(116)는 상기 접착부재(118)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114)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지지부(112)는 상기 문서결착부재(120)가 회전할 때 간섭이 생기지 않으면서 충분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에서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문서결착부재(120)는 별도의 클립 등을 형성하지 않고 단순히 탄성력에 의해서 문서를 결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문서를 결착할 수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결착부재(124)와, 상기 제1결착부재(124)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서를 결착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결착부재(126)와,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를 연결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발생연결부(128)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23)과,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의 힌지부(11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122)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상기 제1결착부재(124)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125)와, 상기 제2결착부재(126)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127)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는 문서가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에 삽입되어 결착시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에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굴곡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굴곡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굴곡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지그재그방식으로 굴곡부가 형성되어 문서를 더 큰 힘으로 결착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굴곡부의 수도 도 2 및 도 3에서는 3번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2번 또는 4번, 5번 그이상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의 내측에는 문서가 결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복수개의 돌출부인 돌출지지부(125) 및 돌출지지부(127)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돌출지지부(125) 및 돌출지지부(127)가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즉 일측의 산이 타측의 골에 접촉되도록 서로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산과 산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의 굴골부를 지그재그방식으로 형성하였다는 것으로서, 문서결착부재(130)는 문서를 결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결착부재(134)와, 상기 제1결착부재(134)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서를 결착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결착부재(136)와, 상기 제1결착부재(134) 및 제2결착부재(136)를 연결하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력발생연결부(138)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3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33)과,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38)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의 힌지부(11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132)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상기 제1,2결착부재(134,136)의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125,127)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는 상기에 기술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결착수단인 클립 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되는 방식에는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문서결착지지대는, 문서를 결착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클립 등의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탄성력 및 돌기부의 원리만으로 간편하게 문서를 착탈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간편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부피가 큰 문서결착지지대와 달리 특히, 노트북 등에부착하더라도 미적감각을 향상시키면서 사용하기 간편한 고안이다.

Claims (4)

  1. 통상의 컴퓨터 등에 부착되는 컴퓨터결착대(110)와,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에 연결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여 문서를 결착하는 문서결착부재(120)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결착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에는 컴퓨터 등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부재(118)와, 상기 문서결착부재(120)의 일단부에 결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작용을 하는 힌지부(114)와, 상기 힌지부(114)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힌지지지부(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문서결착부재(120)는 문서를 결착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면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결착부재(124)와, 상기 제1결착부재(124)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문서를 결착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2결착부재(126)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컴퓨터결착대(110)의 힌지부(114)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122)와,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를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력발생연결부(128)와, 상기 탄성력발생연결부(128)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23)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결착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재(124)의 내측면에는 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125)와, 상기 제2결착부재(126)의 내측면에는문서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지지부(127)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결착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굴곡부는 한쪽 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결착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착부재(124) 및 제2결착부재(126)에 형성된 복수개의 굴곡부는 지그재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결착지지대.
KR2020020000104U 2002-01-03 2002-01-03 문서결착지지대 KR200272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04U KR200272248Y1 (ko) 2002-01-03 2002-01-03 문서결착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04U KR200272248Y1 (ko) 2002-01-03 2002-01-03 문서결착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248Y1 true KR200272248Y1 (ko) 2002-04-13

Family

ID=7311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104U KR200272248Y1 (ko) 2002-01-03 2002-01-03 문서결착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2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2248Y1 (ko) 문서결착지지대
USD475057S1 (en) Laptop computer stand
US20050060851A1 (en) Size tag clip
JP2000280667A (ja)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KR960011617A (ko) 노트북 겸용 노트패드의 lcd 패널구조
US7126769B1 (en) Thin magnifier structure with magnetic protective jacket
JP2000229494A (ja) ファイルの綴じ具取付け装置
JP2003054174A (ja) メモクリップの紙固定構造
JP3422242B2 (ja) 飾り棚
KR200247434Y1 (ko) 클립보드를 겸한 노트
KR200328884Y1 (ko) 집게
KR200379760Y1 (ko) 타이고정 구조를 갖는 파일철
KR200232596Y1 (ko) 컴퓨터 모니터용 서류취부클립
JP2602305Y2 (ja) ホルダ
JP3048421U (ja) ファイル
JPH07329470A (ja) クリップ
KR200264218Y1 (ko) 상다리 고정용 경첩 고정부재
JP3039832U (ja) 紙葉類ホルダの固定構造
JP2001007564A (ja) 固定具及び補助固定具
JPH0620462Y2 (ja) 色紙等の装飾板状体の支持構造
JP2003237274A (ja) コーナークリップ
JP3023606U (ja) 原稿用ホルダー
KR200272939Y1 (ko) 책장 넘김수단을 갖는 책
KR920003991Y1 (ko) 원고 호울더
KR200293276Y1 (ko) 바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