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44Y1 - 인스턴트 원두커피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원두커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44Y1
KR200259844Y1 KR2019990003990U KR19990003990U KR200259844Y1 KR 200259844 Y1 KR200259844 Y1 KR 200259844Y1 KR 2019990003990 U KR2019990003990 U KR 2019990003990U KR 19990003990 U KR19990003990 U KR 19990003990U KR 200259844 Y1 KR200259844 Y1 KR 200259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beans
filter bag
present
i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188U (ko
Inventor
이삼용
Original Assignee
이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용 filed Critical 이삼용
Priority to KR2019990003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4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는 인출끈(114)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원두커피 분말(112)이 채워지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112)은 여과되고, 물은 투과되도록 다공성재질로 구성한 여과봉지(110) 및 내부의 수납공간(124)으로 상기 여과봉지(110)가 내장되며, 기밀이 유지되도록 비닐재로 구성한 겉포장(12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뜨거운 물을 붓는 것 만으로 원두커피가 추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다양한 맛과 향의 원두커피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추출되므로 원두커피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인스턴트 원두커피{GARDEN BEABS COFFEE OF INSTANT TYPE}
본 고안은 커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두커피를 분쇄기로 갈아 만든 원두커피 분말을 여과봉지 내부에 투입시키고, 상기한 여과봉지를 비닐재로 이루어진 겉포장에 넣어 진공상태로 포장함으로써 원두커피의 맛과 향의 손실을 방지하고, 원두커피의 음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인스턴트 원두커피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로부터 커피를 추출한 인스턴트 커피와 원두 커피로 대별되는데, 인스턴트 커피는 커피원두에서 커피성분을 추출하여 냉동건조 등의 공법으로 고형화시킨 것으로, 별도의 추출공정없이 뜨거운 물에 고형분을 용융시켜 즉석에서 음용이 가능하도록 한다.또한, 원두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를 볶은 다음, 이를 다시 분쇄기로 갈아 분말상태로 분쇄한 것을 사이펀(Syphon)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커피성분만을 추출시켜 음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상기한 원두커피는 원두의 종류나 분쇄한 입자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맛과 향을 갖게 되므로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다양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원두커피의 조리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전용의 커피추출기구를 필요로 함으로써 커피의 음용에 많은 불편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음용시 비닐재로 이루어진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겉포장으로부터 원두커피 분말이 내장된 여과봉지를 꺼내 찻잔에 넣은 다음, 뜨거운 물에 의해 커피를 우려냄으로써 원두커피의 다양한 맛과 향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는 인출끈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원두커피 분말이 채워지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은 여과되고, 물은 투과되도록 다공성재질로 구성한 여과봉지; 및내부의 수납공간으로 상기 여과봉지가 내장되며, 기밀이 유지되도록 비닐재로 구성한 겉포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원두커피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겉포장에 여과봉지를 넣어 진공 포장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스턴트 원두커피 110 : 여과봉지
112 : 원두커피 분말 114 : 보조끈
120 : 겉포장 124 : 수납공간
130 : 찻잔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인스턴트 원두커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겉포장에 여과봉지를 넣어 진공 포장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원두커피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인스턴트 원두커피(100)는 원두커피 분말(112)이 채워진 여과봉지(110)와 상기한 여과봉지(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겉포장(120)으로 이루어진다.여기서, 여과봉지(110)는 원두커피 분말(112)의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원두커피 분말(112)은 여과되는 반면, 물은 투과되는 다공성재질의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원두커피 분말(112)로부터 커피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찌꺼기를 여과시키고, 순수한 커피만이 추출되도록 한다.한편, 상기한 여과봉지(110)의 상부에는 인출끈(114)이 부착됨으로써 여과봉지(110)이 인출이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여과봉지(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겉포장(120)은, 내부에 여과봉지(110)의 수납공간(124)이 형성되며, 특히 장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도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비닐재로 구성된다.상기한 겉포장(120)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원두커피 분말(112)이 충전된 여과봉지(110)를 투입시킨 다음, 다시 개방된 상부를 밀봉시킴으로서 내부가 진공을 유지하도록 한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설명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여과봉지(110)에 충전된 원두커피 분말(112)은 커피원두를 분쇄기로써 갈아만들게 되는데, 이때, 커피원두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품에 따라 충전되는 커피원두의 종류 및 입자의 크기를 다양화하여 투입시킨다.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에 따라 원두커피 분말(112)의 투입이 완료되면, 여과봉지(110)의 개봉된 부분을 밀봉시키며, 다시 상기한 여과봉지(110)를 겉포장(12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수납공간(124)으로 삽입시킨다.상기한 과정의 완료에 따라 여과봉지(110)가 겉포장(120)의 수납공간(124)으로 넣어지면, 겉포장(120)의 개구된 부위는 압착하여 진공 포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이 완료된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겉포장(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의 수납공간(124)에 넣어져 있던 여과봉지(110)를 인출시킨 다음, 인출끈(114)을 이용하여 찻잔(130)의 바닥에 펼쳐 놓고, 찻잔(130)내에 대략 80~100℃ 정도의 뜨거운 물을 여과봉지(110) 위에 부어 커피를 추출시킨다.계속해서 대략 1~2분이 경과함에 따라 커피의 추출이 완료되면, 여과봉지(110)의 인출끈(114)을 이용하여 여과봉지(110)를 수 회 흔들어 준 다음, 여과봉지(110)를 찻잔(130)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원두의 향을 느끼면서 커피를 음용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스턴트 원두커피(100)은 커피의 음용과정에서 뜨거운 물을 붓는 것 만으로 원두커피가 추출되므로 종래의 인스턴트 커피에 비해 다양한 맛과 향을 커피를 즐길 수 있다.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인스턴트 원두커피(100)는 별도의 커피추출기구가 불필요하므로 원두커피의 음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상부에는 인출끈(114)이 부착되고, 내부에는 원두커피 분말(112)이 채워지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112)은 여과되고, 물은 투과되도록 다공성재질로 구성한 여과봉지(110); 및
    내부의 수납공간(124)으로 상기 여과봉지(110)가 내장되며, 기밀이 유지되도록 비닐재로 구성한 겉포장(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원두커피.
KR2019990003990U 1999-03-13 1999-03-13 인스턴트 원두커피 KR200259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0U KR200259844Y1 (ko) 1999-03-13 1999-03-13 인스턴트 원두커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90U KR200259844Y1 (ko) 1999-03-13 1999-03-13 인스턴트 원두커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88U KR19990022188U (ko) 1999-06-25
KR200259844Y1 true KR200259844Y1 (ko) 2002-01-09

