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444Y1 -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444Y1
KR200267444Y1 KR2019970038270U KR19970038270U KR200267444Y1 KR 200267444 Y1 KR200267444 Y1 KR 200267444Y1 KR 2019970038270 U KR2019970038270 U KR 2019970038270U KR 19970038270 U KR19970038270 U KR 19970038270U KR 200267444 Y1 KR200267444 Y1 KR 200267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oil tank
exhaust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745U (ko
Inventor
김효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8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4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3/00Crankcase ventilating or breathing
    • F01M13/0011Breathe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07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ans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 F01M2001/1021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purification means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comprising self clean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회전기기의 유압순환시스템에 사용되는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에어 브리더(13)의 교환주기마다 교환하지 않으므로 필터(132)가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일탱크(10) 내부는 부압이 걸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유압펌프(11)의 흡입효율이 떨어져 오일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일탱크(10)의 상단에 흡배기관(131)이 상부로 연장되고 그 상부에 필터(132)와 캡(133)이 씌워져 있는 한쌍의 에어 브리더(13)와, 상기 흡배기관(131)의 하부에 장구형의 내주면을 갖는 내관(14a,14b)이 설치되고 이 내관(14a,14b) 내부에 설치된 밸브판(16a,16b)을 90°범위내에서 왕복회전시켜 상기 내관(14a,14b)을 개폐시키는 자동절환기구(15)와, 이 자동절환기구(15)에 고압의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밸브판(16a,16b)을 동작시키는 방향절환밸브(17)와, 상기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 상부에 방향절환밸브(17)와 연동되는 전자밸브(20a,20b)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는 가지관(19a,19b)이 설치되고 이 가지관(19a,19b)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더욱 빠르도록 유도시키는 벤츄리관(18a,18b)으로 구성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본 고안은 유압회전기기의 유압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탱크의 상단에 2개의 에어 브리더를 설치하고 그 중 일측의 에어 브리더를 폐쇄하여 교대로 크리닝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회전기기의 오일순환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기계(12)로부터 리턴되는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탱크(10)와 이 오일탱크(10) 내부의 오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오일펌프(11)와, 이 오일펌프(11)에 의해 공급된 유압으로 작동되는 회전기계(12)가 하나의 순환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오일탱크(10)의 상단은 오일탱크(10) 내부의 유면 상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항상 대기압을 유지하여 오일의 흐름상태가 원활하도록 에어 브리더(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에어 브리더(13)는 오일탱크(10)에서 상부로 연장된 흡배기관(131)과 이 흡배기관(1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132)와, 이 필터(132)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씌워지는 캡(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회전기기의 오일순환시스템은 오일펌프(11)를 구동시키면 일정한 압력의 오일이 회전기계(12)로 공급되면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 후 오일탱크(10)로 되돌아온다. 이때 오일탱크(10)의 내유면 상부를 항상 일정하게 대기압으로 유지하여야만 오일의 흐름상태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10)의 에어 브리더(13)는 필터(132)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어 필터(132)로서의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일정한 주기마다 교환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순환시스템에 있어서는 에어 브리더(13)의 교환주기마다 교환하지 않으므로 필터(132)가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오일탱크(10) 내부는 부압이 걸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유압펌프(11)의 흡입효율이 떨어져 오일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흡배기관(131) 상부의 필터(132)에 끼인 이물질이 오일탱크(10) 내부로 떨어질 수 있고 오일탱크(10)로 덜어진 이물질이 유압펌프(11)에 의해 순환되면서 회전기계(12)의 기계적 마찰부에 손상을 주어 회전기계(1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외부공기의 원활한 흡배기가 장기간 동안 지속시킴으로써 오일 흐름을 항상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오염입자들이 필터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항시 깨끗한 오일로 유지가능하고 오일탱크 내부를 일정한 대기압으로 유지가능하여 오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오일탱크 내부로의 오염물 침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오일탱크와 유압펌프 및 회전기계가 하나의 오일순환 사이클을 이루는 