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477B1 - 다기능 거울장 - Google Patents

다기능 거울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477B1
KR100595477B1 KR1020050006284A KR20050006284A KR100595477B1 KR 100595477 B1 KR100595477 B1 KR 100595477B1 KR 1020050006284 A KR1020050006284 A KR 1020050006284A KR 20050006284 A KR20050006284 A KR 20050006284A KR 100595477 B1 KR100595477 B1 KR 10059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amp
housing
light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성국
정덕희
건 이
Original Assignee
맹성국
건 이
정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성국, 건 이, 정덕희 filed Critical 맹성국
Priority to KR102005000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김서림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거울장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장은, 후면판 및 이 판에 수직하는 측면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구비하는 조명등 조립체; 및 상기 투광부를 구비하는 거울과,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빛을 거울쪽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체의 개방면에 설치되는 거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은 수납체의 내부 공간 중심부에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거울의 후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욕실, 벽걸이, 거울, 수납, 조명, 도광판, 김서림, 가스켓, 가스 쇼바,

Description

다기능 거울장{MULTI FUNCTIONAL MIRROR CABIN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거울 조립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조명등과 도광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외관 사시도.
본 발명은 가정 및 숙박업소의 욕실 등에 설치하는 다기능 거울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서림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거울장에 관한 것이다.
거울은 투명한 유리의 뒷면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도포하여 반사 원리에 의해 거울 앞의 피사체에 대한 허상을 보여주는 생활용품으로서, 일반 가정 및 숙박업소에서는 화장대 또는 욕실의 벽면 등에 설치하는 벽걸이형 거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벽걸이형 거울이 사용되는 욕실은 샤워, 세면 또는 입욕을 할 때 다량의 습기가 발생되고, 이 습기가 거울 표면과 욕실 내부의 온도차로 인해 거울 표면에 맺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김서림'이라 하는데, 일반적인 거울로는 상기한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김서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김서림 방지용 코팅 거울이 개발되었는데, 이 거울은 거울 표면에 코팅 필름을 부착하여 제조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김서림 방지용 코팅 거울은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코팅 필름에 의한 효과가 약해지게 되고, 또한 코팅 필름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일정 기간마다 거울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1996-36252호는 거울의 후면에 온수 순환장치를 설치하여 김서림 현상을 제거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57556호 및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제1999-33114호는 전기적 열원, 예컨대 면상 발열체 또는 열선을 설치하여 김서림 현상을 제거하며, 등록번호 20-0274960호는 거울 앞면에 온풍을 공급하여 김서림 현상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의 거울들은 김서림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에너지원을 사용해야 하므로, 에너지원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 증대 및 설치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으며, 전기 감전 또는 온수 누출 등의 안전 사고 발생 위험이 있고, 또한 에너지원의 고장으로 인한 유지보수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 기술의 다른 예로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도 개시되어 있는바, 이러한 구조의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번호 1998-547호의 '욕실용 김서림 방지 거울'과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6452호의 '조명 및 습기 방지 구조를 갖는 거울'이 있다.
이에, 이 거울들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한 '욕실용 김서림 방지 거울'은 욕실 벽체를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함체 내부에 형광등을 설치한 후 상기 벽체에 거울을 고정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조명 및 습기 방지 구조를 갖는 거울'은 직사각형의 틀체 내부에 전구를 설치하고, 상기 틀체의 전면에 거울을 설치하며, 상기 거울을 틀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측면으로 개방 가능하게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함체 또는 사각틀체와 거울간의 밀폐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형광등 또는 전구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김서림 방지 효과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형광등 또는 전구를 교환하기 위해 전술한 '욕실용 김서림 방지 거울'은 거울을 벽체에 고정하는 스크류를 해제 및 체결해야 하므로 형광등 교환시의 작업성이 나쁘며, '조명 및 습기 방지 구조를 갖는 거울'은 거울 측면으로 욕실용 수납장 등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거울의 슬라이드 공간이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어 상기 '욕실용 김서림 방지 거울'과 마찬가지로 작업성이 나쁜 문제 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조명장치를 이용하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거울들은 실용성 및 김서림 제거 효과가 낮아 상품화에 애로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55521호에 '거울의 김서리 방지장치'를 개시하였는바, 여기에서는 거울의 일측면을 조명 수납체에 힌지 결합하여 형광등 교환 작업시에 거울을 일정한 개방 각도로 전방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광등 교환 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거울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등의 보온 및 밀폐용 부재로 실링하는 한편, 반사판 및 열전도체 등을 이용하여 형광등에서 발생한 복사열 및 전도열이 거울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김서림 제거 능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발명인의 선등록 장치는 조명을 이용한 김서림 방지 기능만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능의 다양성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그리고, 거울과 조명 수납체를 보온 및 밀폐용 부재에 의해서만 실링하고 있으므로, 형광등에서 발생한 복사열 및 전도열의 전달을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으며, 욕실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조명 수납체의 내부로 침투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조명 수납체는 조명장치가 설치되는 후면을 스크류를 이용하여 욕실 벽면에 직접 고정하는 방식에 의해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조명 수납체를 설치할 때 2인 이상의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게 되고, 작업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울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투명창을 투과한 불빛에 의해 눈부심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8864호에 다기능 거울장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등록 