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9008Y1 -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 Google Patents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9008Y1
KR200269008Y1 KR2020010030286U KR20010030286U KR200269008Y1 KR 200269008 Y1 KR200269008 Y1 KR 200269008Y1 KR 2020010030286 U KR2020010030286 U KR 2020010030286U KR 20010030286 U KR20010030286 U KR 20010030286U KR 200269008 Y1 KR200269008 Y1 KR 200269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ensor
lower thread
sensor uni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기
Original Assignee
윤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기 filed Critical 윤경기
Priority to KR2020010030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9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9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9008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북집에서 북실의 잔사를 정확하게 알고있으면 고급소재를 재봉할때 밑실이 없어 헛박음질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데 밑실의 최소 한계점을 지시하는 본 고안의 장치는 북집(2)의 축(21)에 센서부(22)를 장착하여 전극(23)을 만들어서 잔사가 최소 한계점에 도달하면 외부 발광부(60)로 부터 조사된 빛이 투명보빈(30)을 통과하여 센서부(22)에 도달하면 센서부(22)는 저항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센서제어회로(51)를 통하여 잔사없음 구동회로(50)에서 작업자에게 경보등, 부저등으로 밑실 교체 시점을 알려주며 동시에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원자재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 할수있게 한 장치이다.

Description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SEWING MACHINE HAVE CHECKING REST THREAD IN A SHUTTLE}
본 고안은 봉제품을 봉제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봉기는 한가지 불가피한 결함을 지니고 있다. 보빈에 감겨있는 북실의 양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박음질하는 동안 북실이 소진되어 헛바느질에 의한 원단의 불량을 초래함으로 빈번히 잔실의 여부를 점검하지 않을수 없어 봉제능력이나 생산성을 나쁘게 하는 요인이며, 불가피하며, 예측 가능한것 임으로 본 발명으로 밑실교체 시기를 알려 효율적인 봉제작업을 하기위한 목적이다.
보빈의 실을 광전공학적으로 만들어진 감지기중 국제공개번호 WO88/07099에서 보인것과 같이 실자체의 반사광을 이용한 감지기는 실의 유동성과 굵기등에 많은 오동작을 발생함으로 일반적인 다용도 재봉틀에 적용하기가 쉽지않으며
특허 공개번호 96-34515의 잔사식별을 보빈의 회전수로서 감지할 경우 부분적으로 한정된 연속적이며 일괄작업용 재봉틀에는 사용가능하나 모든 재봉틀에 사용하기는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며
특허 공개번호 특1999-0069253의 밑실공급장치의 모든 부속품에 빛의 관통로를 만들어서 발광LED로 부터 수광부까지의 통로가 이론상의 통로와 일치할수없어 오동작의 요인이 많이있는것 으로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기 발표된 잔사식별은 한정적인 재봉틀에는 쓸수 있으나 보편성은 낮다고 생각되어 밑실 공급 장치를 개조하여 확실한 동작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밑실공급장치의 부품중 개량된북집(20)중 북집축(21)에 센서부(22)를 한정된 공간만으로 삽입 장착시키며, 전극유도를 적절하게 형성시켜주고, 내구성을 높여 봉제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임
도 1은 일반적인 밑실 공급장치의 구성 부속품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개발된 밑실 공급장치의 구성 부속품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개발된 밑실공급 장치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50)와 센서부(22)의 배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밑실 공급 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전가마. 2 : 북집.
3 : 밑실보빈. 4 : 북. 41 : 북의 축.
10 : 전극이 있는 회전가마. 11 : 회전가마의 외부회전축과의 연결부.
12 : 외부전극 접촉부분. 13 : 북집(20)과의 접촉부분.
20 : 센서부(22)가 있는 북집. 21 : 북집 축.
22 : 센서부(PHOTO COUPLER) 23 : 센서부 전극. 24 : 마이크로 스윗치
30 : 분리되는 밑실 투명보빈(투명재질 사용).
40 : 개발된 축이 없는 북.
50 : 밑실 잔사없음 구동회로(경광등, 부져, 모터 전원차단기 등을 구동함).
