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556Y1 - 풀림방지용 볼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용 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556Y1
KR200266556Y1 KR2020010029423U KR20010029423U KR200266556Y1 KR 200266556 Y1 KR200266556 Y1 KR 200266556Y1 KR 2020010029423 U KR2020010029423 U KR 2020010029423U KR 20010029423 U KR20010029423 U KR 20010029423U KR 200266556 Y1 KR200266556 Y1 KR 200266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portion
screw
bolt
presen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익
Original Assignee
김충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익 filed Critical 김충익
Priority to KR2020010029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556Y1/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머리부와, 그 머리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부를 구비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부는 소정 직경의 제1 원기둥부와, 그 제1 원기둥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직경의 제2 원기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원기둥부에는 오른 나사나 왼 나사 중의 어느 한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원기둥부에는 상기 제1 원기둥부에 형성된 나사와 그 회전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인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몸체의 일정 부위까지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연속되는 나머지 일정 부위까지는 왼 나사가 형성되어, 오른 나사 형성부 및 왼 나사 형성부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풀림방지용 볼트{Bolt for preventing loosening}
본 고안은 풀림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볼트 몸체의 일정 부위까지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연속되는 나머지 일정 부위까지는 왼 나사가 형성되며, 각 오른 나사 형성부 및 왼 나사 형성부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가 진동 등에 의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물체를 결합 및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물체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볼트 및 너트는 물체 자체의 흔들림이나 떨림, 혹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과 기온의 변화에 의한 신축성 등의 발생으로 체결력이 감소되고 이러한 외적인 현상으로 자연히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풀림, 즉 체결된 상태에서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종류의 체결수단이 강구된 바 있다. 그 중의 하나로서 와셔(washer)를 들 수 있고, 그 와셔에서도 스프링 와셔 이붙이, 플레인, 와셔붙이너트 등이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홈붙이리머(fluted reamer), 또는 너트에 홈이나 통공을 뚫어 분할핀(split pin)을 체결하거나 상기 홈붙이리머에 스냅링(snap ring)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성 등을 불 수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구성들은 어느 정도 효과가 있기는 하나, 충분히 만족할 만한 수준은 못되고 있다. 즉, 상기 와셔는 풀림을 방지한다고 하나 그 효과가 크지 못하고, 단순히 와셔가 가지고 있는 약간의 신축성으로 볼트 또는 피체결체의 떨림과 신축성을 와셔의 신축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급속한 풀림을 방지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고 있다. 또한, 분할핀에 의한 수단에서는 그 효과가 볼트와 너트의 완전한 분리가 없을 뿐이지 볼트 또는 너트의 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는 않다.
그리고, 새로운 구성으로서는 너트에 톱니를 일체로 구성한 와셔를 일체로 하여 물체와의 결합성을 증대하거나, 와셔와 같이 병행된 톱니로서 풀림을 억제하고 있으나, 이들 역시 전술한 와셔에서 경미하게 진보된 정도이고, 그 효과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체결상태가 쉽게 풀리지 말아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기계류, 자동차, 항공기 등 진동이 많은 구성물에서 체결 볼트 또는 너트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지면 각 구성 장치들의 체결물이 이완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결합상태에서의 운동은 작동불량이 발생되기 쉽고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고장의 요인이 됨과 동시에 사고의 위험성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볼트 몸체에 오른 나사와 왼 나사가 모두 형성되고, 그 오른 나사 형성부 및 왼 나사 형성부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용 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트가 물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볼트가 물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머리부 102...원기둥부
102f...제1 원기둥부 102s...제2 원기둥부
103...와셔 104,105...너트
110...물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머리부와, 그 머리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부를 구비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부는 소정 직경의 제1 원기둥부와, 그 제1 원기둥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직경의 제2 원기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원기둥부에는 오른 나사나 왼 나사 중의 어느 한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원기둥부에는 상기 제1 원기둥부에 형성된 나사와 그 회전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인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기본적으로는 통상적인 볼트의 구조를 갖는다. 즉, 머리부(101)와, 그 머리부(101)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부(102)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볼트에 있어서는 상기 원기둥부(102)의 구조가 통상의 볼트에 있어서의 원기둥부와 다르다. 즉, 본 고안의 볼트에 있어서의 원기둥부(102)는 소정 직경의 제1 원기둥부(102f)와, 그 제1 원기둥부(102f)에서 연장되는 다른 직경의(즉, 제1 원기둥부(102f)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 원기둥부(102s)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원기둥부(102f)에는 오른 나사나 왼 나사 중의 어느 한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원기둥부(102s)에는 상기 제1 원기둥부 (102f)에 형성된 나사와 그 회전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인 나사가 형성된다.
