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763Y1 -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763Y1
KR200269763Y1 KR2020010037496U KR20010037496U KR200269763Y1 KR 200269763 Y1 KR200269763 Y1 KR 200269763Y1 KR 2020010037496 U KR2020010037496 U KR 2020010037496U KR 20010037496 U KR20010037496 U KR 20010037496U KR 200269763 Y1 KR200269763 Y1 KR 200269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tube
inner tube
pres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안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진 filed Critical 안영진
Priority to KR2020010037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763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관과 외부관을 갖는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사이에 발포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강도를 강화하고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 아니라 보온성능을 갖게 하고 또한 인접 합성수지관과의 접합강도를 강화시키는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내부관(21), 상기 내부관(22)과 일정거리를 두고 그 외부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로 된 외부관(22), 그리고 상기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구성되는 발포합성수지층(23)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PLASTIC PIPE STRUCTURED DOUBLY}
본 고안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전선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관과 외부관을 갖는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사이에 발포합성수지층을 형성하여, 강도를 강화하고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 아니라 보온성능을 갖게 하고 또한 인접 합성수지관과의 접합강도를 강화시키는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전선관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강도는 강하고 중량은 가볍게 하는 것이 강도측면, 제조비용 측면 및 설치작업성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의 강도는 강하면서도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이 종래 알려져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이 이중구조로 된 종래의 합성수지관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합성수지관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10)은 내부에 중공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벽(11b)이 양측으로 확장되어 있는 장방형의 소형관(11)을 그 하부벽 확장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나선형으로 감고 그 겹쳐진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제조방법은 소형관(11)을 그 하부벽 확장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나선형으로 중앙의 회전롤러(미도시)에 감으면서 그 겹쳐진 부분을 압착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압착하여 성형하고 소정 길이마다 그 축직각방향으로 절단하여 제조된다.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관(10)은 소형관(11)의 하부벽(11b)에 의하여 형성된내부관과, 소형관(11)의 상부벽(11c)의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외부관을 갖는 이중구조로 되어 강도를 강화하면서도 중량을 가볍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관(10)은 소형관(11)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된 것이므로 그 축직각방향으로 절단된 끝단부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관(11)의 하부벽(11b) 및 하부벽 확장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단되어 절단면에서 원형을 이루고 있지만, 중공부(11a)가 노출될 뿐 아니라, 절단된 소형관(11)의 상부벽(11c)과 측벽(11d)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분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절단면이 중심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고 있지 않다.
그리고 합성수지관(10)의 절단된 끝단면의 형상 및 크기는 합성수지관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인접하는 합성수지관과 서로 접합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내부관을 형성하는 소형관(11)의 하부벽(11b) 및 그 확장부만이 접합되고 절단된 소형관(11)의 상부벽(11c) 및 측벽(11d)은 어긋나게 접촉하여 접합된다. 따라서 설치된 합성수지관(10)들 사이의 접합강도가 떨어지고 노출된 중공부(11a)를 통하여 물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만약 설치되는 모든 합성수지관(10)들의 절단된 끝단면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길이방향 절단위치를 항상 소형관의 소정부분에 정확하게 오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10)의 절단 끝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도 설치과정에서 인접하는 합성수지관과 그 절단면이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하여 접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인접하는 함성수지관과의 접합면적이 그리 넓지 않기 때문에 접합강도는 그리 강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강도를 강하게 하고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합성수지관과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보온성능을 갖게 하는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내부관, 상기 내부관과 일정거리를 두고 그 외부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로 된 외부관, 그리고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사이에 구성되는 발포합성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합성수지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합성수지관 11 : 소형관
