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560Y1 -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560Y1
KR200269560Y1 KR2019980021744U KR19980021744U KR200269560Y1 KR 200269560 Y1 KR200269560 Y1 KR 200269560Y1 KR 2019980021744 U KR2019980021744 U KR 2019980021744U KR 19980021744 U KR19980021744 U KR 19980021744U KR 200269560 Y1 KR200269560 Y1 KR 200269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fixing
pin
rear end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688U (ko
Inventor
박동규
최경호
Original Assignee
박동규
최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규, 최경호 filed Critical 박동규
Priority to KR2019980021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5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560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부재의 연결볼과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을 일치시켜 연결할 때 트랙터에 작업기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 후단부분에 그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단에 안내핀(22)과 로울(23)이 마련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구멍(34)이 형성된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의 내부로 끼워지는 길다란 막대형으로 후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구부러지고 그 끝단부분에는 작업기(17)의 하부연결핀(18)과 연결되는 연결볼(31)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20)의 안내핀(22)을 수용하여 안내하면서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길다란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구멍(24)과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핀(35)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34)이 형성된 이동부재(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이다.

Description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본 고안은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링크 후단의 볼과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을 일치시켜 연결할 때 트랙터에 작업기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그 후방에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기(예를 들어, 로터리, 쟁기, 써레, 비료 살포기 등)를 부착하여 여러 가지의 논밭을 갈고 정지할 수 있는 농업용 기계이다.
이러한 트랙터(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방의 상부에 마련되는 하나의 상부링크(11)와, 상기 상부링크(11)의 하부양쪽에 리프트핸들(12)이 마련되며 이 리프트핸들(12)에서 하부로 리프트로드(13)가 연장되고 그 하단에 상기 리프트핸들(13)에 따라 상/하로 상승되고 하강되도록 연결된 좌/우 하부링크(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하부링크(14)의 후단부분에는 작업기(도시되지 않았음)의 하부연결핀과 연결되는 연결볼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하부링크(14)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체인(1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기의 전방에 트랙터(10)를 운전하여 위치시키되 운전석 주위에 마련된 링크조작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리프트핸들(12)이 구동되게 되고 이 리프트핸들(12)과 연결된 리프트로드(13)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시켜서 좌/우 하부링크(14)의 연결볼이 작업기의 하부연결핀 부분에 위치되도록 적당히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 하부링크(14)의 연결볼에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이 일치되도록 작업자가 움직여서 연결하고 상부링크(11)를 작업기의 상부연결핀에 연결시킨 다음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랙터에 작업기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트랙터(10)와좌/우 하부링크(14)의 움직임이 정밀하지 못하고 지면상태에 따라 좌/우 하부링크(14)의 연결볼을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에 일치시키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작업기를 인위적으로 움직여서 맞추어야 하고 작업기는 상당히 무거운 편이어서 작업자가 연결 부착하다가 다치거나 부착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좌/우 하부링크 후단에 그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유동되는 작업기 연결기구(고정부재와 이동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이동부재의 연결볼과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을 일치시켜 연결할 때 트랙터에 작업기를 움직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랙터의 후방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 2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랙터 11: 상부링크 14,140: 좌/우 하부링크
17: 작업기 18: 하부연결핀 19: 상부연결핀
20: 고정부재 22: 안내핀 23,33: 로울
24,34; 고정구멍 25: 록킹레버 26 : 스프링
30: 이동부재 31: 연결볼 32: 안내요홈
35; 고정핀 36: 걸림단턱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트랙터의 좌/우 하부링크 후단부분에 그 후방으로 길다란 사각형파이프로 연장되며 후단에 안내핀이 마련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의 내부로 끼워지는 길다란 막대형으로 후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구부러지고 그 끝단부분에는 작업기의 하부연결핀과 연결되는 연결볼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안내핀을 수용하여 안내하면서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길다란 안내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 구멍과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핀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이 형성된 이동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이다.
상기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에는 이동부재의 삽입 및 빠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한쪽끝단에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로울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고정부재를 지지하는 로울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한쪽끝단에 이동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리면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갖는 록킹레버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인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는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 후단부분에 용접으로 고정되되 그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형파이프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엔 안내핀(22) 및 로울(23)이 마련되고 소정위치엔 고정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20)의 한쪽끝단에는 그 내부로 이동부재(30)가 삽입되었을 때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록킹레버(25)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레버(25)는 이를 항시 이동부재(30)의 걸림단턱(36)에 걸리도록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2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는 고정부재(2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후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구부러진 길다란 막대형으로 형성되되 그 끝단부분에는 작업기(17)의 하부연결핀(18)과 연결되는 연결볼(31)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0)의 안내 핀(22)을 수용하여 안내하면서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길다란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구멍(24)과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핀(35)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부재(30)의 선단에는 고정부재(20)내에서의 원활한 이동이 이뤄지도록 로울(33)이 설치되고 삽입후단부분에는 고정부재(20)측의 록킹레버(25)가 걸리도록 걸림단턱(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의 고정구멍(34)은 이동부재(30)를 고정부재(20)에 완전히 삽입시켰을 때 고정부재(20)이 고정구멍(22)과 일치하여야 하고 그 고정구멍(22,34)으로 고정핀(35)이 관통 체결될 수 있어야한다.
상기 고정부재(20)와 이동부재(30)는 사각형파이프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원형파이프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 후단부분에 고정부재(20)를 용접고정하고 이 고정부재(20)의 외부로 이동부재(30)를 끼우되 이동부재(30)의 구부러진 후단부분이 하부를 향하도록 조립한 다음 이동부재(30)가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이동부재(30)의 안내핀(22)을 조절하여 풀리지 않게 조인다.
이와 같이 조립한 후 트랙터(10)에 작업기를 연결하는 과정은 먼저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에 용접 고정된 고정부재(20)의 내부로 이동부재(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트랙터(10)를 운전하여 상기 이동부재(30)의 끝단부분이 작업기(17) 전방의 하부연결핀(18) 부분에 위치되도록 적당히 정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부재(20)에서 이동부재(30)를 후방으로 빼내면서 작업기(17)의 하부연결핀(18)에 이동부재(30)의 연결볼(31)이 일치되도록 하여 연결하고 상부링크(11)를 작업기(17)의 상부연결핀(19)에 연결시킨 다음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를 유압으로 작동시켜 상승시킨다.
상기 좌/우 하부링크(140)가 상승됨에 따라 작업기(17)의 자체중량으로 인해 이동부재(30)가 고정부재(20) 및 이동부재(30)의 로울(23,33)을 타고 부드럽게 삽입된다. 이렇게 이동부재(30)가 고정부재(20)의 선단으로 완전히 삽입되면서 록킹레버(25)에 의해 이동부재(30)의 걸림단턱(36)이 걸림으로써 체결된다. 이때 록킹레버(25)에 스프링(26)이 탄력으로 인해 인위적인 힘이 부여되지 않는 한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0)에 이동부재(30)가 완전히 삽입되면 그들의 고정구멍(24,34)이 서로 일치하므로 상기 고정구멍(24,34)에 고정핀(35)이 빠지지 않도록 관통시켜 체결한다. 이렇게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 및 상부링크(11)에 작업기(17)를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부착한 후 소정의 농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는 좌/우 하부링크가 단순히 상/하로 유동되는 그 끝단의 연결볼을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에 정확히 일치시켜야만 연결이 가능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좌/우 하부링크 후단에 그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유동되는 작업기 연결기구(고정부재와 이동부재)를마련함으로써 이동부재의 연결볼과 작업기의 하부연결핀을 일치시켜 연결할 때 트랙터에 작업기를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트랙터(10)의 좌/우 하부링크(140) 후단부분에 그 후방으로 길다란 사각형파이프가 연장되며 후단에 안내핀(22)과 로울(23)이 마련되고 소정의 위치에 고정구멍(34)이 형성된 고정부재(20);
    상기 고정부재(20)의 내부로 끼워지는 길다란 막대형으로 후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구부러지고 그 끝단부분에는 작업기(17)의 하부연결핀(18)과 연결되는 연결볼(31)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20)의 안내핀(22)을 수용하여 안내하면서 분리이탈을 방지하는 길다란 안내요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의 고정구멍(24)과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핀(35)이 관통되도록 고정구멍(34)이 형성된 이동부재(3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의 삽입 및 빠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고정부재(20)의 한쪽끝단에 이동부재(30)를 지지하는 로울(23)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부재(30)의 선단에 고정부재(20)를 지지하는 로울(33)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한쪽끝단에는 그 내부로 이동부재(30)가 삽입되었을 때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이동부재(30)의 걸림단턱(36)에 걸리는 록킹레버(25)가 마련되고 이 록킹레버(25)를 항시이동부재(30)의 걸림단턱(36)에 걸리도록 탄력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26)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KR2019980021744U 1998-11-10 1998-11-10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KR200269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744U KR200269560Y1 (ko) 1998-11-10 1998-11-10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744U KR200269560Y1 (ko) 1998-11-10 1998-11-10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981U Division KR200269561Y1 (ko) 2001-01-29 2001-01-29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88U KR20000009688U (ko) 2000-06-05
KR200269560Y1 true KR200269560Y1 (ko) 2002-11-27

