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001B1 -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001B1
KR102353001B1 KR1020170067319A KR20170067319A KR102353001B1 KR 102353001 B1 KR102353001 B1 KR 102353001B1 KR 1020170067319 A KR1020170067319 A KR 1020170067319A KR 20170067319 A KR20170067319 A KR 20170067319A KR 102353001 B1 KR102353001 B1 KR 10235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pport
hole
agricultural work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949A (ko
Inventor
기정식
김은홍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00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본체에 설치된 삽입부; 상기 차량본체에 장착될 주변기구에 설치된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차량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변기구가 상기 차량본체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Apparatus for Mounting Peripheral Device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주변기구를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주변기구 장착을 통해 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는 주변기구로 잔디 등을 깎는 모어(Mower)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농업용 작업차량은 모어를 이용하여 잔디 등을 깎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기구를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장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주변기구를 장착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장착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주변기구가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의 하부 측에 장착되는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가 중량물인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의 밑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장착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주변기구를 장착하는 장착작업에 대한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변기구를 장착하는 장착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는 차량본체에 설치된 삽입부; 상기 차량본체에 장착될 주변기구에 설치된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차량본체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주변기구가 상기 차량본체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이동을 이용하여 주변기구가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장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주변기구를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장착하는 장착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중량물인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의 밑으로 들어가지 않고도 주변기구가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장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주변기구에 대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주변기구가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삽입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지지되는 과정을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가 지지홈에 삽입된 상태를 도 8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부가 잠금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부가 잠금위치에 위치한 경우 전환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부가 해제위치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부가 해제위치에 위치한 경우 전환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에 주변기구(200)를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상기 주변기구(2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되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수행 가능한 작업 범위를 늘릴 수 있다. 상기 주변기구(200)가 잔디 등을 깎는 모어(Mower)인 경우,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은 상기 모어의 장착을 통해 잔디 등을 깎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주변기구(200)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를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차량본체(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삽입부(2),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장착부(3), 및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는 지지부(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부(2)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기구(200)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차량본체(10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하였던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하는 장착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의 하부 측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중량물인 상기 차량본체(100)의 밑으로 들어가지 않고도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삽입부(2), 상기 장착부(3), 및 상기 지지부(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2)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 및 링크 등을 통해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차량본체(10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는 삽입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차량본체(100)의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재(21)에는 지지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지지부(4)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홈(22)에는 상기 지지부(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된 지지부(4)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주변기구(200)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된 지지부(4)가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삽입부(2) 및 상기 장착부(3)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2)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 및 상기 장착부(3)를 정렬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깊이로 홈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가 갖는 길이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에서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지지부(4) 쪽을 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홈(22)이 상기 지지부(4) 쪽을 향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지지홈(22)에 상기 지지부(4)가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가 갖는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홈(22)에 상기 지지부(4)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삽입부재(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의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재(21)는 유도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21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부재(21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유도부재(211)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도부재(211)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부터 상기 장착부(3)에 대한 삽입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211)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부터 큰 부분으로 상기 장착부(3)에 대한 삽입이 진행되므로, 상기 유도부재(21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어긋난 경우에도, 상기 유도부재(211)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21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뿔대, 사각뿔대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재(21)는 연결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2)는 상기 지지홈(22)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유도부재(211)는 상기 지지홈(22)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홈(22)은 상기 연결부재(212) 및 상기 유도부재(2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12) 및 상기 유도부재(21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재(21)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하면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1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된 지지부(4)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재(21)에서 상기 지지홈(22)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연결부재(212)에 비해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삽입부(2)는 링크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3)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부재(23)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3)에는 상기 삽입부재(2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23) 및 상기 삽입부재(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링크부재(23)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고정되는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링크부재(23)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여러 부품을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주변기구(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장착부(3) 