오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오일탱크의 상단에 흡배기관이 상부로 연장되고 그 상부에 필터와 캡이 씌워져 있는 2개의 에어 브리더와, 상기 흡배기관의 하부에 장구형의 내주면을 갖는 내관이 설치되고 이 내관 내부에 설치된 밸브판을 90°범위내에서 왕복회전시켜 상기 내관을 개폐시키는 자동절환기구와, 이 자동절환기구에 고압의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밸브판을 동작시키는 방향절환밸브와, 상기 흡배기관의 내관 상부에 방향절환밸브와 연동되는 전자밸브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는 가지관이 설치되고 이 가지관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더욱 빠르도록 유도시키는 벤츄리관으로 구성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유압회전기기의 유압순환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가 적용된 유압순환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자동절환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가 적용된 유압순환시스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자동절환기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일탱크(10)와, 유압펌프(11)와 회전기계(12)로 오일순환시스템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오일탱크(10)의 상단에는 오일탱크(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항상 대기압을 유지하여 오일의 흐름상태가 원활하도록 2개의 에어 브리더(1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에어 브리더(13)는 오일탱크(10)에서 상부로 연장된 흡배기관(131)과 이 흡배기관(13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132)와, 이 필터(132)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씌워지는 캡(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배기관(131)의 하부에는 동일한 위치에 각각 장구형의 내주면을 갖는 내관(14a,14b)이 취부되어 있으며 이 내관(14a,14b) 내에는 자동절환기구(15)와 연동되는 밸브판(16a,16b)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판(16a,16b)은 자동절환기구(15)에 의해 각각 반대방향으로 90°이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절환기구(15)는 몸체(150) 양측의 피스톤홀(151)에서 제각기 왕복이동되고 그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로드홀(152)이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15a)과, 이 피스톤(15a)의 로드홀(152)에 끼워져 있고 피스톤(15a)이 몸체(151)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회동로드(15b)와, 상기 회동로드(15b)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15c)과, 상기 회동로드(15b)의 단부에 고정되고 회동로드(15b)와 함께 회전되어 내관(14a,14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판(16a,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5a)의 로드홀(152)에 끼워진 회동로드(15b)에는 피스톤(15a)이 몸체(151)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90° 범위내에서 왕복 회전되도록 리이드홈(1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동절환기구(15)의 몸체(150)에 형성된 피스톤홀(151)에는 피스톤(15a)을 몸체(150)의 양단측으로 밀어 낼 수 있도록 방향절환밸브(17)가 연결되어 있고 이 방향절환밸브(17)는 양측중 일측의 피스톤홀(151)로만 선택적으로 에어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 상부에는 벤츄리관(18a,18b)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벤츄리관(18a,18b)에는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는 가지관(19a,19b)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가지관(19a,19b)에는 방향절환밸브(17)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전자밸브(20a,2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절환기구(15)의 밸브판(16a,16b)은 방향절환밸브(17)에 의해 작동되어 일측의 내관(14a,14b)은 폐쇄되고 다른 일측은 개방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오일탱크(10) 내부의 유면 상부를 항상 대기압으로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이 폐쇄된 벤츄리관(18a,18b)측의 전자밸브(20a)를 개방시켜 고압의 에어가 가지관(19a)을 통해 흡배기관(131)의 상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압회전기기의 오일순환시스템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방향절환밸브(17)의 일측 스위치가 온되면 에어가 자동절환기구(15)를 이루는 몸체(150)의 피스톤홀(151)로 공급되므로 피스톤(15a)을 몸체(150)의 단부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피스톤(15a)의 로드홀(152)에 조립된 회동로드(15b)의 리이드홈(153)에 의해 회동로드(15b)가 90°회전되게 되고 이 회동로드(15b) 단부의 밸브판(16a,16b) 또한 회전되므로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을 폐쇄시킨다.
이와같이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이 폐쇄된 측의 가지관(19a)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밸브(20a)를 개방시킴으로써 고압의 에어가 가지관(19a)을 통해 벤츄리관(18)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때 고압의 에어는 벤츄리관(18a,18b)에 의해 더욱 빨라지므로 흡배기관(131) 상부의 필터(132)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흡배기관(131)의 외부측으로 털어내어 청소를 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을 30초 내지 1분을 주기로 연속적으로 흡배기관(131)의 필터(132)를 청소함으로써 오염입자의 확실하게 제거하고 사용대기중인 에어 브리더(13)에 대기의 오염입자가 달라붙지 않도록 24시간을 주기로 계속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24시간을 주기로 계속 청소를 행한후 사용중인 에어 브리더(13)는 다시 자동 절환되어 대기중이었던 에어 브리더(13)를 사용하고 사용했던 에어 브리더(13)를 자동으로 청소를 행하게 된다. 