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366Y1 -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 Google Patents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366Y1
KR200267366Y1 KR2020010037206U KR20010037206U KR200267366Y1 KR 200267366 Y1 KR200267366 Y1 KR 200267366Y1 KR 2020010037206 U KR2020010037206 U KR 2020010037206U KR 20010037206 U KR20010037206 U KR 20010037206U KR 200267366 Y1 KR200267366 Y1 KR 200267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on container
extraction
instant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진 박
Original Assignee
명진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진 박 filed Critical 명진 박
Priority to KR2020010037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36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에 관한 것으로 맛과 향이 뛰어난 원두커피에 인스턴트커피의 장점인 취급용이성을 더 부가하여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않고 보다 용이하게 원두커피를 즉석에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편익증진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분말상태의 커피를 티백형태로 포장한 원두커피(10)와, 이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지(11)를 수납하며, 하방 원주면에 추출되는 커피액이 취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취출공(16)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단면형상이 삼각을 비롯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스토퍼(17)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추출용기(12)와,
상기 추출용기(12)를 음용컵(2)에 거치하기 위해 박형의 원반형을 이루며 중심에는 추출용기(12)의 외경과 상응하는 체결공(18)과, 체결공(18) 내측에는 스토퍼(17)와 대응하는 수용홈(19)이 구비된 것 추출링(13)을 다수 개씩 구비하여 포장지(14)내방에 수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Portable brewing set of coffee}
본 고안은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원두커피 추출장치없이 더운물만을 첨가하여 실내,외에서 손쉽게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피는 원두커피와 이를 가공하여된 인스턴트(Instant)커피로 크게 구분되는데,
상기 원두커피는 커피원두를 건조하여 볶은 후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하기 위해 밀봉포장상태로 유통시켜, 음용시에만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원두커피를 분쇄하고, 더운물을 첨가하여 분쇄된 원두커피의 성분을 여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는 반면, 원두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원두를 분쇄하는 별도의 분새장치와, 이를 여과하기위한 여과장치와 같은 부수적인 추출장치가 요구되는 취급의 번거로움이 뒤따랐다.
그리하여 특히 야외를 비롯하여 원두의 분쇄 및 추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는 맛과 향이 뛰어난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없는 공간의 제약을 받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인스턴트커피는 원두를 볶아 추출한 커피원액을 농축시켜 진공건조 내지는 냉동건조후 생성된 분말 또는 과립타입의 커피에 더운물만을 첨가하면 사용자가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열풍을 가하여 농축액을 진공증발시킨 진공건조에 의해 생성된 분말타입과,농축액을 동결농축시킨 냉동건조에 의해 생성된 과립(granular)타입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커피는 실내를 비롯한 야외 활동시에도 커피에 더운물만을 첨가하여 곧바로 음용이 가능한 공간의 제약성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근자에는 인스턴트커피를 비롯하여 설탕,프림등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소단위 포장이 개발되어 취급의 용이성을 배가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취급의 용이성이 뛰어난 반면 인스턴트커피는 맛과 향이 원두커피에 비하여 다소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이 처럼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난 반면 취급이 번거로워 음용의 시공간적 제약을 받는 단점과, 인스턴트커피는 음용의 편의성이 증가된 만큼 맛과 향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을 각각 안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맛과 향이 뛰어난 원두커피에 인스턴트커피의 장점인 취급용이성을 더 부가하여 시,공간에 제약을 받지않고 보다 용이하게 원두커피를 즉석에서 음용할 수 있도록한 편익증진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적용된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사용상태중 준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연속한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즉석원두커피음용세트 2;음용컵
10;원두커피 11;여과지
12;추출용기 13;추출링
14;포장지 16;취출공
17;스토퍼 19;수용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적용된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포장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사용상태중 준비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연속한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1)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볶은 열매를 분쇄하여된 분말상태의 커피를 포장한 원두커피(10)와, 원두커피(10)를 여과하여 추출하기 위한 여과지(11)와 추출용기(12) 및 추출용기(12)를 거치하기 위한 추출링(13)을 구비하여 포장지(14)내방에 수납시켜 형성한다.
상기 포장지(14)는 진공흡착포장을 비롯하여 특정형상을 가지는 용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취향과 사용장소등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포장지(14)에 수납되는 추출용기(12)와 추출링(13)은 단일 개수로 구비하여 개인이 독립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거나, 다수 개를 동시에 수납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 사용에 의해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원두커피(10)와 여과지(11)는 추출용기(12)와 추출링(13)이 단일 개수로 구비된다 하더라도 구매자가 반복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다수 개를 구비한다.