실용신안은 거울의 중심부에서 빗겨난 좌우측으로 조명등을 배치하고, 조명등 전방의 거울면을 샌드 처리하여 투광부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김서림 제거 작용 또는 방지 작용은 조명등이 설치된 곳과 인접한 부분, 즉 거울의 좌우측 주변부(조명등이 설치된 인접 부분)로부터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거울의 중심부에서는 김서림 제거 또는 방지 작용이 단시간내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등록 실용신안은 거울장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에 의해 욕실 등을 조명하기 위한 투광부를 조명등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해야 하므로, 디자인 관점에서 볼 때 상기 투광부의 디자인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아름다움 및 고급스러움 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김서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 다기능 거울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을 위한 투광부의 디자인 자유도를 극대화한 다기능 거울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면판 및 이 판에 수직하는 측면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구비하는 조명등 조립체; 및
상기 투광부를 구비하는 거울과,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빛을 거울쪽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개방면에 설치되는 거울 조립체;
를 포함하는 다기능 거울장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는 확산 필름이 배치되며, 도광판의 후면에는 반사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광판은 거울의 후면에 접착 고정하거나, 상기 거울의 후면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도광판을 거울 후면과 이격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도광판은 거울 조립체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을 구비하는 다기능 거울장은 조명등 설치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빛을 도광판을 통해 거울쪽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상기 투광부를 조명등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조명등에 의한 조명 기능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투광부의 디자인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등 조립체는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조명등 설치 프레임, 조명등 설치 프레임에 구비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설치되는 조명등 및 상기 조명등의 빛을 도광판쪽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광판은 수납체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된 조명등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하거나, 거울 후면의 전체 면에 하나만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조명등을 수납체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수납체의 상하방향 중심부 또는 좌우방향 중심부에 2개씩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하방향 중심부와 좌우방향 중심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도광판은 조명등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각각 하나씩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등 및 도광 부재의 설치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다기능 거울장은 조명등이 수납체의 상하방향 중심부 또는 좌우방향 중심부 등에 설치되므로, 거울의 중심부에서 김서림 제거 작용 또는 방지 작용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김서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을 설치하는 대신 조명등 설치 프레임이 반사판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울의 투광부는 샌드 처리하여 조명등의 불빛으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다기능 거울장은 상기 측면판과 거울 조립체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과, 상기 거울 조립체의 상측단부를 수납체에 힌지 결합하는 경첩, 및 상기 거울 조립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는 가스 쇼바를 더욱 포함한 다.
이러한 구성의 다기능 거울장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 쇼바가 압축 상태로 유지되면서 거울 조립체와 수납체를 밀착시키므로, 수납체 내부의 조명등에서 발생된 전도열 및 복사열이 수납체의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효과적으로 거울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전도열 및 복사열이 도광 부재를 통해 거울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조명등을 교환하기 위해 거울 조립체를 개방하면, 상기 거울 조립체가 가스 쇼바에 의해 지지되어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명등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스 쇼바는 거울 조립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한편, 수납체 내부 공간에는 욕실용품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선반이 복수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반은 조명등 설치 프레임에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거울장의 내부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체의 측면판들은 알루미늄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이 판들은 수지재의 연결 부품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 부품은 2개의 측면판들을 동시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면판들의 단부를 결합하는 연결 부품에 의해 측면판들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은 측면판들의 전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설치 작업이 간단해지며, 오랜 사용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가스켓이 측면판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판들의 일부에 투광성 창을 형성함으로써 투광성 창을 통해 간접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느 한 측면판에는 거울 조립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면도기 등의 부피가 작은 욕실용품을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는 보조 선반을 갖는 도어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다기능 거울장은 설치 브래킷에 의해 욕실 등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측면판 중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측면판의 후면에는 걸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 브래킷에는 걸이부가 걸려지는 걸이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 브래킷은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벽면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설치 브래킷을 욕실 벽면에 고정한 후, 조립이 완료된 다기능 거울장의 상측 브래킷에 구비된 걸이부를 설치 브래킷의 걸이홈에 거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거울장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한, 설치 브래킷은 수납체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설치 브래킷에 설치된 다기능 거울장이 욕실 벽면과 밀접하게 되므로, 외관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되며,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거울 조립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형광등과 도광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거울장은 수납체(10)와, 수납체(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거울 조립체(20)를 구비한다.
