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29Y1 - 자동차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29Y1
KR200268329Y1 KR2020010032192U KR20010032192U KR200268329Y1 KR 200268329 Y1 KR200268329 Y1 KR 200268329Y1 KR 2020010032192 U KR2020010032192 U KR 2020010032192U KR 20010032192 U KR20010032192 U KR 20010032192U KR 200268329 Y1 KR200268329 Y1 KR 200268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panel unit
door
extension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규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2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29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패널유니트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와 함께 상향 투입개구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는 포켓패널유니트와; 상기 포켓패널유니트를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포켓회동지지부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에 대한 상기 포켓패널유니트의 회동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회동각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포켓의 폭을 가변함에 있어 포켓의 폭을 단계적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포켓의 폭을 가변하는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고장 발생 빈도 및 제조비용이 현격히 감소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Door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수용공간인 포켓의 구조를 개선한 자동차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유니트(110)와, 도어패널유니트(110)와 더불어 물품수용공간인 포켓(P)을 형성하는 포켓패널유니트(120)를 포함한다.
도어패널유니트(110)는 판면이 거의 평평한 패널본체(110a)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패널본체(110a)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110c)를 갖는다. 그리고, 포켓패널유니트(120)는 포켓본체(120a)와, 포켓본체(120a)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패널유니트(110)에 형성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110c)와 함께 포켓(P)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포켓연장부(120c)를 갖는다.
포켓패널유니트(1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P)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연장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연장부(120b)의 하측에는 패널본체(110a)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31)에 연통되는 스크루보스(130)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31)과 스크루보스(130)에는 고정스크루(132)가 삽입되어 포켓패널유니트(120)를 도어패널유니트(110)에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에 형성된 포켓은 그 폭이 가변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포켓은 도어패널유니트와 포켓패널유니트의 상호 스크루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은 비교적 좁은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포켓으로는 물품을 인입 및 인출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포켓의 폭이 가변될 수 없기 때문에 포켓의 바닥면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9530 등에 포켓의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선행 기술들에 의하면 포켓의 폭을 가변하기 위해 상호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 및 그에 부속하는 장치를 채용하고 있는 바, 그 구조가 복잡하여 그만큼 고장 발생 빈도가 높아지며 제조비용이 상승될 수밖에 없다. 또한, 선행 기술들은 단지 포켓의 폭을 가변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편의에 맞추어 포켓의 폭을 단계적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일정한 크기로 포켓의 폭을 유지시킬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켓의 폭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포켓의 폭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켓의 폭을 가변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장 발생 빈도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포켓의 폭이 넓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포켓의 폭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포켓의 폭이 가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패널유니트 10a : 패널본체
10c : 측부연장부 20 : 포켓패널유니트
40 : 상부회동지지부 42 : 안내핀
50 : 하부회동지지부 52 : 힌지핀
60 : 회동각조절부 62 : 요철부
66 : 요철결합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패널유니트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와 함께 상향 투입개구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는 포켓패널유니트와; 상기 포켓패널유니트를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포켓회동지지부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에 대한 상기 포켓패널유니트의 회동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회동각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패널유니트는 판면이 거의 평평한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의 하측에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포켓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패널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켓패널유니트는 포켓본체와, 상기 포켓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연장부와 함께 상기 포켓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포켓연장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포켓회동지지부는,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부연장부와 상기 포켓연장부의 접촉 영역 상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안내공과, 상호 대응되게 연통되는 상기 한 쌍의 안내공에 각각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포켓연장부가 상기 측부연장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핀을 갖는 상부회동지지부와; 상기 측부연장부와 상기 포켓연장부의 접촉 영역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힌지공과, 연통된 상기 힌지공으로 삽입되는 힌지핀을 갖는 하부회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내공은 자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각조절부는, 상기 패널본체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판면에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파형상의 요철부가 마련된 요철연장부와;상기 포켓패널유니트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요철연장부를 향해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요철부의 골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요철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단부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유니트(10)와, 도어패널유니트(10)를 향한 일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어패널유니트(10)와 함께 상향 투입개구를 갖는 포켓(P)을 형성하는 포켓패널유니트(20)를 포함한다.
