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038Y1 - 고리형 고정볼트. - Google Patents

고리형 고정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038Y1
KR200266038Y1 KR2020010033548U KR20010033548U KR200266038Y1 KR 200266038 Y1 KR200266038 Y1 KR 200266038Y1 KR 2020010033548 U KR2020010033548 U KR 2020010033548U KR 20010033548 U KR20010033548 U KR 20010033548U KR 200266038 Y1 KR200266038 Y1 KR 200266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olt
bracket
nut
wal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수
Original Assignee
윤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범수 filed Critical 윤범수
Priority to KR2020010033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038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벽 및 실내에 설치하는 가스배관(6)을 벽에 고정부착하기 위한 고리형 고정볼트(1)에 관한 것이다.
가스배관(6)을 벽에 고정하기 위하여는 브라케트(4)를 벽에 부착 시킨후 고정볼트·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종래의 U자형 고정볼트(7)를 사용하여 시공하게 되면 양끝단의 겉나사에 너트(5)를 같은거리 만큼 각각 조여주어야 가스배관(6)이 브라케트(4)에 고정 되도록 되었다.
이에 신속한 배관작업을 하기위하여 고정볼트의 일측끝단을 외측으로 절곡(3)하여 브라케트(4)의 구멍에 걸리도록 하고 반대측 끝단에는 1개의 겉나사(2)를 구비시켜 너트(5)로서 고정하도록 하였다.
이로서 배관(6)을 벽에 고정부착하기 위한 작업시 볼트와 너트의 결합작업 2회중 1회가 단축되므로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해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고리형 고정볼트.{omitted}
본 고안은 배관용 파이프(6)를 벽또는 구조물에 고정부착하기 위한 고정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배관파이프(6)를 벽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브라케트(4)를 벽에 부착시킨후 가스배관(6)을 고정볼트(1)를 이용하여 브라케트(4)에 고정하는 기술이다.
종래에는 브라케트(4)를 벽에 부착시킨후 U자형 고정볼트(7)를 사용하여 배관(6)을 브라케트(4)에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자형 고정볼트(7)는 외형이 알파벳 U자모양을 하고 양끝단에는 겉나사를 구비시켜 도 5와 같이 배관(6)을 U자형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양끝단의 겉나사에 각각 1개씩 2개의 너트(5)를 사용하여 같은 거리를 조여 주어야만 배관(6)이 브라케트(4)에 고정되었다.
브라케트(4)의 바닥면은 벽에 붙어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 고정볼트의 겉나사에 너트(5)를 조립하고 조여주는 것이 쉽지만은 않은 작업이다.
이는 작업환경이 열악한 고층건물의 높은곳 작업시에는 더욱더 어려운 작업으로 작업자의 안전 및 피로도에 악영향을 줄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7)의 양쪽끝단의 겉나사를 가공하여야 하고 2개의 너트(5)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고정볼트의 가격은 비경제적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6)을 고정부착하는 작업시 겉나사(2)에 너트(5)를 조립하는 작업을 2회에서 1회로 단축시켜 신속한 배관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주기 위하였으며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또한 고정볼트의 나사가공 공정을 2회에서 1회로 줄여주고 1개의 너트(5)를절약할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도 1 은 본 고안물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물의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물의 결합방법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물의 사용상태 평면도.
도 5 는 종래의 U 자형 고정볼트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물의 일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리형 고정볼트 2. 겉나사
3. 절곡부 4. 브라케트
5. 너트 6. 배관용 파이프
7. 종래의 U자형 고정볼트 8. 가스계량기
본 고안에 따르면 고리형 고정볼트(1)은 일측의 끝단을 외측으로 절곡(3)하고 반대측 끝단에는 겉나사(2)를 구비시키며 내측으로는 배관용 파이프 (6)가 설치될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하 본 고안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물의 정면도로써 일측은 너트(5)와 상대되어 조립되어 지는 겉나사(2)를 구비하며 반대측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를 구비한다.
이절곡부(3)는 브라케트(4)의 구멍에 삽입되어 눕혀지면 구멍의 내경보다 길게 되어 종래의 U자형 고정볼트(7)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볼트·너트중 일측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도2는 본고안물을 사용하여 배관(6)을 브라케트(4)에 고정한 상태로서 1개의 너트(5)만을 사용하여도 배관이 고정되도록 하였다.
도3은 본고안물을 브라케트(4)의 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작업공정도이다.
먼저 절곡부(3)를 브라케트의 구멍에 삽입한후 절곡부(3)를 흰지축으로 배관(6)의 외측을 감싸게 돌려 브라케트의 나머지 구멍으로 겉나사(2)부가 삽입되도록 한후 1개의 너트(5)로서 체결조립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도5는 종래의 U자형 고정볼트(7)를 사용한 상태도로서 양쪽끝단에는 각각 겉 나사 가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겉나사에는 각각 1개씩 2개의 너트(5)가 사용되어지며 같은 거리로 조여주어야만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지도록 되어져 있다.
이로써 본 고안물을 사용하여 시공하면 작업자의 작업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여 배관 고정작업을 한다면 볼트와 너트 결합작업 2회 중 1회를 단축시킴으로서 신속한 배관작업을 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볼트의 겉 나사 제조과정 1회와 1개의 너트(5) 사용을 줄여줌으로서 가격은 저렴해 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관용 파이프(6)를 브라케트(4)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끝단은 브라케트(4)의 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절곡부(3)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볼트의 반대측 끝단은 너트(5)와 상대되어 조립되어지는 겉나사(2)가 구비되며,
    배관용 파이프(6)의 외측을 감쌀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고리형 고정볼트(1),
KR2020010033548U 2001-11-01 2001-11-01 고리형 고정볼트. KR200266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48U KR200266038Y1 (ko) 2001-11-01 2001-11-01 고리형 고정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48U KR200266038Y1 (ko) 2001-11-01 2001-11-01 고리형 고정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038Y1 true KR200266038Y1 (ko) 2002-02-27