상기 수납체(10)는 조명등 조립체(30)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후면판(12)과, 이 후면판(12)에 조립되는 좌우(X-X)측 측면판들(14) 및 상하(Y-Y)측 측면판들(16)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판들(14,16)은 중공부(14a,16a)를 갖는 알루미늄 사출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중공부(14a,16a)는 수지재의 연결 부품(18)을 이용한 측면판들(14,16)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측면판들(14,16)은 연결 부품(18)의 일부를 중공부(14a,16a)에 삽입하는 것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측면판들(14,16)을 연결 부품(18)과 조립한 후 접착제 또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양 부품의 조립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측면판들(14,16)의 중공부(14a,16a)에는 돌출턱(14b,16b)들이 형성 되는데, 이 돌출턱(14b,16b)들은 연결 부품(18)에 형성된 돌출턱 결합홈(18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측 측면판(16)의 후면에는 설치 브래킷(40)의 걸림홈(42)에 걸려지게 되는 걸림턱(16d)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 브래킷(40)을 스크류(44)를 이용하여 욕실 벽면에 고정한 후, 조립이 완료된 거울장을 상기 상측 측면판(16)의 걸림턱(16d)이 걸림홈(42)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면 다기능 거울장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다기능 거울장의 설치 작업이 한명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가능하게 되며, 설치 작업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며, 다기능 거울장의 외부에서는 상기 브래킷(40)이 노출되지 않고, 거울장과 욕실 벽면이 밀착 설치되므로, 외관성이 향상된다.
한편, 측면판들(14,16)의 전면에는 슬라이드 홈(14c,16c)이 제공되는데, 이 슬라이드 홈(14c,16c)에는 가스켓(50)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품(18)의 전면에는 가스켓(5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는 돌출턱(18b)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수납체(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조명등 조립체(30)가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등 조립체(30)는 수납체(10)의 내부 공간 중심부에 상하(Y-Y)방향으로 설치되는 조명등 설치 프레임(32)과, 이 프레임(32)에 구비되는 소켓(34) 및 상기 소켓(34)에 설치되는 형광등(3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에는 형광등(36)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 하는 반사판(32a)이 더욱 설치된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 반사판(32a)은 도 4에서 도시 생략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이 반사판(32a)의 기능을 겸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반사판(32a)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거울 후면의 도광판(26)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형광등(36)에서 발생된 빛이 도광판(26)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32a)은 형광등(36)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의 내측에는 형광등용 안정기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형광등(36)은 통상의 욕실 스위치를 온시킨 경우 점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은 후면판(12)과의 조립을 위해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8864호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수납체(10)는 아래에 기술하는 방법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다.
먼저, 상기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의 결합부에 후면판(12)을 삽입하여 후면판(12)들과 조명등 설치 프레임(32)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어서, 상하측 측면판(16)의 후면판 결합부(16e)에 후면판(12)을 삽입하여 상하측 측면판(16)과 후면판(12)을 조립하고, 이어서, 좌우측 측면판(14)과 조립된 연결 부품(18)의 일부를 상하측 측면판(16)의 중공부(16a)에 삽입한다.