11a: 중공부 11b: 하부벽
11c: 상부벽 11d: 측벽
20, 20': 합성수지관 21: 내부관
21a: 보강판 22: 외부관
23: 발포합성수지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내부관(21), 상기 내부관(22)과 일정거리를 두고 그 외부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로 된 외부관(22), 그리고 상기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구성되는 발포합성수지층(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합성수지층(23)은 내부에 기포에 의한 독립적인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단열성능이 있으며 또한 중량이 가볍다. 상기 내부관(21)과 외부관(22)은 발포합성수지층(23)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 있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20)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우선 내부관(21)을 압출성형하면서 그 외부표면에 발포합성수지층(23)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발포합성수지층(23)의 외부표면에 외부관(22)을 압출성형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한 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합성수지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의 강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보강판(21a)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21a)의 수는 4개 또는 6개를 일정각도마다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의 합성수지관(20')도 내부관(21) 및 보강판(21a)을 일체로 압출성형하면서 내부관(21)의 외부표면과 보강판(21a)의 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발포합성수지층(23)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발포합성수지층(23) 및 보강판(21a)의 외부표면에 외부관(22)을 압출성형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한 후 소정 길이마다 절단하여 제조한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내부관(21)과 외부관(22)으로 된 이중구조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 발포합성수지층(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강도가 강화되고 더구나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보강판(21a)이 형성된 경우에는 더욱 강도가 크게 강화된다. 그리고 발포합성수지층(23)은 중량이 가벼우므로 전체적으로도 중량이 가볍다.
또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전체적인 내경과 외경이 항상 일정하므로 합성수지관의 설치공정에서 인접하는 합성수지관과 접합할 때에 내부관(21)사이, 외부관(22)사이, 그리고 발포합성수지층(23)사이가 정확한 접촉이 되도록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접합공정이 간단하게 되고 접합면적이 커서 접합강도가 강화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은 내부에 발포합성수지층(23)이 형성되어 잇으므로 내부를 보온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합성수지관이 실외 또는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얼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은 강도를 강화시키고 중량을 가볍게 할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합성수지관과의 접합강도를 높이고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얼지 않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로 형성된 내부관(21),
    상기 내부관(22)과 일정거리를 두고 그 외부에 배치되는 합성수지로 된 외부관(22), 그리고
    상기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구성되는 발포합성수지층(2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21)과 외부관(22)사이에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보강판(2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KR2020010037496U 2001-12-05 2001-12-05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KR200269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96U KR200269763Y1 (ko) 2001-12-05 2001-12-05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96U KR200269763Y1 (ko) 2001-12-05 2001-12-05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763Y1 true KR200269763Y1 (ko) 2002-03-25

Family

ID=7308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96U KR200269763Y1 (ko) 2001-12-05 2001-12-05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232A (en) Doubled-walled corrugated synthetic resin pipe
WO2022134482A1 (zh) 一种宽幅纤维网增强塑料复合管材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KR850001098Y1 (ko) 내막체를 가진 합성수지제 나선 권회 코러게이트관
KR200269763Y1 (ko) 이중구조로 된 합성수지관
EP2754987A1 (en) Pipe, pipeline section and pipeline
KR100326547B1 (ko)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20010002099A (ko)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JP2003214563A (ja) 可撓部を有する合成樹脂製剛性管
KR200349613Y1 (ko) 배관 파이프 단열용 커버
JP4592351B2 (ja) 波形可撓管
JP3393273B2 (ja) 内外面平滑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KR200254127Y1 (ko) 합성수지 파이프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JPH024299Y2 (ko)
CN219453152U (zh) 拼接式大直径输水管
CN210566760U (zh) 中空壁外肋增强波纹管
CN215173295U (zh) 镂空保温管
CN217634319U (zh) 一种埋地用塑料结构壁管道
CN215258445U (zh) 一种双壁塑料波纹管
CN210890441U (zh) 一种frpp外肋螺旋缠绕管
KR100451323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나선 보강 하수관
CN218408980U (zh) 一种防缩孔式三通管件结构
CN220706770U (zh) 一种新型复合缠绕管
CN214656497U (zh) 管道变向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