이러한 원두커피(10)는 1회사용 적정량을 수납하여 티백(teabag)포장하여 형성되며, 여과지(11)는 여과면적의 최대활용을 위해 전체적으로 주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여과지(11)를 수납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추출용기(12)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된 컵(cup)형상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일정량의 구배를 형성하여 상방의 직경에 비하여 하방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상방 선단에는 외방으로 확장되는 단턱(15)을 형성하여 적층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추출용기(12)는 하방 원주면에 추출되는 커피액이 취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취출공(16)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추출링(13)과의 체결시 방향성 형성 및 유동방지를 위해 단면형상이 삼각을 비롯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스토퍼(17)를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추출용기(12)를 수용하는 추출링(13)은,
추출용기(12)를 음용컵(2)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으로 박형의 원반형을 이루며 중심에는 추출용기(12)의 외경과 상응하는 체결공(18)이 형성되고, 체결공(18) 내측에는 스토퍼(17)와 대응하는 수용홈(19)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1)는,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포장지를 개방하여 적청된 여과지와 추출용기 및 추출링을 분리하고, 이어 적층상태의 여과지중 하나를 추출용기 내방에 수납한다.
상기와 같이 여과지를 수납한 추출용기는 하방 일측을 추출링의 체결공에 삽입하여 고정하며, 이 때 추출용기 외주연에 형성된 스토퍼와 추출링 체결공에 형성된 수용홈이 상호 대응하도록 하여 체결의 용이성과 체결후 추출용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추출용기와 추출링의 체결이 완료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음용컵 상방에 추출링을 거치하여 티백형태로 포장된 원두커피를 여과지 상방에 투입한 후 더운물을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원두커피에 첨가된 더운물은 여과지를 통과하여 추출용기 하방 원주면에 형성된 취출공을 통해 음용컵으로 낙하하여 수용되며, 이러한 더운물의첨가량을 제어하여 원두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 처럼 여과지와 추출용기 및 추출링에 의해 원두커피의 취출이 완료되면 음용컵 상방에 개재된 추출용기와 추출링을 제거한 후 사용자는 취출된 원두커피를 음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는 종래 원두커피를 음용하기 위한 분쇄장치, 여과장치등과 같은 별도의 취출장비없이 실내,외 어디서나 더운물만을 첨가하여 즉석에서 맛과 향이 뛰어난 원두커피를 음용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는 동봉된 원두커피와 여과지, 추출용기 및 추출링을 통해 별도의 취출장비 없이, 더운물만을 첨가하여 즉석에서 맛과 향이 뛰어난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원두커피의 음용시 시,공간적 제약을 삭제하여 원두커피의 대중화를 이룰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말상태의 커피를 티백형태로 포장한 원두커피(10)와, 이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지(11)를 수납하여 커피액을 취출하는 추출용기(12)와,
    상기 추출용기(12)를 음용컵(2)에 거치하기 위한 추출링(13)을 다수 개씩 구비하여 포장지(14)내방에 수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기(12)는 하방 원주면에 추출되는 커피액이 취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취출공(16)을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단면형상이 삼각을 비롯한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스토퍼(17)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링(13)은 박형의 원반형을 이루며 중심에는 추출용기(12)의 외경과 상응하는 체결공(18)과, 체결공(18) 내측에는 스토퍼(17)와 대응하는 수용홈(19)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KR2020010037206U 2001-12-03 2001-12-03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KR200267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06U KR200267366Y1 (ko) 2001-12-03 2001-12-03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06U KR200267366Y1 (ko) 2001-12-03 2001-12-03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366Y1 true KR200267366Y1 (ko) 2002-03-09

Family

ID=7307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206U KR200267366Y1 (ko) 2001-12-03 2001-12-03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4610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tea extract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JPH034817A (ja) 飲料フレーバリングカセット
US20110271845A1 (en) Disposable coffee-brewing device
US6622614B1 (en) Integrated container and infuser apparatus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200267366Y1 (ko)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KR100277216B1 (ko) 휴대용원두커피섭취용기세트
US20040083897A1 (en) Instant coffee-brewing container for preparing freshly brewed coffee
JP3217869U (ja) 氷出し抽出器
JPH0919371A (ja) 茶葉収容機能を備えた携帯用急須
JP3058907U (ja) 携帯用原豆コーヒー飲用容器セット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314520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102337485B1 (ko) 음료추출속도가 향상된 음료추출용기
KR200461353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KR200173523Y1 (ko) 휴대용 원두커피 섭취용기세트
KR200259844Y1 (ko) 인스턴트 원두커피
JPH0752972A (ja) 飲料バック包装体
KR100632785B1 (ko) 일회용 다기 및 이를 이용한 차 제품
JPS583377Y2 (ja) 簡易コ−ヒ−抽出器
KR20230130931A (ko) 리드 프레소 구조
JPS585533Y2 (ja) 簡易コ−ヒ−抽出器
KR200185110Y1 (ko) 찻잔
KR200341752Y1 (ko) 차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