Family

ID=69522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744U KR200269560Y1 (ko) 1998-11-10 1998-11-10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5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865B1 (ko) * 2017-05-29 2021-10-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KR102353001B1 (ko) * 2017-05-31 2022-01-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KR102003854B1 (ko) * 2017-08-29 2019-07-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랙터 작업기 편이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88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32B2 (en) Device for coupling a loader to a tractor
US6571884B1 (en) Quick change sweep retainer
KR100969252B1 (ko) 트랙터 작업기 결속장치
KR100958602B1 (ko) 작업기용 트랙터 결속구
KR200269560Y1 (ko)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KR200416471Y1 (ko)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
US7766095B2 (en) Link assembly for a tractor hitch
US2834277A (en) Quick hitch system
JPS6336702A (ja) 農作業機連結装置
KR20110090241A (ko)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
KR20010002212U (ko) 트랙터의 작업기 연결장치
CN113677188B (zh) 用于农业作业的用具
CN217721953U (zh) 上拉杆安装座、上拉杆安装组件、三点悬挂装置及拖拉机
JPH0316411Y2 (ko)
KR200259631Y1 (ko) 트랙터 작업기 신속 연결장치
JPH0417641Y2 (ko)
KR102056655B1 (ko) 관리기용 미경지 제거시스템
JPH0642801B2 (ja) クイックヒッチ装置
JP3598047B2 (ja) 整地装置および農作業機
KR200265678Y1 (ko) 트랙터의 농기계 연결장치
EP1047296B1 (en) Implement attachment mechanism and method
JPH0729774Y2 (ja) トツプリンクの連結装置
RU2044430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JPH0678601A (ja) 耕耘爪の取付装置
KR200275288Y1 (ko) 트랙터의 농기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