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37Y1 -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37Y1
KR0122737Y1 KR2019950026329U KR19950026329U KR0122737Y1 KR 0122737 Y1 KR0122737 Y1 KR 0122737Y1 KR 2019950026329 U KR2019950026329 U KR 2019950026329U KR 19950026329 U KR19950026329 U KR 19950026329U KR 0122737 Y1 KR0122737 Y1 KR 0122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door unit
connector
air condition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286U (ko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6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37Y1/ko
Publication of KR970014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열교환기의 고압 및 저압파이프를 밀봉하고 실내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실외기와 배관시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연결관의 형상변경을 통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연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실내기의 케이스에 보조브라켓과 브라켓에 의해 설치되는 연결관의 선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관 외측 선단에 후레어 너트 작업이나 배관작업시 작업측과 연동되지 않게 별도의 공구로 잡아 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실내기의 케비티내에 배관된 열교환기의 고저압파이프의 선단에 배관되는 열결관의 일측단부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 연결관을 고정하는 실내기의 통공과 고정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단부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체결공를 형성하여 견고히 지지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배관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과 작업속도를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제1도 (a)(b)(c)는 종래의 연결관 고정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와 부분 단면도 및 그 분해 사시도,
제2도 (a)(b)(c)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연결관 고정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와 부분 단면도 및 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에 연결관을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케비넷 31:통공
32, 32':체결공 40, 40':연결관
41, 41':일측단부 50:고정브라켓
51, 51':체결공 60, 60':후레어 너트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가 배관용 연결돤 고정구조,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열교환기의 고압 및 저압파이프를 밀봉하고 실내기의 외부로 돌출되어 실외기와 배관시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연결관의 형상변경을 통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연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은 그 내측에 조립된 열교환기의 고압 및 저압파이프를 실외기에 배관할 때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열교환기에 봉입된 가스를 밀봉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1도는 상기 연결관을 실내기의 케비넷에 고정한 종래 기술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 고압 및 저압파이프(2)(3)의 단부가 위치되는 케비넷(1)에 적당한 크기의 통공(1')을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2)(3)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관(10)(10')을 지지하는 보조브라켓(21)과 이 보조브라켓을 고정하는 브라켓(20)을 상기 통공(1')에 복개되게 결합하였다.
상기 케비넷(1)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관(10)(10')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1)(11')가 형성되고, 그 외측단에는 파이프(2)(3)를 밀봉하는 후레어 너트(13)(1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10)(10')의 내측단에 형성된 원통부(12)(12')는 보조브라켓(21)을 관통하여 지지된 상태에서의 파이프(2)(3)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를 설치할 때에 케비넷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관(10)(10')의 실내기와 실외기에 관을 배관하여 연결하게 된 것이다.
배관작업시, 케비넷(1)의 외부로 돌출된 연결관(10)(10')의 후레어 너트(13)(13')를 풀거나 실외기에 연결되는 관을 이어주기 위해서 연결관의 외부면에 형성된 플렌지(11)(11')를 하나의 공구로 고정시킨 후 또다른 하나의 공구를 이용해야 됨으로써 조립공정과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하나의 공구를 이용하여 무리하게 너트를 풀거나 배관작업을 할 경우에는 연결관 혹은 그 내측에 연결된 파이프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공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배관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관의 일측단부와 이 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부분의 브라켓을 서로 상응하는 다각형으로 제작하여 고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실내기의 케비티내에 배관된 열교환기의 고저압파이프의 선단에 배관되는 연결관의 일측단부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 연결관이 고정되는 실내기의 통공과 고정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단부와 상응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견고히 지지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배관작업을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의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와 부분단면도 및 그 분해 사시도로, 증발기(도시하지 않았음)의 고저압관(33)(34) 선단에 나사 결합하는 복수의 연결관(40)(40')은 실내기의 케비넷(30) 일측에 형성된 통공(31)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40)(40')의 일측단부(41)(41')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며, 이 일측단부와 단면을 같이하는 복수의 체결공을 케비넷(30)에 형성하여 연결관(40)(40')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연결관(40)(40')의 일측단부(41)(41')가 삽입 착설되게 케비넷(30)에 체결공의 일측(32)(32')을 형성하며, 이 체결공의 다른 일측(51)(51')은 고정브라켓(50)에 형성하여 상기 일측단부(41)(41')의 반대편을 지지하게 케비넷(30)의 특공(31)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의 통공(31)과 고정브라켓(50)이 형성하는 체결공에 연결관(40)(40')의 일측단부(41)(41')의 외주면의 각면이 맞물려 강한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연결관(40)(40')의 선단에서 증발기의 밀봉을 위한 후레어 너트(60)(60') 작업이나 관의 배관작업시에 각면에서 마찰력을 생성하여 이들과 같이 연동되지 않게 하여 작업축 공구만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대, 일측단부의 외주면은 회전력에 대해 마찰력을 크게 생성할 수 있는 마름모형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이 일측단부(41)(41')의 앞뒤에는 각각 돌기(42)(42)(42')(42')를 형성하여 연결관(40)(40')이 케비넷(30)의 내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케비넷과 고정브라켓에 각각 체결공을 나눠 형성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케비넷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에 체결공의 양측을 나눠 형성하는 등 여러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는 제3도와 같이 작동한다.
