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853B1 - 조명 겸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조명 겸용 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62853B1 KR102562853B1 KR1020220142316A KR20220142316A KR102562853B1 KR 102562853 B1 KR102562853 B1 KR 102562853B1 KR 1020220142316 A KR1020220142316 A KR 1020220142316A KR 20220142316 A KR20220142316 A KR 20220142316A KR 102562853 B1 KR102562853 B1 KR 1025628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ing
- unit
- switch
- button
- refle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5315 stained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9 copp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62 intensity of sme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겸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노출되고, 상기 버튼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겸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커버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스위치는 집안의 조명 등을 구동시키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주로 벽면에 매립된 상태로 사용되며 최대한 눈에 띄지 않도록 백색이나 무채색 형태의 커버로 형성된다. 그러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명액자와 같은 인테리어 효과를 유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8352호(2019년 12월 23일 공고)는 조명부와 표시부를 갖는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내부 브라켓과, 상기 내부 브라켓을 둘러싸는 외부 브라켓과, 상기 내부 브라켓과 작동되고,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포함하는 스위치와, 상기 내부 브라켓과 상기 외부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의 주변부의 최소한 일부를 둘러싸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부근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다이오드(LED)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내부 브라켓, 상기 외부 브라켓, 및 상기 조명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pivotab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가 발사하는 빛은 상기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조명부를 통하여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스위치의 커버에 의해 다양한 조명효과를 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테인드글라스와 같은 재질의 커버를 이용하여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면서 스위치 기능을 할 수 있는 조명 겸용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외부에 반사체 및 버튼에 장식구를 삽입하여 내부의 조명이나 외부의 빛에 의한 반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조명 겸용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부에 방향부를 형성하여 실내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겸용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결합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1)이 노출되고, 상기 버튼(13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반사도를 가지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스테인드글라스로 형성되어, 단면이 굴곡된 형상의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버튼(131)이 관통하는 관통공에 삽입되며, 내측에 상기 버튼(131)이 관통하는 조립구와, 상기 조립구의 외측을 둘러싸며 빛을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인드글라스와 같은 재질의 커버를 이용하여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면서 스위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내외부에 반사체 및 버튼에 장식구를 삽입하여 내부의 조명이나 외부의 빛에 의한 반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방향부를 형성하여 실내에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 중 커버부와 스위치부의 버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반사체 및 반사판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되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방향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방향부가 스위치부의 버튼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 중 커버부와 스위치부의 버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반사체 및 반사판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되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방향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방향부가 스위치부의 버튼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 중 커버부와 스위치부의 버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100)는 몸체부(110), 커버부(120), 스위치부(130) 및 조명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일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외에도 나뭇잎, 달, 태극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서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몸체부(110)의 개구된 일측에는 커버부(120)가 안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된다.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에는 스위치부(130)와 조명부(140)가 안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벽면 등에 고정볼트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120)는 다양한 색상의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120)는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20)는 복수의 스테인드글라스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부(120)는 몸체부(110)의 개구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20)는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등 외에도 나뭇잎, 달, 태극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0)는 몸체부(110)의 개구된 부위에 안착되어 수용공간을 밀폐시킨다. 이 경우, 커버부(120)는 몸체부(110)와 끼움결합 또는 볼트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스테인드글라스로 형성되어, 단면이 굴곡된 형상의 굴곡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부(120)는 평판 형태가 아닌 볼록렌즈와 같은 형태의 굴곡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 또는 내부의 빛을 반사하여 다양한 산란 효과 등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커버부(120)의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20)의 일부만에 굴곡부(1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120)는 버튼(131)이 관통하는 관통공(120-1)에 삽입되는 조립구(122)를 포함한다. 조립구(122)는 내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립구(122)는 커버부(120)의 관통공(120-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조립구(122)는 버튼(131)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립구(122)의 외측을 둘러싸면 빛을 차단하는 차단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123)는 동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단부(123)는 조립구(122)의 틈새로 빛이 새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부(123)는 동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120)와 조립구(122)의 납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스위치부(130)는 커버부(120)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1)이 노출된다. 