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02Y1 -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02Y1
KR200268302Y1 KR2020010028058U KR20010028058U KR200268302Y1 KR 200268302 Y1 KR200268302 Y1 KR 200268302Y1 KR 2020010028058 U KR2020010028058 U KR 2020010028058U KR 20010028058 U KR20010028058 U KR 20010028058U KR 200268302 Y1 KR200268302 Y1 KR 200268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plate
plate
protective cap
concret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묵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청호종합기술단
인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종합기술단, 인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2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02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구 콘크리트 타설때 구간 경계선에 설치되는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지수판은 수직면의 경우 콘크리트 경화시 배어나오는 배출수의 유로가 쉽게 형성되면서 각목고정용 못이 지수판까지 관통하여 구멍이 뚫림으로 인해 지하수와 누수의 차단효과가 적었으며, 막음벽의 설치/해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소모가 많아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지수판(100) 표/이면에 작은반점(spot)형상의 돌기 (120)를 무수히 형성하여 배출수의 퍼짐을 유도하므로서 차단효과를 높히고, 못삽입홈(310)과 끝단에 삽지공(312)이 연결된 삽지홈(311)이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보호캡(300a)(300b)을 구비한 후 일측 보호캡은 지수판(100)을 받치는 각목(210) 상면에 고정시키고, 타측 보호캡은 지수판(100)을 눌러주는 각목(210) 저면에 고정시켜서 그 사이에 지수판(100)이 끼워지도록 한 다음 고정쇠(400)로 상하 보호캡을 고정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지수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설치하므로 지수 차단효과가 높고, 막음벽의 설치/해체가 신속 간편하여 공사기일의 단축과 인건비 및 부자재비 절감에 의해 공사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Structure of water stop of jion an old/new concrete and it's operation system}
본 고안은 구조물 시공때 구간별로 타설되는 신/구 콘크리트의 경계선에 설치되는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구조물 시공현장에서 타설되는 신/구 콘크리트의 연결부는 신장/수축 관련하여 균열이 발생되는데, 지하 구조물일 경우 그 균열부위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구조물의 기능저하 및 중성화되거나 외관이 손상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각종 건물, 박스 구조 등의 구축물을 신축할 때는 구축물의 길이나 깊이 등의 규모가 크고 시공성 관계로 한번에 콘크리트를 전량 타설하지 못하고 구간별로 여러번에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에 따라 먼저 타설되어 양생된 구 콘크리트와 새로 타설되는 신 콘크리트의 연결부위는 여름철과 겨울철 기온 등에 의해 신장/수축을 하게 되면서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타설 시공되는 신/구 콘크리트의 연결부에 균열이 발생하면 그로 인해 구조물의 기능이 약화됨은 물론이고, 특히 그 연결부가 지하 구조물의 부위일 경우에는 연결부의 균열부위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시공된 구조물의 중성화를 유발하는 등 양생된 콘크리트와 철골 등의 부식을 촉진시킴에 따라 기능의 심각한 저하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외관이 보기 흉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신/구 콘크리트의 접속부위에는 지하수의 유입 방지를 위해 통상 지수판(Water stop)을 설치하고 있다. 즉, 도 1 은 종래의 지수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위 도면에 의해 종래 지수판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와 같이 기히 타설 양생된 콘크리트층 내부로 지수판(10)의 일부가 매입되고 그 나머지 반쪽이 콘크리트층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구 콘크리트의 접속부가 정해지면 철근(24)을 다시 배근한 상태에서 그 지정된 접속부의 경계선(Y) 외측으로 다수의 거푸집용 각목(21)과 장선(22)으로 구성되는 막음벽(거푸집)(20)과 그 중간 위치쯤에 반쪽이 끼워져 설치되는 지수판(10)을 못(23)으로 박아 고정시킨다.