도어패널유니트(10)는 판면이 거의 평평한 패널본체(10a)와, 패널본체(10a)의 하측에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되어 포켓(P)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연장부(10b)와, 하부연장부(10b)의 양측에서 패널본체(10a)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10c)를 갖는다.
포켓패널유니트(20)는 포켓본체(20a)와, 포켓본체(20a)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패널유니트(10)에 형성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10c)와 함께 포켓(P)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포켓연장부(20c)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켓본체(20a)의 중앙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패널유니트(10)의 하부연장부(10b)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더미연장부(20b)를 갖는다.
이러한 포켓패널유니트(20)는 도어패널유니트(10)에 결합되어 물품을 수용하는 포켓(P)을 형성한다. 이 때, 포켓(P)의 바닥면은 도어패널유니트(10)의 하부연장부(10b)에 의해 형성되고, 포켓(P)은 측면은 상호 거의 면접촉되는 도어패널유니트(10)의 측부연장부(10c) 및 포켓패널유니트(20)의 포켓연장부(20c)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전후면은 각각 도어패널유니트(10)의 패널본체(10a)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포켓본체(20a)의 판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다. 포켓(P)의 상부는 물품의 투입 및 취출을 위한 개구로 활용된다.
도어패널유니트(10)와 포켓패널유니트(20)에는 포켓패널유니트(20)를 도어패널유니트(10)에 대해 가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포켓회동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포켓회동지지부에 의해 포켓(P)의 폭은 사용자의 임의로 가변될 수 있다. 포켓회동지지부는 상부회동지지부(40)와 하부회동지지부(50)를 포함한다.
상부회동지지부(40)는 상호 접촉되는 측부연장부(10c)와 포켓연장부(20c)의 접촉 영역 상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안내공(41a,41b)과, 상호 대응되게 연통되는 한 쌍의 안내공(41a,41b)에 각각 일체로 삽입되어 안내공(41a,41b)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핀(42)을 갖는다.
안내공(41a,41b)은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후술할 하부회동지지부(50)의 힌지핀(52)을 회동 기점으로 하여 도어패널유니트(10)에 대해 포켓패널유니트(20)가 회동할 경우, 포켓패널유니트(20)의 회동은 원의 궤적을 이루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안내공(41a,41b)은 부분 원호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때, 안내공(41a,41b)의 길이는 포켓패널유니트(20)가 회동하여 포켓(P)의 폭이 넓어질 경우, 포켓(P)의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유니트(10)의측부연장부(10c) 및 포켓패널유니트(20)의 포켓연장부(20c)가 상호 벌어지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패널유니트(10)에 형성된 장공의 안내공(41a)과 포켓패널유니트(20)에 형성된 장공의 안내공(41b)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장공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안내핀(42)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된 안내공(41a,41b)에 삽입 배치되는 축부(42a)와, 축부(42a)의 양단에 축부(42a)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축부(42a)가 안내공(41a,4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포켓연장부(20c)와 측부연장부(10c)의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42b,42c)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회동지지부(50)는 측부연장부(10c)와 포켓연장부(20c)의 접촉 영역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힌지공(51a,51b)과, 연통된 힌지공(51a,51b)으로 삽입되는 힌지핀(52)을 포함한다. 이에, 힌지핀(52)이 측부연장부(10c)와 포켓연장부(20c)의 상호 연통된 힌지공(51a,51b)으로 삽입되면 힌지핀(52)을 회동 기점으로 하여 포켓패널유니트(20)는 도어패널유니트(10)에 대해 회동하면서 포켓(P)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서는 포켓회동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도어패널유니트(10)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상호 결합에 의해 형성된 포켓(P)의 폭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포켓(P)으로 물품을 인입 및 인출하기가 매우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포켓(P)의 바닥면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한편, 도어패널유니트(10)에 대해서 포켓패널유니트(20)가 