공기조화기를 가정등에 설치시, 실내기 케비넷(30)에 일측에 설치된 연결관(40)(40')의 외측 선단에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증발기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체결된 후레어 너트(60)(60')를 공구로 풀고 여기에 실외기(도시하지 않았음)와 연결되는 관(도시하지 않았음)을 배관한다.
이때 공구의 회전방향으로 연동하려는 연결관(40)(40')은 다각형의 일측단부(40)(40')가 케비넷(30)과 고정브라켓(50)의 체결공(32)(32')(51)(51')에 맞물려 강한 마찰력으로 잡아주게 되어, 별도의 공구로 이를 잡아주지 않고도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이며 작업속도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연결관 고정구조는 연결관이 배관작업시 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연동되지 않게 잡아주어 하나의 공구로 배관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과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며, 기기의 파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기조화기의 케비넷(30)에 형성된 통공(31)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등의 관(33)(34)과 다른 요소와의 연결기능을 제공하는 연결관(40)에 있어서, 이 연결관(40)의 일측단부(41)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이 일측단부(41)와 단면을 같이하는 체결공을 케비넷(3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의 일측(32)는 케비넷(30)에 형성되고, 다른 일측(51)은 케비넷(30)의 통공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50)에 각각 나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케비넷(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에 상기 체결공의 양측(32, 51)이 나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40)의 일측단부(41)의 외주면이 마름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간(40)의 일측단부(41)의 앞뒤로 돌기(4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KR2019950026329U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KR0122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29U KR0122737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329U KR0122737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286U KR970014286U (ko) 1997-04-28
KR0122737Y1 true KR0122737Y1 (ko) 1998-08-17

Family

ID=1942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329U KR0122737Y1 (ko) 1995-09-27 1995-09-27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28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844B2 (ja) 角度をなすように配向された空洞を有する管継手セグメント
JPH07269750A (ja) 配管接続装置
KR012273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외기 배관용 연결관 고정구조
US5636491A (en) Frame construction with several rod elements
CN109268590B (zh) 一种管接头防松脱装置
US6453517B1 (en) Fastening clamp for joint portion of oblong hoses
JPH06170008A (ja) 消火スプリンクラー配管構造
JP2527462Y2 (ja) 配管カバー継手
JP3471926B2 (ja) 浴槽接続金具用連結工具
KR200266038Y1 (ko) 고리형 고정볼트.
JPH0136063Y2 (ko)
JP2003106324A (ja) 角根付ボルト用座金
CN214008447U (zh) 位置可调三通接头
JP3005832U (ja) 空調用分岐管
KR200266356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JPS5849013Y2 (ja) 空調配管用ダクトの構造
JP3103189U (ja) 管体の端部に結合し得る部材
KR200187865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구의 파이프행어와 연결부재 체결상태고정구조
KR200403584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KR200245593Y1 (ko) 배관 연결구
JPH094943A (ja) 空調サービスバルブ
JPH0449514Y2 (ko)
KR200347069Y1 (ko) 에어컨 동관 고정대
JPH0247342Y2 (ko)
JPH01206187A (ja) 配管端末部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