이때, 장선(22)에 의해 각목(21)이 고정되어야 하지만 용이하지 않아 현장의 작업자들은 대부분 긴 못으로 지수판(10)까지 관통시켜 상하부 각목(21)을 서로 연결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도 1b 와 같이 지수판(10)의 반쪽은 못이 관통된 상태에서 그대로 타설된 콘크리트 속에 묻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막음벽(20)으로 설치된 장선(22)과 각목(21)들을 해체하여 분리하면 도 1c 와 같이 일측 지수판은 양생된 신/구 콘크리트의 경계선(Y)을 가로막고 있는 상태가 되고, 다른 쪽 지수판(10)은 다음 구간의 경계선(Y) 부위에 반쪽이 다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수판(10)은 신/구 콘크리트의 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지수판(10)은 도 2 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속에서의 지지력을 높히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과 양단을 두툼한 후육부(11a)(11b)로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11a)와 후육부(11b) 사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2~3줄의 줄눈(12)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지수판(10)의 줄눈(12)은 콘크리트 경화시 수직의 구조물의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시 배어나오는 배출수(bleeding)에 의거 줄눈 (12) 단부에 유로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배출수의 상부 이동으로 공극이 발생하여 경화 및 양생 이후에 유입 지하수의 유로가 되는 현상이 있어 지하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수판(10)을 막음벽(20)의 각목(21)들 사이에 끼워 넣고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면 대부분 길다란 못(23)을 윗 각목(21)의 일측면에서 아래 각목(21)을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박아 설치하는데, 이때 도 1a 와 같이 지수판 (10)의 상/하 각목(21)사이에 박히는 못(23)은 지수판(10)을 관통하게 되므로 지수판(10)이 손상을 입게 되며, 이와 같이 지수판(10)에 관통된 구멍이 생기면 그 구멍을 통해 지하수 등이 스며들게 되므로 지수판으로서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수판(10)의 시공을 위해 사용하는 막음벽(20)의 각목(21)과 장선(22)들에 수시로 못을 박았다가 빼내어 해체하는 작업과정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로 인한 공사기일의 연장과 인건비 부담이 상당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수시로 못을 박았다가 빼내는 과정중에 각목(21) 및 장선(22)이 쉽게 파손되어 몇번 사용하다 보면 재 사용을 못할 정도로 심하게 파손되므로 막음벽용 부자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결국 공사비 증가의 주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구 콘크리트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지수판의 표/이면 구조를 배출수(bleeding)의 유로가 형성되지 않도록 개선하여 지수 기능을 강화시킨 지수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 시공을 위해 타설되는 신/구 콘크리트의 연결부에 지수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신속 견고하게 설치 가능하면서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 손쉽게 분리하여 재 사용 가능토록 하므로서 공사기일의 단축과 인건비 절감 및 부자재비 절감에 의해 공사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내지 1c 는 종래 지수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공정별로 보인 상태도
도 2 는 종래의 지수판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지수판 구조를 일례로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지수판을 설치하기 위한 시스템인 상하 보호캡과 고정쇠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5c 는 본 고안의 지수판을 포함한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일례로 예시한 상태도
도 6a 및 6b 는 본 고안의 지수판과 보호캡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수판 120 : 돌기
210 : 각목 300a,300b: 보호캡
310 : 못삽입홈 311 : 삽지홈
312 : 삽지공 400 : 고정쇠
Y : 경계선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이 실시된 지수판을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중 길이방향을 따라 표이면 중앙과 양쪽 끝단을 두툼한 후육부(110a)(110b)로 형성한 지수판(100)의 구성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지수판(100) 표/이면의 중앙 후육부(110a)와 양쪽 끝단 후육부(110b) 사이에 작은 반점(spot)형상의 돌기(120)를무수히 형성한 것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지수판(100)은 신/구 콘크리트의 경계선(Y) 부위에 반쪽씩 묻힌 상태로 설치되었을 때 타설된 콘크리트에서 배어나오는 배출수(bleeding)가 상기 작은 반점 형상의 돌기(120)들에 부딪히면서 넓고 불규칙하게 퍼져 번지게 되므로 흐름(수인성)이 난해하므로 종래의 지수판처럼 일정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 는 상기와 같은 지수판(100)을 시공하는 과정을 보인 본 고안의 시공 시스템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로서, 신/구 콘크리트의 지정된 접속부 경계선 일측에 다수의 각목(210)을 적층하여 막음벽(200)을 형성하면서 소정 높이의 각목(210)과 각목(210) 사이에 지수판(100)의 반쪽면을 끼워서 시공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시공 시스템 특징은 아래와 같다.