외부의 진동 등에의해 임의로 회동하게 된다면 포켓(P)은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하부회동지지부(50)를 이루는 힌지핀(52)은 힌지공(51a,51b)에 헐겁지 않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본 고안에서는 회동각조절부(60, 도 3 참조)를 마련하여 도어패널유니트(10)에 대한 포켓패널유니트(20)의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켓(P)의 상부 투입개구의 개방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회동각조절부(60)는, 도어패널유니트(10)의 패널본체(10a)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판면에 골부(62b,62c)와 정부(62a)가 반복되는 파형상의 요철부(62)가 마련된 요철연장부(61)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하단으로부터 요철연장부(61)를 향해 연장되며 연장단부(66a)가 요철부(62)의 골부(62b,62c)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요철결합부(66)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는 요철부(62)의 골부(62b,62c)가 2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포켓(P)의 폭 조절을 좀 더 세밀하게 단계적으로 조절하고자 한다면 요철연장부(61)를 길게 하여 요철부(62)에 골부(62b,62c)와 정부(62a)를 더 많이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요철부(62)는 요철연장부(61)의 판면을 굴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부재를 요철연장부(61)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요철부(62)의 최하단에는 요철부(62)에 형성된 정부(62a)에 비해 더 높게 돌출된 돌출단부(62d,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단부(62d)는 포켓(P)의 폭이 최소로 좁아진 상태에서 포켓(P)의 폭이 더 이상 좁아지지 않도록요철결합부(66)의 하향 위치 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상부회동지지부(40) 외에, 도어패널유니트(10)의 하부연장부(10b)는 포켓(P)의 폭이 최대로 넓어진 상태에서 포켓(P)의 폭이 더 이상 넓어지지 않도록 요철결합부(66)의 상향 위치 이동을 저지한다.
여기서, 요철부(62)를 형성하는 요철연장부(61)는 요철결합부(66)의 연장단부(66a)가 가하는 힘에 대해 탄성 복원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판스프링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요철결합부(66)의 연장단부(66a)는 요철부(62)의 골부(62b,62c)와 정부(62a)를 용이하게 순회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패널유니트(10)의 측부연장부(10c)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포켓연장부(20c)의 연통된 안내공(41a,41b)으로 안내핀(42)을 끼워 넣어 상부회동지지부(40)를 형성하고, 도어패널유니트(10)의 측부연장부(10c)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포켓연장부(20c)의 연통된 힌지공(51a,51b)으로 힌지핀(52)을 삽입하여 하부회동지지부(50)를 형성한다.
이같이 조립하여 도어패널유니트(10)와 포켓패널유니트(20)의 결합에 의한 포켓(P)을 형성한 다음, 포켓(P)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패널유니트(20)를 반시계 방향(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힌지핀(52)을 회동기점으로 하여 요철결합부(66)의 연장단부(66a)는 파형상을 갖는 요철부(62)의 상측 골부(62b)에 끼워진다. 이 때가 포켓(P)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된 상태가 되므로 포켓(P)의 바닥면을 청소하거나 포켓(P)에 수용된 물품을 인입 및 인출하기가 매우 쉬워진다.
반대로, 포켓(P)의 폭을 좁히고자 한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패널유니트(20)를 시계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힌지핀(52)을 회동기점으로 하여 요철결합부(66)의 연장단부(66a)는 상측 골부(62b)로부터 이탈되어 파형상을 갖는 요철부(62)의 하측 골부(62c)에 끼워진다. 이 때가 포켓(P)의 폭이 가장 좁게 형성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만일 포켓(P)의 폭을 가장 넓은 상태(도 3 참조)와 가장 좁은 상태(도 4 참조)의 중간 정도로 조절하고자 한다면, 요철결합부(66)의 연장단부(66a)가 요철부(62)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 골부(미도시)에 배치되도록 하면 된다.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는 바, 상세한 도면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포켓회동지지부와, 회동각조절부(60)를 마련함으로써, 포켓(P)의 폭이 단계적으로 가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임의대로 포켓(P)의 폭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켓(P)으로 물품을 인입하거나 포켓(P)으로부터 물품을 인출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포켓(P)의 폭이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포켓(P)의 바닥면에 쌓인 먼지나 이물질을 청소하기가 매우 용이해진다.
