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888Y1 -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888Y1
KR870003888Y1 KR2019860004843U KR860004843U KR870003888Y1 KR 870003888 Y1 KR870003888 Y1 KR 870003888Y1 KR 2019860004843 U KR2019860004843 U KR 2019860004843U KR 860004843 U KR860004843 U KR 860004843U KR 870003888 Y1 KR870003888 Y1 KR 870003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am
moved
lever
c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4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834U (ko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2019860004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888Y1/ko
Publication of KR870015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8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LMAKING METAL CHAINS
    • B21L11/00Making chains or chain links of special shape
    • B21L11/005Making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를 일부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상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제5도는 성형펀치에 의해 체인고리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체인고리가 이동간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상하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8도는 괘지간이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제9도는 괘지고리에 의해 장신구가 이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동축 2 : 종동축
8 : 제1타발간 9 : 제2타발간
10 : 성형펀치 11 : 성형금형
12 : 압간 13 : 이동간
14 : 롯드 15 : 하부금형
16 : 상부금형 17,17 ' : 회동캠
18 : 습동간 19 : 밀대
20 : 괘지간 21 : 원추캠
22 : 레버 24 : 직동캠
25 : 링크 26 : 간극편
본 고안은 장신용 체인을 연결 가공후 이를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체인 가공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체인가공기는 양쪽으로 고리가 형성된 장신구를 소재로서 계속 연결토록 된 것으로서 정면 형상이“”형으로 중앙부는 두께가 크고 양끝은 두께가 얇은 장신구의 경우에 체인 연결후 계속하여 이송하는 방법이 난이하여 종래의 경우는 인위적으로 이송하였으므로 인력의 낭비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능률적이어서 오동작으로 인한 불량품이 자주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도시없음)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주동축(1)의 양단에 종동축(2)을 베벨기어(3)(3')로 교합되게 회전시켜 이에 축설된 돌출캠(4a)(4b)(4c)(4)(4e)에 의해 권회로울러(5)로부터 공급되는 소재(A)를 안내로울러(6)를 통해 집게(7)의 전진시에 일정길이로 공급하도록 하고 제 1타발간(8)의 직하방에서 단속되는 성형펀치(10)하강시 소재(A) 절단과 성형금형(11)의 외주면 형태로 절곡되게 한후 좌, 우에 위치된 압간(12)이 중앙으로 이동되어 소재(A)의 끝단부를 내측으로 향하게 한다음 이동간 (13)이 장신구(B)의 중심부로 성형된 소재(A)를 이동시켜 제4돌출캠(4d)의 회동으로 롯드(14)는 하부금형(15)을 상승시키고 제2타발간(9)은 상부금형(16)을 하강시켜 소재(A)를 체인고리(C)로 성형함과 동시에 장신구(B)를 연결하도록 한다.
체인고리(C)로 장신구(B)를 연결한 후에는 상부금형(16)과 하부금형(15)은 각각 원위치됨과 동시에 회동캠(17)(17')에 의해 단속되는 좌측의 습동간(18)과 우측의 밀대(19)가 각각 중앙으로 이동되어 습동간(18)에 유설된 괘지간(20)을 장신구 (B)사이의 체인고리(C)위치로 오도록 한후 원추캠(21)의 상승으로 하강되는 레버 (22)의 끝단에 괘지간(20)을 지지하는 지지레버(23)가 괘지간(20)을 하강되게 하는 순간 회동캠(17)의 위치 전환으로 습동간(18)은 좌측으로 원위치되며 장신구(B)를 이동시키고 우측의 밀대(19)는 새로운 장신구(B)를 연결위치로 동시에 이송시키게 된다.