즉, 일측단에는 한쌍의 못삽입홈(310)이 'V' 형으로 형성되고, 타측단 일표면에는 삽지홈(311)과 그 끝단에 삽지공(312)이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보호캡 (300a)(300b)을 구비한 후 일측 보호캡(300b)은 상기 못삽입홈(310)에 의해 지수판 (100)을 받쳐주는 각목(210) 상면에 고정시키고, 타측 보호캡(300a)은 지수판(100)을 눌러주는 상측 각목(210) 저면에 고정시켜서 상하 보호캡(300a)(300b) 사이에 지수판(100)이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수판(100)을 위 아래서 눌러주고 있는 상하 보호캡 (300a)(300b)의 외측에서 선단에 걸고리(410)가 절곡 형성된 'ㄷ'자형 고정쇠(400)를 상기 삽지공(312)과 삽지홈(311)에 끼워서 상하 보호캡(300a)(300b)을 서로 결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0)은 상/하 각목(210)에 보호캡(300a)(300b)을 고정시켜주는 못이고, (240)은 철근이며, 상기 한쌍의 보호캡(300a)(300b)은 강재나 고강도 PVC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본 고안의 지수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5a 내지 도 5f 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와 같이 신/구 콘크리트의 지정된 접속부 경계선(Y) 일측에 소정 개수의 각목(210)을 서로 못으로 고정시켜 막음벽(200)을 설치한 후 상쪽 막음벽(200)을 구성하는 소정높이의 각목(210) 상면에 보호캡(300b)을 대고 못삽입홈 (310)을 통해 헤드가 빠지지 않도록 못(230)을 박아 보호캡(300b)을 각목(210)에 고정시킨 다음 그 보호캡(300b)위에 지수판(100)의 반쪽면이 걸쳐지도록 얹어 놓는다.
그 후 도 5b 와 같이 저면에 하나의 보호캡(300a)이 못삽입홈(310)을 통해 못(230)으로 고정되어 있는 각목(210)을 상기 지수판(100)의 위에 얹히도록 포개 놓으면 지수판(100)의 반쪽면은 상하 각목(210)에 고정되어 있는 각 보호캡(300a) (300b)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c 와 같이 상하 보호캡(300a)(300b)의 외측(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방향)에서 "ㄷ"자형 고정쇠(400)의 양단을 상하 보호캡(300a)(300b) 표면의 삽지홈(311)을 통해 끼우면 고정쇠(400) 선단은 삽지공(312)에 끼워지고, 고정쇠(400) 몸체는 삽지홈(311)에 끼워지면서 상하 보호캡(300a)(300b)으로 부터 고정쇠(400)가 돌출되지 않아 상하 각목(210)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고 결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ㄷ"자형 고정쇠(400)는 지수판(100)을 상하에서 눌러주고 있는 상하 보호캡(300a)(300b)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강하게 압박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쇠(400)에 의해 지수판(100)은 상하 보호캡(300a)(300b) 사이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고, 상하 보호캡(300a)(300b)은 못삽입홈(310)을 통과하고 있는 못에 의해 각목(210)과 결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수판(100)을 압박하는 상하 각목(210)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처럼 지수판(100)을 관통시켜 가면서 못을 박을 필요가 없으므로 지수판(100)이 못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수판(100)이 손상되지 않으므로서 도 5c 에서 처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완료되었을 때 지수판(100)의 물 차단효과가 확실함에 따라 신/구 콘크리트의 접속부 경계선(Y) 틈새를 통해 지하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매우 이상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완료된 후에는 상/하 보호캡 (300a)(300b)을 잡아주고 있는 고정쇠(400)를 외측에서 당기면 그 선단이 삽지공 (312)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하 보호캡(300a)(300b)도 함께 당겨지게 되며, 이러한 보호캡(300a)(300b)의 못삽입홈(310)은 "V"형이므로 각목(210)에 박혀있는 못에 간섭받지 않고 상/하 보호캡(300a)(300b)이 그대로 당겨져 빠져 나오게 되고, 빠져 나온 상/하 보호캡(300a)(300b)에서는 고정쇠(40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쇠(400)와 상/하 보호캡(300a)(300b)이 분리되면 나머지 각목(210)들의 해체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각목 (210)과 고정쇠(400) 및 상/하 보호캡(300a)(300b)을 장기간 재사용할 수 있고, 종래처럼 각목 외측에 별도의 장선을 덧대고 박을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 및 해체과정이 상당히 신속 간편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지수판은 신/구 콘크리트의 경계선(Y) 부위에 매입 설치되었을 때 지수판 양면의 작은 반점 형상의 불규칙한 돌기들이 타설 콘크리트에서 배어나오는 배출수(bleeding)의 일정한 흐름을 방지하므로 상부 이동으로 인한 공극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경화 및 양생 이후 유입되는 지하수를 이상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지수판 시공 시스템은 