51 : 센서제어회로 및 전극 접촉부.
60 : 센서부(22)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LED와 발광 제어 회로.
본 고안은 재봉틀 북실의 잔사 여부를 광학 및 기계적인 방법으로 감지하여 헛박음질에 따른 봉재작업의 불량을 사전 예방하고자 만들어졌다.
본 고안은 도 1 에 보인것과 같이 광학적인 방법으로 감지하고자 하드라도 구조상으로 빛이 차단되는 북집(2)의 축(21)과 밑실보빈(3), 북(4)의 축(41)등으로 3중의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장애물들을 제거하여 북집(2)의 축(21)에 센서부(22)를 장착하여 감지된 신호를 센서전극(23)으로 보내어 그외부에 있는 개량된 회전가마(10)의 북집과의 접촉부(13)를 통하여 외부전극 접촉부(12)로 전달되어 외부에 있는 센서제어회로(51)로 전달되어 밑실없음 구동회로(50)로서 작업 여건에 맞는 경광등, 부저, 모터 전원 차단등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밑실을 교체하게 하는 하는것이다.
본 고안을 도 2 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항상 회전 하고있는 회전가마(1)의 내측면에 전극인 북집과의 접촉부(13)을 만들고 외부에 센서 제어 회로(51)에연결되는 외부 접촉부 전극(12)이 있는 개량된 회전가마(10)이며, 개량된 북집(20)은 북집축(21) 내부에 기본적으로 센서수광부(22 : PHOTO COUPLER)를 장착하여 개량된 회전가마(10)의 접촉부(13)와 연결될 전극(23)이 만들어진 개량된 북집(20)이다. 센서부(22)는 빛이 없을때는 저항값이 최대가 되고 빛이 조사되면 저항값이 최소가 되어 잔사여부를 감지하게된다. 또한 센석부(22)를 수광 TR(PHOTO COUPLER) 대신 마이크로 스윗치(24)를 장착하면 밑실이 있으면 스윗치(24)가 열려있어(OFF)저항값은 최대가되고 밑실이 소진되어 투명보빈(30)의 일부가 분리되면 마이크로 스윗치(24)가 온(ON)되어 저항값은 최소가되어 센서부(22)는 수광 TR(PHOTO COUPLER)이나 마이크로 스윗치(24)나 동일하게 센서제어회로(51)로 전달되어 밑실잔사여부를 감지한다.
밑실이 감겨진 밑실보빈(3)을 재질을 투명한것으로 만들어져 발광LED(60)의 빛을 차단 하지않게 만들어진 투명보빈(30)이며 또한 센서부(22)의 수광 TR이나 마이크로 스윗치(25)가 있는 부분은 밑실이 소진되면 분리되어 떨어져나가 빛이나 마이크로 스윗치를 동작시키는 역활을 한다.
북(4)은 빛을 차단하는 축(41)을 없게하여 만들어진 개량된 북(40)이다.
상기 각 부속들을 조립하여 밑실이 감겨있으면 센서부(22)에는 발광회로(60)에서 나온 빛이 차단되어 센서부(22)는 저항값이 높아져 동작하지 않고 밑실이 모두 소진되면 발광회로(60)에서 나온 빛이 투명보빈(30)을 통과하여 센서부(22)에 조사되어 센서부의 저항값이 급격하게 낮아진다. 이 낮아진 저항값 신호는 센서부 전극(23)-회전가마(10)의 내부접촉부 전극(13), 외부접촉부 전극(12)-센서제어회로및 접촉부 전극(51)-밑실 잔사없음 구동회로(50)의 순으로 경광등, 부져, 모터 전원차단 등으로 작업자에게 밑실없음을 알려 밑실을 교체하게 하는 밑실 잔사 감지기가 장착된 재봉틀임.