및 상기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삽입부(2)가 삽입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4)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주변기구(200)는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설치됨으로써, 해당 구조물을 통해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부(3)는 장착부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삽입부(21)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장착부재(31)에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1)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21)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내부가 비어 있는 직방체 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1)에는 장착공(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30)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재(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장착공(30)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3)는 안내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장착부재(3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장착부재(31)에 대해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부재(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안내부재(32)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부재(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안내부재(32)를 거쳐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32)는 입구공(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장착부재(31)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안내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안내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입구공(321)을 통해 상기 안내부재(32)에 삽입된 후에 상기 장착공(30)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삽입되기 위한 입구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입구공(321)을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입구공(321)에서 직경이 큰 부분부터 상기 장착부(3)에 대한 삽입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입구공(321)에서 직경이 큰 부분부터 작은 부분으로 상기 장착부(3)에 대한 삽입이 진행되므로,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입구공(321)을 거쳐 상기 장착공(30)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어긋난 경우에도, 상기 입구공(321)이 형성된 안내부재(32)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부재(21) 및 상기 장착부(3) 간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용이하면서도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삼각뿔대, 사각뿔대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입구공(32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3)가 설치된 주변기구(200)는 상기 삽입부(2)가 설치된 차량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차량본체(10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설치됨으로써, 해당 구조물을 통해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지지부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는 탄성력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 후에,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복원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장착부재(3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재(3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지지부재(41)에 접촉된다. 상기 삽입부재(21)의 상기 유도부재(211)가 상기 지지부재(41)에 접촉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지지부재(41)에 접촉된 후에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삽입부재(21)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유도부재(211)의 경사진 외면을 따라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주변기구(200)에서 상기 차량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삽입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지지홈(22)이 상기 지지부재(41)의 하측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복원력에 의해 복원됨에 따라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는 곡률중심이 상기 삽입부재(21) 쪽에 위치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삽입부재(21)에서 상기 지지홈(22)이 형성된 부분이 이루는 곡면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지지부재(41) 및 상기 삽입부재(21)가 서로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재(31)에 형성된 이동공(311)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31)의 내부 및 상기 장착부재(31)의 외부 간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공(311)은 상기 장착부재(3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공(311)은 상기 장착부재(31)에서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한 상부(上部)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공(311)은 상기 장착공(30)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이동공(311)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31)의 내부 및 상기 장착부재(31)의 외부 간에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재(4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재(31)에서 상기 이동공(311)에 위치한 내벽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삽입부재(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 후에 복원되면서 상기 지지홈(22)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대한 장착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잠금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지지부(4)가 잠금위치(LP, 도 10에 도시됨)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1)만 이동되도록 상기 지지부(4)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 후에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복원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는 전환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지지부재(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잠금부(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전환부재(4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재(2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4)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홈(22)이 상기 지지부재(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부재(42)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지지부재(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42) 및 상기 지지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전환부재(42)가 삽입되는 전환공(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공(51)은 상기 잠금부(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전환공(51)에 삽입된 상기 전환부재(4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부(4)를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된 깊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 및 해제위치(RP, 도 12에 도시됨) 간에 이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해제위치(RP)는 상기 잠금위치(LP)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다.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하면,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장착부(3)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지지부(4)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분기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분리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착부(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기구(200)는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차량본체(100)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환공(51)에는 상기 전환부재(4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 및 상기 해제위치(RP) 간에 이동되도록 상기 전환공(5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는 결합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지지부재(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결합부재(43) 및 상기 전환부재(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 상기 지지부재(41), 및 상기 전환부재(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43), 상기 지지부재(41), 및 상기 전환부재(42)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금속부재를 벤딩(Bending) 가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잠금부(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가 상기 잠금부(5)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잠금위치(LP) 및 상기 해제위치(RP) 간에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전환공(51)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해지는 조작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주변기구(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잠금부(5)는 돌출부재(52,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는 상기 전환공(51)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재(52)로 인해, 상기 전환공(51)은 상기 돌출부재(52)의 일측에 위치한 제1전환공(511) 및 상기 돌출부재(52)의 타측에 위치한 제2전환공(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공(512)은 상기 