이후로는 상측 측면판(16)과 거울 조립체(20)의 프레임(24)을 경첩(52)으로 연결하고, 좌우측 측면판(14)과 프레임(24)을 가스 쇼바(54)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형광등(36)이 수납체(10)의 내부 중심부에 설치된 다기능 거울장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8864호에 비해 김서림 제거 작용 또는 방지 작용이 우수한데, 그 이유는 김서림 제거 작용 또는 방지 작용이 거울의 중심부에서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거울 조립체(20)는 거울(22)과, 이 거울(22)을 둘러싸는 프레임(24) 및 거울(22)의 후방에 배치되는 도광판(2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광판(26)의 전면에는 확산 필름을 배치할 수 있고, 도광판(26)의 후면에는 반사 필름을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광판(2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울(22)의 후면에 접착 고정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거울의 후면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도광판(26)을 거울(22) 후면과 이격 상태로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도광판(26)은 거울 조립체의 프레임(24)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2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체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된 형광등(36)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거울 후면의 전체 면에 하나만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형광등을 수납체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수납체의 상하방향 중심부 또는 좌우방향 중심부에 2개씩 설치하는 것도 가능 하고, 상하방향 중심부와 좌우방향 중심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도광판은 형광등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각각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광등 및 도광판의 설치 개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수납 기능을 위해 조명등 설치 프레임(32)과 좌우측 측면판(14)의 사이 공간에는 선반(60)들이 복수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선반(60)들의 양 단부는 슬라이드식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조명등 설치 프레임(32) 및 좌우측 측면판(14)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거울(22)에는 투광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광부(22a)는 형광등(36)의 불빛을 이용하여 욕실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눈부심 방지를 위해 상기 투광부(22a)는 샌드 가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광부(22a)가 대략 사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그 이유는 상기 형광등(36)에서 발생된 빛이 도광판(26)에 의해 안내된 후 거울쪽으로 방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광부(22a)의 위치 및 디자인에 관계없이 상기 형광등(36)의 빛을 이용한 조명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광판(26) 사이 공간의 거울(22) 후면에는 반사판(22b)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사판(22b)과 거울(22) 후면 사이에 회사 로고 등을 나타내는 표시 문자 또는 기호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표시 문자 또는 기호가 삽입된 부분의 거울(22) 후면도 샌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표시 문자 또는 기호 등은 도광판(26)과 거울(22) 후면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표시 문자 또는 기호가 삽입된 부분의 거울(22) 후면이 샌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기능 거울장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8864호에 비해 투광부(22a)의 디자인을 고객들의 니즈(needs)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거울 조립체(20)는 상하(Y-Y)방향 길이가 좌우측 측면판(14)보다 길게 형성되며, 거울 조립체(20)가 수납체(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수납체(10)의 하측 측면판(16) 아래로 돌출된 부분은 손잡이로 기능한다.
그리고, 가스 쇼바(54)는 거울 조립체(20)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거울 조립체(20)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이를 상술하면, 상기 가스 쇼바(54)는 거울 조립체(20)가 폐쇄된 경우 최대로 압축 작동하여 상기 조립체(20)를 수납체(10) 쪽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거울 조립체(20)의 프레임(24)과 수납체(10)의 측면판들(14,16)이 가스켓(50)을 사이에 두고 밀접하게 되어 형광등(36)의 복사열 및 전도열이 수납체(10)의 외부로 누설됨이 없이 거울(22)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김서림 제거 효과가 향상된다.
여기에서, 상기 김서림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거울(22)의 뒷면에 열전도 매체를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스 쇼바(54)는 형광등 교환을 위해 거울 조립체를 개방할 때 신장하면서 상기 거울 조립체(20)를 지지한다.