도 2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볼트가 임의의 물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볼트의 원기둥부(102)가 물체(11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원기둥부(102)의 제1 원기둥부(102f)와 제2 원기둥부(102s)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너트(104)(105)가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원기둥부(102f)에는 오른 나사가, 제2 원기둥부(102s)에는 왼 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제1 원기둥부(102f)에는 그 내주면에 오른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104)가 체결되고, 제2 원기둥부 (102s)에는 그 내주면에 왼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너트(105)가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너트들(104)(105)은 물론 본 고안의 볼트와 세트화하여 함께 제작하게 된다. 또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시, 체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103)를 체결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볼트가 물체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제1 원기둥부(102f)와 제2 원기둥부(102s)의 길이가 다양하게 설계 및 제작될 수 있고, 제1 원기둥부(102f)에 나사를 형성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볼트는 진동기계를 비롯하여 기타 다른 기계분야, 건축 및 토목분야 등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림방지용 볼트는 몸체의 일정 부위까지는 오른 나사가 형성되고, 연속되는 나머지 일정 부위까지는 왼 나사가 형성되어, 오른 나사 형성부 및 왼 나사 형성부에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해 쉽게 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머리부와, 그 머리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부를 구비하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부는 소정 직경의 제1 원기둥부와, 그 제1 원기둥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직경의 제2 원기둥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원기둥부에는 오른 나사나 왼 나사 중의 어느 한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원기둥부에는 상기 제1 원기둥부에 형성된 나사와 그 회전 진행방향이 반대방향인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용 볼트.
KR2020010029423U 2001-09-24 2001-09-24 풀림방지용 볼트 KR200266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23U KR200266556Y1 (ko) 2001-09-24 2001-09-24 풀림방지용 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23U KR200266556Y1 (ko) 2001-09-24 2001-09-24 풀림방지용 볼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076A Division KR20020050089A (ko) 2001-09-24 2001-09-24 풀림방지용 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556Y1 true KR200266556Y1 (ko) 2002-02-28

Family

ID=7310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23U KR200266556Y1 (ko) 2001-09-24 2001-09-24 풀림방지용 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5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7685A (zh) * 2018-08-16 2018-11-06 嘉兴同辉汽配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用防锈螺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7685A (zh) * 2018-08-16 2018-11-06 嘉兴同辉汽配有限公司 一种汽车轮毂用防锈螺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4420B2 (ja) 締結具
US5238342A (en) Blind fastener with mechanical thread lock
US20100098511A1 (en) Locking system and fastening elements
US5855463A (en) Bolt and nut thread friction locking device with opposite hand threads with a captured spring or spring lock washer
KR100274755B1 (ko) 축과 회전체의 마찰식 체결구
US4031936A (en) Preassembled spring washer fastener unit
EP3587842B1 (en) Fastening structure
US4086946A (en) Locking nut
JP2018040495A (ja) ロックナット
JPS6261805B2 (ko)
KR200266556Y1 (ko) 풀림방지용 볼트
KR20050111219A (ko) 이완 방지 너트와 그 제조방법
KR20020050089A (ko) 풀림방지용 볼트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200372270Y1 (ko) 볼트의 구조
KR100237318B1 (ko) 풀림방지용 너트
JPH09291924A (ja) ロック付き締結機構
JPS58142061A (ja) 保持リングを備えた予圧ボ−ルねじアセンブリ
KR20060023331A (ko) 풀림방지체결볼트의 구조와 풀림방지체결볼트너트의체결구조
KR200186774Y1 (ko) 나사 풀림 방지용 스크류부재
KR20050096268A (ko) 풀림 방지용 볼트
CN113153886B (zh) 防松螺帽组
JP2019120338A (ja) ねじの緩み止め構造
KR200290521Y1 (ko) 풀림방지용 볼트.
JPH05164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