즉 전체구조는 첫째 북집(2)의 축(21)을 센서부(22 : 기본은 PHOTO COUPLER)를 장치하여 센서부의 전극을 만든 개량 북집(20)과 개량 북집에서 발생한 신호(저항값 감소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이 형성된 개량 회전가마(10)와 외부 발광회로, 발광LED(60)에서 조사된 빛의 차단을 제거한 분리되는 밑실 투명보빈(30)과 북(4)의 축(41)을 제거한 개량된 북(40)으로 구성된 밑실 공급 장치와,
둘째 도 3 에서 보인바와 같이 밑실 공급 장치 외부에서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회로 및 발광 LED(60)과 밑실 공급장치 내부의 센서부(22)에서 나온 신호를 분석 하기위한 센서 제어회로 및 접촉부 전극(51)과 밑실 잔사없음 구동회로(50)로 구성되어진다.
본 고안은 봉제시 북실의 최소 한계점에 도달하기 전에 경보등이나 부저로서 작업자에게 알려주면 밑실이 없어 바느질의 헛박음으로 인한 바느질땀은 원자재의 불량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여 봉제능력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재봉틀의 밑실공급장치에서내, 외부에 전극이 있는 회전가마(10)와 센서부 (22:PHOTO COUPLER)를 장치하고 센서부 전극(23)이 있는 북집축(21)으로 구성된 북집(20)과밑실감이용투명보빈(30), 축이없는 북(40)으로 구성된 밑실공급장치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회로및 발광LED(60)와 센서부(22)신호를 제어하는 센서제어회로(51)에 이 제어된 신호를 이용한 밑실 잔사없음 구동회로(50:경광등,부져,모터 전원차단기 등 동작)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밑실 잔량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2. 청구항 1 에 예시한 밑실공급장치에서센서부(22)에 수광 TR(PHOTO COUPLER)대신 마이크로 스윗치(24:MICRO SWITCH)를 장치한 북집(20)으로 분리되는밑실감이용투명보빈(30)이 있어 밑실이 있으면 마이크로 스윗치(24)는 OFF 즉 저항 무한대며 밑실이 없어 투명보빈(30)이 분리되면 마이크로 스윗치(24)가 동작하여 저항이 없어지는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발광LED(60)가 없어도 센서 제어회로(51)가 동작하여 밑실없음 구동회로(50)를 동작 시키는것을 특징으로하는밑실 잔량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KR2020010030286U 2001-09-27 2001-09-27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KR200269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86U KR200269008Y1 (ko) 2001-09-27 2001-09-27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286U KR200269008Y1 (ko) 2001-09-27 2001-09-27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9008Y1 true KR200269008Y1 (ko) 2002-03-20

Family

ID=7310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286U KR200269008Y1 (ko) 2001-09-27 2001-09-27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90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081B2 (en) Bottom thread supply device detecting residual thread for a sewing machine
EP1511050B1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TWI265990B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bobbin thread on double thread lockstitch sewing machines
CN102429591A (zh) 搅拌器的持久性监测和改进
KR200269008Y1 (ko) 북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JP6326972B2 (ja) 容器、および当該容器を備えたミシン
JP2018069397A (ja) 電動工具
CN110340854A (zh) 电动工具以及用于控制电动工具的方法
JP7187052B2 (ja) 自動遮光溶接ヘルメット
US5078067A (en) Sewing machine with abnormal condition warning means for warning abnormal condition by changing color of light
KR100465132B1 (ko) 재봉틀의 밑실 감시장치
KR200435370Y1 (ko) 잔사 감지가 가능한 밑실 공급 장치
US4212257A (en) Sewing machine full and low bobbin indicator
KR200274005Y1 (ko) 밑실 잔사 감지기가 있는 재봉틀
KR20033072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재봉틀의 밑실 감시장치
KR100253939B1 (ko) 재봉기의 밑실잔량 검출장치
KR101554880B1 (ko) 밑실 소진싯점 예고기능을 구비한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100348205B1 (ko) 보빈실 제거장치
CN212477220U (zh) 一种断纱器
CN112342726B (zh) 洗衣机
KR100690193B1 (ko) 재봉기용 밑실 검출장치
JPH04166189A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2008237315A (ja) ミシン
CN112323412A (zh) 上排水式衣物处理设备
JP2016185273A (ja) ミシンの生地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