이때 방향절환밸브(17)이 다른 일측의 피스톤(15a)으로 고압에어가 공급되어 절환되면 일측의 피스톤(15a)에 공급되었던 고압에어가 제거되므로 비트림 스프링(15c)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로드(15b)가 회전되어 피스톤(15a)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이 방향절환밸브(17)의 절환에 의해 동작되는 과정은 대칭되는 위치의 부품으로 변경되었을 뿐 상기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는 오일탱크 내부의 유면 상부에 외부공기의 원활한 흡배기가 장기간 동안 지속시킴으로써 오일 흐름을 항상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벤츄리관에 의해 사용대기중인 필터의 내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켜 오염입자들이 필터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청정 오일 유지관리가 가능하고 오일탱크 내부로의 오염물 침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중인 에어 브리더의 흡배기관으로 항시 외부공기가 공급되므로 오일탱크 내부를 일정한 대기압으로 유지하여 오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일탱크(10)와 유압펌프(11) 및 회전기계(12)가 하나의 오일순환 사이클을 이루는 오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오일탱크(10)의 상단에 흡배기관(131)이 상부로 연장되고 그 상부에 필터(132)와 캡(133)이 씌워져 있는 한쌍의 에어 브리더(13)와,
    상기 흡배기관(131)의 하부에 장구형의 내주면을 갖는 내관(14a,14b)이 설치되고 이 내관(14a,14b) 내부에 설치된 밸브판(16a,16b)을 90°범위내에서 왕복회전시켜 상기 내관(14a,14b)을 개폐시키는 자동절환기구(15)와,
    이 자동절환기구(15)에 고압의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밸브판(16a,16b)을 동작시키는 방향절환밸브(17)와,
    상기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 상부에 방향절환밸브(17)와 연동되는 전자밸브(20a,20b)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는 가지관(19a,19b)이 설치되고 이 가지관(19a,19b)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에어가 더욱 빠르도록 유도시키는 벤츄리관(18a,18b)으로 구성된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환기구(15)는 몸체(150) 양측의 피스톤홀(151)에서 왕복이동되고 그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로드홀(152)이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15a)과, 이 피스톤(15a)의 로드홀(152)에 끼워져 있고 피스톤(15a)이 몸체(150)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되는 회동로드(15b)와, 상기 회동로드(15b)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15c)과, 상기 회동로드(15b)의 단부에 고정되고 회동로드(15b)와 함께 회전되어 내관(14a,14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판(16a,16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절환밸브(17)에 의해 자동절환기구(15) 일측의 피스톤(15a)으로 에어가 공급되어 한쌍의 에어 브리더(13)중 일측에 설치된 흡배기관(131)의 내관(14a,14b)을 폐쇄시키고 폐쇄된 내관(14a,14b)측의 상기 흡배기관(131)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전자밸브(20a,20b)가 개방되어 가지관(19a,19b)을 통해 벤츄리관(18a,18b)으로 분사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탱크의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KR2019970038270U 1997-12-17 1997-12-17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KR200267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70U KR200267444Y1 (ko) 1997-12-17 1997-12-17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270U KR200267444Y1 (ko) 1997-12-17 1997-12-17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45U KR19990025745U (ko) 1999-07-05
KR200267444Y1 true KR200267444Y1 (ko) 2002-05-09

Family

ID=5389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270U KR200267444Y1 (ko) 1997-12-17 1997-12-17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745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77B1 (ko) 마찰 곡면상에 미세형상의 오일포켓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200267444Y1 (ko) 에어 브리더 자동 크리닝장치
US4627798A (en) Apparatus for circulating cleaning fluid through a cooling system
CN207153235U (zh) 全自动毛屑过滤器
JPH0223272A (ja) ピストンシリンダ及び洗浄方法
CN216381828U (zh) 一种带动阀门的自封式吸油过滤器
CN108916748B (zh) 一种遥控自清洁路灯及其工作方法
KR100508553B1 (ko) 자가 회전 세척방식의 오일필터
CN112295992A (zh) 球阀阀体内部冲洗设备及冲洗方法
KR100812117B1 (ko) 게이트 밸브
KR100807671B1 (ko) 알칼리액 저장탱크내의 가스 및 거품 자동배출장치
KR200370162Y1 (ko) 공기필터 자동청소장치
EP0150819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ochdruckwasserreinigung von Verkokungsöfen
KR200204381Y1 (ko) 압축식 자동분무기의 압축봉
CN218933292U (zh) 一种可自清洁的泵站储水装置
DE19849063C2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laschenkästen
KR200259281Y1 (ko) 엔진룸 세척 장치
KR102208930B1 (ko) 응축수 자동 드레인 밸브
KR950013010B1 (ko) 농후한 점성 물질 펌프용 스푸울 밸브
CN212947133U (zh) 一种用于油浸泵壳铁铸件的表面处理装置
KR102400306B1 (ko) 공압에 의해 탈수성을 향상시킨 협잡물 탈수기
CN218281043U (zh) 一种可在线切换、清洗内置过滤器
KR880001951Y1 (ko) 오일 여과기의 필터 세척장치
CN117258521B (zh) 一种节能环保的生物质燃料热解装置
JPS5815243Y2 (ja) トラクタ−における作動油の除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