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93Y1 -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93Y1
KR200271193Y1 KR2020010038192U KR20010038192U KR200271193Y1 KR 200271193 Y1 KR200271193 Y1 KR 200271193Y1 KR 2020010038192 U KR2020010038192 U KR 2020010038192U KR 20010038192 U KR20010038192 U KR 20010038192U KR 200271193 Y1 KR200271193 Y1 KR 20027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lace
ornament
plate
peripher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은진
Original Assignee
티씨제이이십일세기종합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제이이십일세기종합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씨제이이십일세기종합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8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93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상단 적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브라켓트가 설치된 본체(1); 풀리에 연결된 구동벨트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타측의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부(20); 전원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0); 플레이트의 적소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작동간 및 받침로울러가 구비되는 동시에 작동간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소정간격 회전시키는 캠 그리고 상기 작동간과 플레이트의 적소에 구비되어 이동된 작동간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 플랜지의 적소에는 절삭날이 구비된 감속기가 연결되는 동시에 감속기는 풀리에 구동벨트가 연결되어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모터; 프레임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장신구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로울러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에 착용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외주면에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라운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이로 인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EQUIPMENT FORMING ROUND OF OUTSIDE JEWELLERY}
본 고안은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몸에 착용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외주면에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라운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이로 인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장신구(예: 목걸이, 팔찌 등...)는 주로 여성들이 몸에 착용하는 것으로, 이 장신구의 외주면에는 심미감을 주기 위해 다양한 라운드 무늬가 새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신구의 외주면에 라운드를 형성시키는 장치는 종래에도 있었다.(도면상 미 도시함)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한가지 라운드만 성형할 뿐 다양한 라운드무늬를 성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저하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장신구를 생산하는 작업속도도 느려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몸에 착용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외주면에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라운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제2목적은 장신구를 생산하는 속도가 높아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장신구 외주면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단 적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브라켓트가 설치된 본체;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풀리에 연결된 구동벨트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타측의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브라켓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의 적소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작동간 및 받침로울러가 구비되는 동시에 작동간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소정간격 회전시키는 캠 그리고 상기 작동간과 플레이트의 적소에 구비되어 이동된 작동간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플랜지가 고정 설치되고, 이 플랜지의 적소에는 절삭날이 구비된 감속기가 연결되는 동시에 감속기는 풀리에 구동벨트가 연결되어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는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이 프레임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장신구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로울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가 장신구를 가
공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가 장신구의 외
주면을 가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리미트스위치의 측면을 보인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에 의해 가공된 장신구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직선기
20: 전원공급부 30: 회전판
31: 플레이트 32: 작동간
34: 받침로울러 35: 캠
36: 스프링 37: 플랜지
38: 감속기 39: 절삭날
41: 리미트스위치 42: 안내봉
본 고안에 적용된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상단 적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브라켓트(2a)(2b)(2c)가 설치된 본체(1)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트(2c)의 일측에는 풀리(4c)(4d)에 연결된 구동벨트(3b)를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타측의 모터(M3)(M4)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부(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2c)의 타측에는 전원공급부(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0)의 적소에는 플레이트(31)가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 플레이트(31)의 적소에는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작동간(32) 및 받침로울러(34)가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31)의 적소에는 모터(M3)의 구동에 의해 작동간(32)을 소정간격 이동시키는 캠(3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32)과 플레이트(31)의 적소에는 이동된 작동간(32)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3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의 적소에는 플랜지(37)가 고정 설치되고, 이 플랜지(37)의 적소에는 절삭날(39)이 구비된 감속기(38)가 연결되는 동시에 감속기(38)는 풀리(4e)(4f)에 구동벨트(3c)가 연결되어 감속기(38)를 구동시키는 모터(M4)와 연결 구비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본체(1)의 상단 적소에 프레임(40)이 고정 설치되고, 이 프레임(40)에는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장신구(J)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로울러(43)(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0)의 적소에는 장신구(J)를 통공(42a)을 통해 일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봉(42)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40)의 적소에는 통공(42a)을 빠져나와 일측으로 이송되는 장신구(J)를 감지하고, 장신구(J)가 절단되거나 모두 가공하여 감지할 수 없을때 성형장치를 제어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41)가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본체(1)의 양 브라켓트(2a)(2b)의 사이에 풀리(4a)(4b)에 연결된 구동벨트(3a)를 모터(M1)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내부를 