지수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신속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고,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완료 후에는 막음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각목과 상/하 보호캡 및 고정쇠 등을 손쉽게 분리하여 장시간 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일의 단축효과와 함께 인건비 및 부자재비 절감에 의해 공사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길이방향을 따라 지수판(100)의 표이면 중앙과 양쪽 끝단을 두툼한 후육부 (110a)(110b)로 형성한 지수판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100) 표/이면의 중앙 후육부(110a)와 양쪽 끝단 후육부(110b)사이에 작은 반점형상의 돌기(120)를 무수히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
  2. 신/구 콘크리트의 지정된 접속부 경계선(Y) 일측에 다수의 각목(210)을 적층하여 막음벽(200)을 형성하면서 그 막음벽(200) 사이에 지수판의 반쪽면을 끼워 시공하는 지수판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는 "V"형 못삽입홈(310)이 형성되고, 타측 일표면에는 삽지홈(311)과 그 끝단에 삽지공(312)이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보호캡(300a)(300b)을 구비하여 일측 보호캡(300b)은 지수판(100)을 받쳐주는 각목(210) 상면에 고정시키고, 타측 보호캡(300a)은 지수판(100)을 눌러주는 각목(210) 저면에 고정시켜서 상하 보호캡 (300a)(300b) 사이에 지수판(100)이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보호캡(300a)(300b)의 외측에서 선단에 걸고리(410)가 절곡 형성된 "ㄷ"자형 고정쇠(400)를 상기 삽지공(312)과 삽지홈(311)에 끼워서 상하 보호캡(300a)(300b)을 서로 결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시공 시스템.
KR2020010028058U 2001-09-12 2001-09-12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KR200268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58U KR200268302Y1 (ko) 2001-09-12 2001-09-12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58U KR200268302Y1 (ko) 2001-09-12 2001-09-12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168A Division KR100405333B1 (ko) 2001-09-07 2001-09-07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02Y1 true KR200268302Y1 (ko) 2002-03-16

Family

ID=7310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058U KR200268302Y1 (ko) 2001-09-12 2001-09-12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3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467B2 (en) Timber decking
US9038338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wall having a bracket attaching a rim joist thereto
US4563852A (en)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block foundation walls
US20040003558A1 (en) Air circulation board for cavity wall construction
US5826391A (en) Concrete joint and method
KR100405333B1 (ko)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시스템
KR200268302Y1 (ko) 신/구 콘크리트 연결용 지수판 구조와 그 시공 시스템
KR20230046923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3582035A (en) Concrete pan forming system
TW202219361A (zh) 門窗角壁面防裂組件結構(九)
AU2010257353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anchor bolt installation jig
CN220598921U (zh) 一种用于顺水条和挂瓦条的方形固定机构
AU712389B2 (en) Concrete joint and method
CN215562781U (zh) 扶壁式挡墙结构
KR200235131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20020005146A (ko) 패널 보강구조
AT517925A2 (de) Beton-Fertigteil-Deckenplatte zum Einsatz in Holzbauten
CA2225262C (en) Retainer for poured concrete walls
JP3112663B2 (ja) 歩行面施工パネル
KR100504137B1 (ko) 적벽돌로 개구부 상부 또는 상인방 시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JPH0135847Y2 (ko)
KR200141835Y1 (ko)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JP2821106B2 (ja) スリット施工部材とその施工方法
JP6644623B2 (ja) 人通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S63373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