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397Y1 - 벽걸이용 거울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397Y1
KR200267397Y1 KR2020010038166U KR20010038166U KR200267397Y1 KR 200267397 Y1 KR200267397 Y1 KR 200267397Y1 KR 2020010038166 U KR2020010038166 U KR 2020010038166U KR 20010038166 U KR20010038166 U KR 20010038166U KR 200267397 Y1 KR200267397 Y1 KR 200267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rame
wall
subject
fros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룩스
Priority to KR2020010038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397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로부터 조명이 이루어지는 벽걸이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거울은 프레임 또는 가구의 전면에 거울을 부착시켜 피사체의 모습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대부분 천정에 설치된 조명등으로 피사체의 반사 모습을 보게되는데, 조명등의 위치가 피사체의 등 뒤에서 조사를 하게되어 피사체의 전면이 어둡게 나타나거나 눈부심이 발생됨으로 반사된 피사체의 모습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프레임(1)에 부착된 거울(2)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는 폭이 좁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서리유리(3) 영역을 형성하고, 이 서리유리(3)의 뒷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따라 점등될 수 있는 조명등(8)을 설치하여 서리유리(3)를 통해 빛이 산란하면서 확산되도록 하며, 프레임(1)의 일측에는 조명등(8)을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는 스위치(9)를 설치한 것으로. 눈부심이 없이도 신체의 전면이 정확하게 보이도록한 벽걸이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걸이용 거울{a wall tapestry mirror}
본 고안은 내부로부터 조명이 이루어지는 벽걸이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거울은 투명한 유리의 뒷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도포한 것으로 반사원리에 의하여 그 앞의 피사체에 대한 허상을 보여준다. 벽걸이용 거울은 신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이 보일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거울을 말하는 것으로, 통상 화장대등과 같은 가구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와 독립된 상품으로서 욕실의 벽면과 탈의실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져 오고 있는데, 이것은 거울을 프레임에 부착하고 프레임의 뒷면에 마감판재를 결합하여 소정의 일측벽면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벽걸이용 거울은 주위의 조명에 따라 그 반사효율이 달라진다. 벽걸이용 거울은 일정 소정의 공간이나, 방의 구석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조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정확하고 또렷한 상을 얻기가 어려웠다. 특히, 여러 사람이 이동하면서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매장에서는 옷을 갈아 입거나 할 때, 외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야 하므로 이러한 곳에 설치된 거울은 조명이 제대로 비추지 않거나 조명을 한다고 하더라도 조도가 낮기 때문에 피사체의 허상이 어둡게 보이기 일수이다.
또한, 조명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조도가 낮다는 말은 피사체의 반사되는 부분, 즉 사람의 전면에 조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신체의 전면이 어둡게 보인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거울과 피사체의 중간에 조명등을 설치할 수는 없다. 거울과 피사체의 중간에 조명등을 설치하면 눈부심이 생겨 거울의 허상을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눈부심이 없이도 신체의 전면과 얼굴의 전면이 훤하게 보이도록 반사시킬 수 있는 벽걸이용 거울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벽면 거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프레임 2:거울
3:서리유리(간유리) 4:커버
8:형광등(조명등) 9:스위치
10:콘센트
13:개폐커버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부착된 거울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좁은 서리유리(일명 간유리) 영역을 형성하고, 이 서리유리의 뒷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따라 점등될 수 있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상기 서리유리를 통해 빛이 산란하면서 확산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등을 점등시키면 조명등의 빛이 서리유리 영역에서 산란하면서 확산되고 피사체의 전면을 훤하게 비추게 되므로 결국 거울면에는 피사체의 허상이 밝게 반사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벽걸이용 거울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 도 3은 벽걸이용 거울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개폐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프레임(1)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조립체로서 금속, 목재, 플라스틱 또는 그 유사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프레임(1)의 전면에는 거울(2)이 안쪽에서 부착되고 거울(2)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하방향의 폭이 좁은 서리유리(frost glass)(3)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서리유리(3)는 80~85%의 투과율을 가진 것으로 상기 거울(2)과 일체로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절단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서리유리(3)를 거울(2)과 일체로 하는 경우에는 뒷면에 도금이 되어 있는 거울(2)의 일측에 서리유리 성형기를 이용하여 서리유리면을 형성하면 된다.