Family

ID=5475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90U KR200259844Y1 (ko) 1999-03-13 1999-03-13 인스턴트 원두커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88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4610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tea extract
US5806408A (en) Beverage brewing device
AU2004212687B2 (en)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tribution can, also usable for the extemporaneous preparation of beverages by extraction and/or infusion
US20160007795A1 (en)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EP3647227A1 (en) Coffee bean compress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ea bag, using same
US20050247207A1 (en) Drink infusion device having a submersible element &amp; a buoyant retrieval element
KR200259844Y1 (ko) 인스턴트 원두커피
KR20090068445A (ko) 원두커피 티백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원두커피 티백
KR100277216B1 (ko) 휴대용원두커피섭취용기세트
KR101415626B1 (ko) 드립식 음료 추출 용기
US3279926A (en) Individual coffee extractor
KR200480810Y1 (ko) 드립식 음료추출용기
KR200454639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기구
JP3219403U (ja) コーヒーパック
JP2793768B2 (ja) コーヒーバッグ
KR200267366Y1 (ko) 즉석 원두커피 음용세트
JP3076494B2 (ja) コーヒーバッグ
JPH06105748A (ja) コーヒーバッグ及びコーヒー抽出方法
KR20240026038A (ko) 원두커피용 일회용 티백
JPS583377Y2 (ja) 簡易コ−ヒ−抽出器
JPS585533Y2 (ja) 簡易コ−ヒ−抽出器
KR200306270Y1 (ko) 융 또는 종이필터를 사용한 간이 커피제조기
JPH0223555Y2 (ko)
JP3079403U (ja) 簡易ティーメーカー
JPS583373Y2 (ja) 簡易コ−ヒ−抽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15

Effective date: 200206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