스위치부(130)는 버튼(13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버튼(131)은 커버부(120)의 다양한 위치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와 커버부(120)가 나뭇잎 형상인 경우 버튼(131)은 애벌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와 커버부(120)가 태극기 형상인 경우 버튼(131)은 건곤감리의 위치로 노출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버튼(131)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131)은 투과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구, 2구, 3구, 4구 스위치(100)를 다양한 버튼(131)으로 형성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30)의 버튼(131)의 내부에는 장식구(132)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식구(132)는 팬던트, 엠블럼(emblem), 캐릭터모형 등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버튼(131)의 내부에 사입된 장식구(132)는 조명에 의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부(130)는 버튼(131)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 버튼(131)에 서로 다른 장식구(132)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식구(132)는 버튼(131) 내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40)는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고, 전원선과 연결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조명부(140)는 LED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140)는 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조명을 출력하여 커버부(120)의 외측으로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야간에도 조명 겸용 스위치(100)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명부(140)는 스위치(100)의 버튼(131) 내부에 수용되어 조명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명부(140)는 광전센서(141)와 연결될 수 있다. 광전센서(141)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조명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전센서(141)는 주변의 조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스위치(100)가 온모드인 경우에도 조명부(140)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는 주변이 충분히 밝은 경우 조명부(140)를 오프시켜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함이다. 광전센서(141)는 주변위 조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스위치(100)가 온모드인 경우 조명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주변 조도에 따라 조명부(14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전력소비를 줄이고, 조명부(14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조명부(140)는 밝기조절부와 연결될 수 있다. 밝기조절부는 저항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는 조명부(140)의 밝기를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밝기조절부는 사용자가 레버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조명에 예민한 사용자는 조명의 밝기를 낮게 조절하도록 저항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명부(140)의 밝기를 조절하여 조명효과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반사체 및 반사판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되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100)는 반사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체(150)는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빛을 반사시킨다. 예를 들어, 반사체(150)는 유리조각과 같이 조명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50)는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빛이 커버부(120)를 투과하여 반사체(150)에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반사체(150)는 복수의 유리조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체(150)는 몸체부(1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체(150)는 커버부(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체(150)는 다양한 유리조각 형태로 커버부(12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커버부(120)로 입사하는 빛이나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을 산란시켜 다양한 빛의 현상을 유발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반사체(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커버부(120)의 일측에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50)가 유리조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착색된 것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100)는 반사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판(160)은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반사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반사판(160)은 거울이나 그에 준하는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판(16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판(160)은 커버부(120)를 통과하거나 몸체부(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빛을 커버부(120)로 다시 반사시켜 다양한 빛의 산란효과를 유도한다. 반사판(160)은 반사체(1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160)은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의 바닥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60)에는 기 설정된 패턴의 반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빛의 반사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반사홈은 반사판(160)의 표면에 삼각, 사각, 반원형 등의 형태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홈의 패턴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반사홈은 반사판(160)에서 반사된 빛을 커버부(120)로 다양한 각도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홈은 반사판(160)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에 방향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방향부가 스위치부의 버튼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겸용 스위치(100)는 방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부(170)는 몸체부(110)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며, 기 설정된 향기의 방향제를 수용한다. 방향부(17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11)을 통해 방향제의 향기가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향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방향부(170)는 일측이 조명부(140)와 접촉할 수 있다. 방향부(170)는 조명부(140)가 출력되면 조명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방향제를 보다 많이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부(140)가 구동하면서 그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방향제를 가열하여 발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명부(140)가 구동하면 방향부(170)의 발향의 세기가 커지고, 조명부(140)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방향부(170)의 발향의 세가가 약해진다.