그리고, 파형상의 요철부(62)가 마련된 요철연장부(61)와 연장단부(66a)가 요철부(62)의 골부(62b,62c)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요철결합부(66)의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포켓(P)의 폭이 단계적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어, 고장 발생 빈도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그 제조비용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포켓의 폭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킴으로써 포켓의 폭을 일정한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가 제공된다.
또한, 포켓의 폭을 가변함에 있어 간단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장 발생 빈도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가 제공된다.

Claims (7)

  1. 자동차용 도어에 있어서,
    도어패널유니트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와 함께 상향 투입개구를 갖는 포켓을 형성하는 포켓패널유니트와;
    상기 포켓패널유니트를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포켓회동지지부와;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에 대한 상기 포켓패널유니트의 회동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회동각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패널유니트는 판면이 거의 평평한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의 하측에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포켓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의 양측에서 상기 패널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측부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포켓패널유니트는 포켓본체와, 상기 포켓본체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측부연장부와 함께 상기 포켓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포켓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회동지지부는,
    상호 접촉되는 상기 측부연장부와 상기 포켓연장부의 접촉 영역 상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안내공과, 상호 대응되게 연통되는 상기 한 쌍의 안내공에 각각 일체로 삽입되어 상기 안내공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포켓연장부가 상기 측부연장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핀을 갖는 상부회동지지부와;
    상기 측부연장부와 상기 포켓연장부의 접촉 영역 하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된 복수의 힌지공과, 연통된 상기 힌지공으로 삽입되는 힌지핀을 갖는 하부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은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조절부는,
    상기 도어패널유니트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판면에 골부와 정부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요철부가 마련된 요철연장부와;
    상기 포켓패널유니트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요철연장부를 향해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요철부의 골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요철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파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부의 연장단부는 라운딩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KR2020010032192U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도어 KR200268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92U KR200268329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92U KR200268329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29Y1 true KR200268329Y1 (ko) 2002-03-16

Family

ID=7305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192U KR200268329Y1 (ko) 2001-10-22 2001-10-22 자동차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3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3B1 (ko) 2008-02-20 2009-06-08 한일이화주식회사 도어 맵 포켓
KR101535082B1 (ko) * 2013-09-23 2015-07-0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포켓
KR102061854B1 (ko) 2018-08-16 2020-01-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맵 포켓 개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3B1 (ko) 2008-02-20 2009-06-08 한일이화주식회사 도어 맵 포켓
KR101535082B1 (ko) * 2013-09-23 2015-07-0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트림의 포켓
KR102061854B1 (ko) 2018-08-16 2020-01-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맵 포켓 개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9739A (ko) 냉장고의 도아
CN101611279B (zh) 铰链
EP1273750A2 (en) Hinge assembly
KR20180094172A (ko) 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060255045A1 (en) Hinge device for storage cases and storage case having the same
JP2000296018A (ja) 単一ピース型関節結合アセンブリ
KR200268329Y1 (ko) 자동차용 도어
KR102432149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6763874B1 (en) Movable blind
US5357376A (en) Vanity mirror
US5289616A (en) Hinge with motion limiting mechanism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2526588Y2 (ja) 隠し蝶番
US20080250605A1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2002268017A (ja) 眼鏡の新テンプル連結構造
KR100405055B1 (ko) 힌지장치
KR200146222Y1 (ko) 수납공간의 크기변동이 가능한 글로브박스
KR200235866Y1 (ko) 귀걸이형 이어셋
KR100395542B1 (ko) 수납장 도어의 힌지 조립체
CN212289595U (zh) 儿童座椅饰盖及汽车
JP2001207695A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535764B1 (ko) 글로브 박스의 스토퍼 구조
KR100496967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JP4056735B2 (ja) ヒンジ装置
JPH02308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