제1전환공(51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제1전환공(511)에 삽입된 경우에 비해 상기 제2전환공(512)에 삽입되었을 때 더 긴 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환공(512)의 상단은 상기 제1전환공(511)의 상단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2전환공(512)에 위치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해제위치(RP)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는 상기 제1전환공(511)과 상기 제2전환공(51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52)는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2전환공(51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LP)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 등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로 임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1)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2)는 상기 제1전환공(51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전환공(511)의 상단은 상기 돌출부재(52)의 하단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52)는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상기 전환부재(4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2전환공(51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주변기구(200)를 상기 차량본체(1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52)을 회피하여 상기 제2전환공(51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부재(42)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잠금부(5)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해제위치(RP)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4)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4)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환부재(42)를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부재(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잠금부(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2 : 삽입부
3 : 장착부 4 : 지지부
5 : 잠금부 21 : 삽입부재
22 : 지지홈 23 : 링크부재
30 : 장착공 31 : 장착부재
32 : 안내부재 41 : 지지부재
42 : 전환부재 43 : 결합부재
51 : 전환공 52 : 돌출부재
100 : 차량본체 200 : 주변기구
211 : 유도부재 212 : 연결부재
311 : 이동공 321 : 입구공
511 : 제1전환공 512 : 제2전환공

Claims (9)

  1. 차량본체(100)에 설치된 삽입부(2);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될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장착부(3);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는 지지부(4); 및
    상기 주변기구(200)에 설치된 잠금부(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41), 및 상기 지지부재(41)에 결합된 전환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주변기구(200)가 상기 차량본체(100)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2)를 지지하며,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전환부재(42)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2)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4) 전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재(21), 및 상기 삽입부재(21)에 형성된 지지홈(2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감소되게 형성된 유도부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상기 유도부재(211)에 가압되어 이동된 후에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복원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삽입부재(21)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31)에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공(311)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이동공(311)을 통해 상기 장착부재(31)의 내부 및 상기 장착부재(31)의 외부 간에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재(41)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장착부(3)의 내부에 위치하는 잠금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부(4)를 지지하고,
    상기 삽입부재(2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재(4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3)에 삽입되는 상기 유도부재(211)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 후에 상기 지지홈(22)에 삽입됨에 따라 복원되어서 상기 삽입부재(2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는 상기 삽입부(2)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부재(31), 및 상기 장착부재(31)에 결합된 안내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2)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재(31)에 삽입되며,
    상기 장착부재(31)는 상기 안내부재(32)를 기준으로 상기 삽입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부재(32)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재(32)는 상기 장착부재(31)가 삽입되기 위한 입구공(321)을 포함하며,
    상기 입구공(321)은 상기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분리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전환부재(42)가 삽입되는 전환공(51)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42)는 상기 지지부재(41)가 상기 장착부(3)의 내부에 위치하는 잠금위치 및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이격된 해제위치 간에 상기 지지부(4)가 이동하도록 상기 전환공(5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공(51)은 제1전환공(511) 및 제2전환공(512)을 포함하되, 상기 제2전환공(512)이 상기 제1전환공(511)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하면 상기 잠금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전환부재(42)가 상기 제2전환공(512)에 위치하면 상기 해제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잠금부(5)는 상기 제1전환공(511)과 상기 제2전환공(512)의 사이에 위치하여서 상기 제1전환공(511)에 위치한 전환부재(42)가 상기 제2전환공(51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돌출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KR1020170067319A 2017-05-31 2017-05-31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KR10235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19A KR102353001B1 (ko) 2017-05-31 2017-05-31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19A KR102353001B1 (ko) 2017-05-31 2017-05-31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49A KR20180130949A (ko) 2018-12-10
KR102353001B1 true KR102353001B1 (ko) 2022-01-18

Family

ID=6467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19A KR102353001B1 (ko) 2017-05-31 2017-05-31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210A (ko) 2021-08-30 2023-03-07 주식회사 제이에프에프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감귤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635A (ja) * 2012-08-08 2014-02-24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牽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411U (ja) * 1983-04-06 1984-10-20 皆川 巧 トラクタ用作業機連結装置の延長杆連結装置
JPS61293303A (ja) * 1985-06-19 1986-12-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連結装置
KR200269560Y1 (ko) * 1998-11-10 2002-11-27 박동규 트랙터의작업기연결장치
KR101318286B1 (ko) * 2011-08-23 2013-10-18 박회성 트랙터용 후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3635A (ja) * 2012-08-08 2014-02-24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牽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49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001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US7530592B2 (en) Towing mechanism
US20190382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carrier vehicle and a selectively attachable implement
EP2870845B1 (en) Implement hitch for a tractor
EP2130420B1 (en) Tractor implement hitches
EP2399441A1 (de) Kupplung zum Verbinden von Hydraulikleitungen
CA1185825A (en) Hitch assembly
US9227510B2 (en) Fuel tank affix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US9987891B2 (en) Safety chain engaging device for gooseneck hitch
EP1974963B1 (en) Towing device for agricultural or industrial vehicle
DE102017121369A1 (de) Anhängekupplung
EP0144328B1 (en) Detachable towing bracket
US9139059B1 (en) Tractor hitch
US8882132B2 (en) Removable gooseneck hitch safety chain bracket
EP2072384B1 (de) Sattelkupplung mit Verbindungsanordnung
US10065467B2 (en) Ball hitch fifth wheel
US8104783B2 (en) Fork lift receiver hitch
FI128842B (fi) Kiinnitysrunko työajoneuvoon
US20090241810A1 (en) Locking Mechanism For Reconfigurable Pallets
EP4015863A1 (de) Vorrichtung zum lagern mindestens eines bauteils in einem fahrzeug und fahrzeug oder fahrzeugelement umfassend diese vorrichtung
EP3649839B1 (en) Adjustable height towing device
KR102388048B1 (ko) 농업용 작업차의 톱 링크기구
KR102363695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프레임장치
KR102313865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변기구 장착장치
WO2020053893A1 (en) Position and draft control mechanism for an implement coupled to vehicle h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