회동캠(17)(17')은 돌출부에서부터 원형부 거리 즉, 이송피치 거리가 장신구 (B)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어 회동캠(17)(17')에 의해 좌우 습동되는 습동간(18)과 밀대(19)는 항상 각각의 장신구(B)를 1피치만큼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괘지간(20)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하 회동되는 지지레버(23)는 레버(22)에 고정되어 장신구(B)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는 괘지간(20)을 하강되도록 원추캠(21)에 의해 레버(22)가 회동되어 괘지간(23)이 완전히 장신구(B)를 이동시킬 때까지 지지레버(23)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이동되는 장신구(B)는 첨부도면 제7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본체의 하부로 연결된 상태로 낙하되는데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재(A)를 공급하는 집게(7)는 습동간(18)이 진행될때 함께 이동하여 소재(A)를 첨부 도면 제5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은 위치로 오도록 한후 돌출캠(4b)에 의해 성형펀치(10)가 하강될 때 절단과 동시에 성형금형(11)의 외주면 형상으로 성형된 직후 성형금형(11)의 직하방 좌우에 위치되어 있던 압간(12)도 돌출캠(4e)에 의해 중앙으로 전진되어 소재(A)의 양끝단을 내향지게 약간 절곡시켜 하부금형(15)과 상부금형(16)으로 체인고리(C)를 형성시킬 때 원활하게 고리를 내측으로 성형토록 한후에는 성형금형(11)외측에서 안내되어 전후로 습등되는 이동간(13)이 제3의 돌출캠(4c) 동작에 의해 첨부도면 제6도에서 가상선위치에 있던 체인고리(C)를 실선의 위치, 즉 장신구(B)가 위치된 직상방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장신구(B)의 중앙 직상방에 위치된 체인고리(C)의 상부에는 상부금형(16)이 위치되어 있고 장신구(B) 직하방에는 하부금형(15)이 제2,4돌출캠 (4b) (4d)에 단속되어 첨부도면 제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체인고리(C)의 위치를 상,하 동작되면서 체인고리(C)를 완전하게 완성시키게 되는것이며 이때 괘지간(20)은 지지레버 (23)에 의해 상승되어 후퇴된 상태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체인고리(C)를 완성한 후에는 상부금형(16)과 하부금형(15)은 다시 원위치 복원된 다음 좌, 우의 종동축(2)에 축설된 회동캠(17)(17')의 단속으로 습동간(18)이 우측으로 이동되며 레버(22)가 원추캠(21)에 의해 회동되면서 지지레버(23)에 의해 단속되었던 괘지간(20)이 첨부도면 제9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장신구(B)사이에 괘지되고 우측의 밀대(19)도 중앙으로 이동되면서 새로운 장신구(B)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와 동시에 습동간(18)이 괘지간(20)과 함께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연결되었언 것을 1피치만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고 도시에 우측 종동축(2)의 최하단에 축설되었던 직동캠(24)의 돌턱(24')이 링크(25)를 회동시키면서 첨부도면 제3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간극편(26)이 장신구(B) 사이로 전진하여 장신구(B)사이의 간극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체인고리(C)가 하강될때 정 위치에서 가공을 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27)에 의해 복원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캠에 의한 모든 동작으로 정확히 체인고리(C)로 성형하여 연결시킨후 이를 이송하므로 많은 인력의 낭비를 없애고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되어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완전 자동으로 모든 기구가 작동되어 신속하고 오동작없이 우수한 완성품을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각각의 돌출캠(4a)(4b)(4c)(4d)(4e)의 연동으로 체인고리(C)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것을 구성함에 있어서, 회동캠(17)(17')으로 단속되는 습동간(18)에 괘지간(20)을 유설시켜 원추캠(21)의 상승으로 하강되는 레버(22) 끝단에 고정된 지지레버(23)로 괘지간(20)의 상하 단속케 하여 밀대(19)의 이송과 동시에 습동간 (18)후퇴로 장신구(B)를 1피치 이송시킨후 직동캠(24)이 링크(25)를 회전하여 간극편(26)이 새로운 장신구(B)와 이동된 장신구(B)사이로 전진되어 간극을 정확히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KR2019860004843U 1986-04-12 1986-04-12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KR870003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843U KR870003888Y1 (ko) 1986-04-12 1986-04-12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4843U KR870003888Y1 (ko) 1986-04-12 1986-04-12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834U KR870015834U (ko) 1987-11-23
KR870003888Y1 true KR870003888Y1 (ko) 1987-12-05

Family

ID=1925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4843U KR870003888Y1 (ko) 1986-04-12 1986-04-12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8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834U (ko) 198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45625L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s
GB1434464A (en) Wire cutting and stripping machine
CN111618986B (zh) 一种空心砖生产用切坯装置
GB2172229A (en) Bending apparatus with bending cores on a turret
CN115007716A (zh) 一种金属板材冲压用成型机床
KR870003888Y1 (ko) 장신용 체인 가공 이송장치
US2729870A (en) Roller tool jiggering machine
CN204844274U (zh) 一种智能通草纸切割机器人
US5184546A (en) Fully automatic curved surface printing machine
CN211915322U (zh) 一种自动电光花制造设备的金属线校直剪切机
US4538721A (en) Conveyor
CN204844273U (zh) 一种通草纸切割机器人
US2182626A (en) Bending machine
KR940000575B1 (ko) 스팡글 원단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6623477A (zh) 数控精密板材成型机
CN220331455U (zh) 一种可自动输料的模切机
KR900011385Y1 (ko) 상자제조기용 절단장치
CN215123781U (zh) 升降式方便面块自动整理机
CN111761006B (zh) 一种螺纹加工装置
CN212795850U (zh) 一种瓶坯等间距移送装置
GB2121839A (en) Apparatu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ubular articles such as women's tights
CN2189043Y (zh) 制筷机
JPS6261739A (ja) プレスの材料送りモ−シヨンカ−ブ変更装置
KR860000263Y1 (ko) 지관제조를 위한 재단기
KR960000285Y1 (ko) 처마물받이 받침대 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