통과하면서 장신구(J)를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직선기(10)가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모터(M1)(M2)(M5)의 구동에 의해 직선기(10)와 전원공급부(20) 그리고 상하로울러(43)(44)가 회전하여 장신구(J)를 일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직선기(10)는 모터(M1)와 구동벨트(3a), 풀리(4a)(4b)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휘어진 장신구(J)가 직선기(10)의 내부를 통화하면서 곧게 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직선기(10)를 빠져나온 장신구(J)는 전원공급부(20)의 내부를 통해 회전판(30)의 일측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20)는 모터(M2)와 구동벨트(3b), 풀리(4c)(4d)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전원공급부(20)의 회전에 의해서는 회전판(30)에 구비된 모터(M3)(M4)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 즉 받침로울러(34)가 장신구(J)와 상호 맞닿지 않게 되면 장신구(J)의 외주면을 가공하지 못하게 되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로울러(34)의 상단이 장신구(J)와 상호 맞닿게 되면 회전판(30)과 절삭날(39)의 회전에 의해 장신구(J)의 외주면에 라운드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플레이트(31)에 설치된 모터(M3)가 구동하면 이와 연결된 캠(35)이 회전하고, 상기 캠(35)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동간(32)을 상승시키는 동시에 스프링(36)을 벌어지게 한다. 상기 작동간(32)의 상승에 의해서는 받침로울러(34)가 장신구(J)와 상호 맞닿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감속기(38)의 선단에 설치된 절삭날(39)이 회전하면서 장신구(J)의 외주면에 라운드 무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39)은 풀리(4e)(4f)에 연결된 구동벨트(3c)가 모터(M4)의 회전에 의해 구동하면서 감속기(38)를 구동시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판(30)을 빠져나온 장신구(J)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판(30)에 설치된 모든 부품(모터, 작동간, 감속기 절삭날 등...)은 상기 회전판(30)과 함께 회전하면서 장신구(J)의 외주면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작동간(32)과 플레이트(31)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36)은 캠(35)에 의해 상승된 작동간(32)을 다시 원활히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주면에 라운드 무늬를 성형한 장신구(J)는 프레임(40)에 설치된 안내봉(42)의 통공(42a)을 통과하여 일측의 상하로울러(43)(44)에 의해 일정한 장소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로울러(43)(44)는 상부로울러(43)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M5)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프레임(40)의 적소에 장신구(J)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41)를 구비하여 장신구(J)가 끊어지거나 가공에 의해 없게 되면 도 3 의 가상선과 같이 리미트스위치(41)가 장신구(J)를 감지 못하게 되므로 성형장치를 제어 작동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에 착용하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외주면에 작업자가 원하는 다양한 라운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장신구를 생산하는 속도가 높아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장신구 외주면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단 적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브라켓트가 설치된 본체;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풀리에 연결된 구동벨트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타측의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브라켓트의 타측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의 적소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되는 작동간 및 받침로울러가 구비되는 동시에 작동간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소정간격 회전시키는 캠 그리고 상기 작동간과 플레이트의 적소에 구비되어 이동된 작동간을 원상복귀시키는 스프링;
    상기 회전판의 적소에 플랜지가 고정 설치되고, 이 플랜지의 적소에는 절삭날이 구비된 감속기가 연결되는 동시에 감속기는 풀리에 구동벨트가 연결되어 감속기를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본체의 상단 적소에는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고, 이 프레임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장신구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로울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적소에 구비되며, 장신구를 통공을 통해 일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봉;
    상기 프레임의 적소에 구비되며, 통공을 빠져나와 일측으로 이송되는 장신구를 감지하고, 장신구가 절단되거나 모두 가공하여 감지할 수 없을때 성형장치를 제어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 브라켓트의 사이에 구비되며, 풀리에 연결된 구동벨트를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켜 내부를 통과하면서 장신구를 일직선으로 곧게 펴는 직선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KR2020010038192U 2001-12-11 2001-12-11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KR200271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92U KR200271193Y1 (ko) 2001-12-11 2001-12-11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92U KR200271193Y1 (ko) 2001-12-11 2001-12-11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750A Division KR100349885B1 (ko) 2001-02-26 2001-02-26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93Y1 true KR200271193Y1 (ko) 2002-04-10

Family

ID=7311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92U KR200271193Y1 (ko) 2001-12-11 2001-12-11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74461A3 (en) Disposable worn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S61245928A (ja) 曲げ加工装置
CN104924337B (zh) 通草纸切割机器人装置
KR100349885B1 (ko)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KR200271193Y1 (ko) 장신구 외주면의 라운드 성형장치
NO981451L (no) FremgangsmÕte for kontinuerlig fremstilling av profiler og anordning for gjennomf÷ring av fremgangsmÕten
KR20010044481A (ko) 장신구 외주면의 문양 성형장치
US6711978B2 (en) Cutting head for several rolls of kitchen towel and/or toilet paper
KR200271194Y1 (ko) 장신구 외주면의 문양 성형장치
CN110369954A (zh) 一种螺丝的制造工艺
EP1214991A2 (en) Device for straining extruded or drawn bodies
KR100814335B1 (ko) 휴대폰 키버튼용 장식기재의 제조장치
KR100456052B1 (ko) 와이어 가공장치
KR200206286Y1 (ko) 스프링 제조장치
JP2004516899A (ja) ジュエリーの物品を装飾するための方法
AU20032640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nozzle-type openings in spray arms for dishwasher machines
CN113829063B (zh) 一种钻石戒指切割装置
IT202000013522A1 (it) Macchina per diamantare corpi allungati
ITTO20060251A1 (it) Procedimento ed attrezzatura per la decorazione mediante incisione sulla superficie esterna di oggetti in materiale plastico.
KR870003888Y1 (ko)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KR200383650Y1 (ko) 장신용 체인의 성형장치
KR200193885Y1 (ko) 장식용 줄 성형장치
KR200352202Y1 (ko) 주전자 성형기
US20080040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etallic, non-rotationally symmetric rings
KR20000019918U (ko) 장신용 체인 제조의 가공다이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