즉, 서리유리(3) 영역 이외의 부분을 고무 등으로 은폐시키고 서리유리(3)의 영역 부분에만 금속조각을 세게 불어내어 유리 표면(서리유리 영역의 뒷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의 후면에는 커버(4)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4)와 거울(2)과의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거울(2)과 커버(4) 사이에 스페이서(6)를 끼워, 거울(2)과 커버(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커버(4)는 프레임(1)과 스페이서(6)에 각각 스크류(7) 또는 볼트로 고정된다.
거울(2)과 커버(4)의 사이에서 서리유리(3)의 후방에는 조명등, 즉 형광등(8)이 좌우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형광등(8)은 외부에서 교류 전원을 전선으로 연결한 것(전선과 전원 플러그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한 스위치(9)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프레임(1)의 일측에는 상기한 스위치(9) 말고도 콘센트(10)를 설치한다. 벽걸이용 거울을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드라이기, 또는 전기면도기등의 여러 전기기구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전기기구를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1)의 일측에 콘센트(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1)의 뒷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4)가 부착되는 바, 이 커버(4)의 뒷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의 형광등(8)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커버(13)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커버(13)는 한쪽이 커버(4)에 힌지(또는 경첩, 미도시)로 결합되어 있으며 다른 쪽은 개폐손잡이(14)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 개폐손잡이(14)는 도 3의 확대 부분과 같이 탄성변형체로 형성하여 커버(4)와 스냅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형광등(8)의 사용한도가 초과되어 접전상태가 불능이면 개폐손잡이(14)를 이용하여 개폐커버(13)를 열고 그 내부의 형광등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벽걸이용 거울은 실내의 일부 소정의 벽면에 걸은 후에 그 상태에서 스위치(9)를 온시켜 형광등(8)을 점등시키면 그 빛이 1차로 서리유리(3)에 반사되어 산란을 일으키며 확산한다. 이 상태는 거울(2) 전면에 있는 사람의 눈에 누부심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뿌옇게 비치는 정도로서 그 빛은 서리유리(3)를 통과하여 사람(피사체)의 전면에 훤하게 비춘다. 이러한 빛은 다시 거울(2)에 반사되어 사람의 눈에 밝은 허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벽걸이용 거울을 고안의 대상 객체로 하였지만 이것은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벽걸이용 거울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기술적 범위) 내에 있는 한 여타의 거울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신체의 전면을 훤하게 비추면서 반사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명시설이 없이도 밝은 거울로 이용될 수 있다. 거울 앞에 별도의 조명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한 눈부심을 염려할 필요도 없다. 또 거울의 일측에 서리유리 영역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아서 피사체의 전면을 더욱확실히 투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에 부착된 거울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좁은 서리유리 영역을 형성하고, 이 서리유리의 뒷면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에 따라 점등될 수 있는 조명등을 설치하여 상기 서리유리를 통해 빛이 산란하면서 확산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거울.
KR2020010038166U 2001-12-11 2001-12-11 벽걸이용 거울 KR200267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66U KR200267397Y1 (ko) 2001-12-11 2001-12-11 벽걸이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166U KR200267397Y1 (ko) 2001-12-11 2001-12-11 벽걸이용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397Y1 true KR200267397Y1 (ko) 2002-03-12

Family

ID=7311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66U KR200267397Y1 (ko) 2001-12-11 2001-12-11 벽걸이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3801A (en) System and method for backlighting a display
US6932488B1 (en) Vanity lighting system
US7360916B2 (en) Under-cabinet light fixture
KR200267397Y1 (ko) 벽걸이용 거울
KR102562853B1 (ko) 조명 겸용 스위치
KR100576060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장치
KR200382687Y1 (ko) 램프가 구비된 거울
KR200326078Y1 (ko) 조명램프내장형 거울
CN217408181U (zh) 一种带放大镜的镜柜
JP3521270B2 (ja) 浴 室
JP2023067492A (ja) 照明付き鏡
KR100595477B1 (ko) 다기능 거울장
JP3067204B2 (ja) 反射板付リモコンハンガー
KR19990032903U (ko) 조명등이 내장된 액자 겸용 거울
KR20060089910A (ko) 조명장치가 부착된 거울
KR200264969Y1 (ko) 조명용 스탠드
IT202000008731A1 (it) Specchio retroilluminabile
CN114098317A (zh) 一种带放大镜的镜柜
KR200253432Y1 (ko) 장식용 액자
JP2769094B2 (ja) 化粧鏡の照明構造
JP2003325371A (ja) 浴室用照明装置
KR200209937Y1 (ko) 램프식 거울
JPH0532898Y2 (ko)
JPH0539343U (ja) 照明付化粧鏡
JPH0623114U (ja) 洗面化粧キャビネット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