또한, 방향부(170)의 외부면은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도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된 빛을 반사하거나, 조명부(140)의 조명을 반사시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방향부(170)에는 전술한 반사체(150)나 반사판(16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실내에 향기를 공급하면서 조명을 반사시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방향부(170)는 향기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부(170)는 스위치부(130)와 복수의 방향부(17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부(130)의 구동에 따라 복수의 방향부(170)가 개방되거나 차폐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130)와 방향부(170)의 배출구(171)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30)의 버튼(131)이 온모드인 경우 어느 하나의 방향부(170)의 제1 배출구(171-1)가 개방되고 다른 하나의 방향부(170)의 제2 배출구(171-2)는 폐쇄된다. 스위치부(130)의 버튼(131)이 오프모드인 경우 온모드에서 개방된 방향부(170)의 제1 배출구(171-1)가 폐쇄되고, 온모드에서 폐쇄된 방향부(170)의 제2 배출구(171-2)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30)의 구동에 따라 방향부(170)의 향기의 종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부(170)에는 구동팬(172)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팬(172)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팬(172)은 방향제의 발향의 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팬(172)은 스위치부(130)와 연결되어 그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100)가 온모드인 경우 구동팬(172)이 구동하고, 스위치(100)가 오프모드인 경우 구동팬(172)이 중단한다. 다시 말해, 스위치(100)와 구동팬(172)은 연동하여 구동된다. 이는 스위치(100)가 온모드이면 구동팬(172)을 구동시켜 발향의 세기가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30)의 구동 조건에 따라 방향부(170)의 발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조명 겸용 스위치
110 : 몸체부
111 : 통공
120 : 커버부
120-1 : 관통공
121 : 굴곡부
122 : 조립구
123 : 차단부
130 : 스위치부
131 : 버튼
132 : 장식구
140 : 조명부
141 : 광전센서
150 : 반사체
160 : 반사판
170 : 방향부
171 : 배출구
172 : 구동팬
110 : 몸체부
111 : 통공
120 : 커버부
120-1 : 관통공
121 : 굴곡부
122 : 조립구
123 : 차단부
130 : 스위치부
131 : 버튼
132 : 장식구
140 : 조명부
141 : 광전센서
150 : 반사체
160 : 반사판
170 : 방향부
171 : 배출구
172 : 구동팬
Claims (5)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110);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하는 커버부(120);
상기 커버부(120)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31)이 노출되고, 상기 버튼(13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전류를 통전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부(130);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어 기 설정된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140);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반사도를 가지며, 표면에 삼각, 사각 및 반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홈 패턴이 형성되는 반사판(160); 및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여 기 설정된 향기의 방향제를 수용하되, 일측이 상기 조명부(140)와 접촉하여 상기 조명부(1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상기 방향제를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통공(111)을 통해 배출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방향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버튼(131)이 관통하는 관통공(120-1)에 삽입되며, 내측에 상기 버튼(131)이 관통하는 조립구(122)와, 상기 조립구(122)의 외측을 둘러싸며 빛을 차단시키는 차단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부(170)는,
상기 버튼(131)에 의해 배출구(171)가 개방 또는 폐쇄되며, 상기 버튼(131)이 온모드인 경우 제1 배출구(171-1)가 개방되고 제2 배출구(171-2)는 폐쇄되고, 상기 버튼(131)이 오프모드인 경우 상기 제1 배출구(171-1)는 폐쇄되고, 상기 제2 배출구(171-2)가 개방되는 조명 겸용 스위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거나, 상기 커버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사체(150)를 더 포함하는 조명 겸용 스위치(100).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20)는,
서로 다른 색상의 복수의 스테인드글라스로 형성되어, 단면이 굴곡된 형상의 굴곡부(121)가 형성되는 조명 겸용 스위치(100).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316A KR102562853B1 (ko) | 2022-10-31 | 2022-10-31 | 조명 겸용 스위치 |