따라서, 거울 조립체(20)를 개방하는 동안 부주의로 인해 상기 거울 조립체(20)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며, 거울 조립체(20)의 개방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거울 조립체(20)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 형광등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가스 쇼바(54)는 거울 조립체(20)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기능도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거울장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다기능 거울장에 보조 수납 기능 및 간접 조명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우측 측면판(14)에는 회전 가능한 도어(6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도어(62)의 내측으로는 보조 선반(6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보조 선반(64)은 면도기, 칫솔, 드라이어 등 욕실에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작은 부피의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거울 조립체(20)를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수납체(10)의 내부에는 전기용품, 예컨대 드라이어의 사용을 위한 콘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측면판(14) 및 상하 측면판(16)에는 간접 조명을 위한 투광창 (66)이 더욱 구비되며, 이 투광창(66)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거울장은 형광등이 수납체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 설치되므로, 김서림 제거 작용 및 방지 작용이 거울의 중심부에서부터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한 김서림 제거 효과 및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형광등의 빛을 도광 부재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상기 투광부를 형광등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형광등에 의한 조명 기능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투광부의 디자인을 소비자의 욕구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울장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의 조립이 간편하고, 설치 브래킷을 이용한 설치 방식으로 시공이 간단하여 한명의 작업 인원으로도 시공이 용이하며, 거울장 설치 후 거울장이 욕실 벽면에 밀착 설치되므로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스켓 및 가스 쇼바의 사용으로 인해 김서림 제거 능력이 우수하며, 조명등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거울장의 내부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거울 조립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면도기 등의 부피가 작은 욕실 용품을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는 보조 선반을 구비하므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판에 구비된 투광창을 이용한 간접 조명이 가능하여 인테리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거울의 투광부를 샌드 처리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허상을 더욱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되어 거울 본래의 기능을 더욱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후면판 및 이 판에 수직하는 측면판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구비하는 조명등 조립체; 및
    투광부를 구비하는 거울과,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빛을 거울쪽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개방면에 설치되는 거울 조립체;
    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등에서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조명 및 거울면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다기능 거울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거울의 후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다기능 거울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눈부심 방지를 위해 샌드 처리되는 다기능 거울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 조립체는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 중심부에 상하방향 또는 좌 우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조명등 설치 프레임, 조명등 설치 프레임에 구비되는 소켓, 상기 소켓에 설치되는 조명등 및 상기 조명등의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다기능 거울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또는 상하 양측에 한쌍의 도광판이 배치되는 다기능 거울장.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거울의 후면에는 상기 조명등의 빛을 상기 도광판으로 반사하는 반사판이 더욱 설치되는 다기능 거울장.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의 내부 공간에는 욕실용품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선반이 구비되는 다기능 거울장.
  8. 제 7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의 측면판들은 알루미늄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측면판들을 조립하기 위한 수지재의 연결 부품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다기능 거울장.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는 가스켓이 슬라이드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는 다기능 거울장.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의 일부에는 간접 조명용 투광성 창이 구비되는 다기능 거울장.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 중 좌측 또는 우측 측면판에는 보조 선반을 갖는 도어 부재가 제공되는 다기능 거울장.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 중 상측 측면판의 후면에는 걸이부가 제공되고, 이 걸이부는 벽면에 고정된 설치 브래킷의 걸이홈에 걸려지게 되는 다기능 거울장.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 중 상측 측면판에는 거울 조립체의 상측단부를 힌지 결합하는 경첩이 설치되는 다기능 거울장.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들 중 좌측 및 우측 측면판에는 거울 조립체의 개폐 상태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도록 상기 거울 조립체를 지지하는 가스 쇼바가 설치되는 다기능 거울장.
KR1020050006284A 2005-01-24 2005-01-24 다기능 거울장 KR10059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284A KR100595477B1 (ko) 2005-01-24 2005-01-24 다기능 거울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284A KR100595477B1 (ko) 2005-01-24 2005-01-24 다기능 거울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23U Division KR200381127Y1 (ko) 2005-01-24 2005-01-24 다기능 거울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477B1 true KR100595477B1 (ko) 2006-06-30

Family

ID=3718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284A KR100595477B1 (ko) 2005-01-24 2005-01-24 다기능 거울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477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17962A1 (en) Modular luminaires for appliance lighting
CN108980917A (zh) 高温烹饪装置
KR20110113432A (ko) 장식용 조명거울
JP6484899B2 (ja) 照明付き鏡および洗面化粧台
KR200381127Y1 (ko) 다기능 거울장
KR100595477B1 (ko) 다기능 거울장
KR200368864Y1 (ko) 다기능 거울장
KR20110006421U (ko) 엘이디램프를 활용한 다기능 욕실장
KR200382687Y1 (ko) 램프가 구비된 거울
JP4092108B2 (ja) 照明器具
KR200355521Y1 (ko) 거울의 김서리 방지 장치
CN213453153U (zh) 一种壁挂洗顶灯
KR200267397Y1 (ko) 벽걸이용 거울
KR200279197Y1 (ko) 조명이 내장된 창호
CN208251418U (zh) 一种带有照明装置的吊顶
CN211502401U (zh) 一种偏光线条灯
KR200326078Y1 (ko) 조명램프내장형 거울
KR20050096319A (ko) 거울의 김서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208817226U (zh) 一种无边框防眩晕的led栅格灯
JP2023067492A (ja) 照明付き鏡
KR200447195Y1 (ko) 다용도 프레임
CN210421581U (zh) 显示面板、壳体组件及吊顶式集成电器
KR100401708B1 (ko) 버스용 선반 조립체
KR200264969Y1 (ko) 조명용 스탠드
KR200333213Y1 (ko) 조명등용 전등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