Family

ID=7311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548U KR200266038Y1 (ko) 2001-11-01 2001-11-01 고리형 고정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0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08A2 (ko) * 2009-05-27 2010-12-02 주식회사 석강 조립식 휀스
CN102439251A (zh) * 2009-05-27 2012-05-02 石岗株式会社 组装式栅栏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08A2 (ko) * 2009-05-27 2010-12-02 주식회사 석강 조립식 휀스
WO2010137808A3 (ko) * 2009-05-27 2011-03-31 주식회사 석강 조립식 휀스
CN102439251A (zh) * 2009-05-27 2012-05-02 石岗株式会社 组装式栅栏
KR101182817B1 (ko) * 2009-05-27 2012-09-13 이대영 조립식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7770A (en) Sway brace for piping
KR200266038Y1 (ko) 고리형 고정볼트.
KR200406563Y1 (ko) 입상배관 고정용 일체형 고정틀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US6502363B1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a channel member
JP2001025145A (ja) 避雷針における避雷突針の支持構造
JP2014152793A (ja) 組立式吊りバンド及び立てバンド
JP2783966B2 (ja) スプリンクラー配管及びスプリンクラー配管の施工方法
KR200197233Y1 (ko) 파이프 행거
JP3955511B2 (ja) ケーブル架設装置
KR101904290B1 (ko)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JP4557150B2 (ja) 空気調和機
KR200314051Y1 (ko) 물탱크용 연결관
JPH0560283A (ja)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部品
KR20110006975U (ko)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0332896Y1 (ko) 가스배관 고정장치
KR200403584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KR012273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JPH0838641A (ja) スプリンクラー配管
KR200266356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KR200267855Y1 (ko) 교차결합 고정뭉치.
KR0136251Y1 (ko) 브라켓이 설치된 파이프 연결용 유니언
JPH0732111U (ja) 建築用手摺り支柱の取付金具
JPH1019309A (ja) 組立式多目的架台
JPH011186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