PCT/KR2023/016003 WO2024096375A1 (ko) | 2022-10-31 | 2023-10-17 | 조명 겸용 스위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2316A KR102562853B1 (ko) | 2022-10-31 | 2022-10-31 | 조명 겸용 스위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2853B1 true KR102562853B1 (ko) | 2023-08-03 |
Family
ID=8756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2316A KR102562853B1 (ko) | 2022-10-31 | 2022-10-31 | 조명 겸용 스위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2853B1 (ko) |
WO (1) | WO202409637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6375A1 (ko) * | 2022-10-31 | 2024-05-10 | 홍종수 | 조명 겸용 스위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1876A (ko) * | 2002-07-31 | 2004-02-11 | 주식회사 모센 | 휴대폰용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050117376A (ko) * | 2004-06-10 | 2005-12-1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전자기기용 발광 스위치 조립체 |
US20080169176A1 (en) * | 2007-01-11 | 2008-07-17 | Hsiu-Ling Yang | Push-button switch structure with illumination function |
US20170004935A1 (en) * | 2015-07-01 | 2017-01-05 |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 Keyboard backlight module with improved light guid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5425B1 (ko) * | 2005-09-15 | 2007-01-30 | 주식회사 에이텍 | 전자기기용 조명 버튼장치 |
KR102562853B1 (ko) * | 2022-10-31 | 2023-08-03 | 홍종수 | 조명 겸용 스위치 |
-
2022
- 2022-10-31 KR KR1020220142316A patent/KR1025628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0-17 WO PCT/KR2023/016003 patent/WO2024096375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1876A (ko) * | 2002-07-31 | 2004-02-11 | 주식회사 모센 | 휴대폰용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050117376A (ko) * | 2004-06-10 | 2005-12-14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전자기기용 발광 스위치 조립체 |
US20080169176A1 (en) * | 2007-01-11 | 2008-07-17 | Hsiu-Ling Yang | Push-button switch structure with illumination function |
US20170004935A1 (en) * | 2015-07-01 | 2017-01-05 |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 Keyboard backlight module with improved light guide struc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96375A1 (ko) * | 2022-10-31 | 2024-05-10 | 홍종수 | 조명 겸용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96375A1 (ko) | 2024-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718415B (zh) | 照明格栅组件和方法 | |
JP6590935B2 (ja) | エンブレムを照明するための光アセンブリ | |
US20150360605A1 (en) | Vehicle visor vanity light and actuator assembly | |
US20030030063A1 (en) | Mixed color leds for auto vanity mirrors and other applications where color differentiation is critical | |
KR101684117B1 (ko) | 차량용 무드등 | |
ES2247443T3 (es) | Interruptor luminoso. | |
KR102562853B1 (ko) | 조명 겸용 스위치 | |
CN108930954A (zh) | 照明车辆组件和照明方法 | |
US3818212A (en) | Decorative guide light | |
US20190293274A1 (en) | Lighting Apparatus | |
KR100697181B1 (ko) |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 |
JPH09230805A (ja) | 電気機器の表示装置 | |
CN207635081U (zh) | 一种镜面灯具 | |
JP4471359B2 (ja) |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 |
KR200394691Y1 (ko) | 천정매입형 조명기구 | |
CN115279219A (zh) | 具有不可见照明单元的气溶胶产生装置 | |
JP3122344B2 (ja) | バニティミラー | |
CN216534251U (zh) | 一种多光区美妆镜 | |
KR100264038B1 (ko) | 투명거울 | |
CN211176496U (zh) | 一种光学匀光装饰结构 | |
CN221076240U (zh) | 一种灯具结构及车辆 | |
JPH06278530A (ja) | 車両用照明装置 | |
JP2001347898A (ja) | スカッフプレート | |
CN113137577A (zh) | 一种导光发光组件、空调器和控制方法 | |
KR100963582B1 (ko) | 차등의 밝기에 의한 장식 조명부를 갖는 천정 매립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