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75Y1 -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 Google Patents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75Y1
KR200265775Y1 KR2020010037040U KR20010037040U KR200265775Y1 KR 200265775 Y1 KR200265775 Y1 KR 200265775Y1 KR 2020010037040 U KR2020010037040 U KR 2020010037040U KR 20010037040 U KR20010037040 U KR 20010037040U KR 200265775 Y1 KR200265775 Y1 KR 200265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eck
hull
boat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기
Original Assignee
보고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고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보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10037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75Y1/ko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터보트의 급기동시나 급정거시 트램섬을 넘어 물이 데크로 역류하여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모터보트는 해수면에 잠기는 선체(Hull)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갑판(Deck)으로 이루어지고, 모터에 의하여 추진력을 얻으며, 상기 모터가 위치한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나머지 삼면은 폐쇄된 "ㄷ"자형 격벽인 모터웰이 선미에 장착되어 급기동시나 급정거시 트랜섬을 넘어 물이 갑판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터웰의 양측면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데크 상부로 넘쳐 들어오는 물을 상기 데크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펌프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motorboat equipped with motor-wall}
본 고안은 모터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터보트의 급기동시나 급정거시 트램섬을 넘어 물이 데크로 역류하여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보트는 내연기관으로 추진되는 소형선박으로, 구조정(救助艇), 소방정(消防艇), 순시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모터보트는 속력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고려한 갖가지 선형(船型)이 채택되고 있다. 보통의 기동정에서는 선체의 무게와 같은 물을 배제하여, 전진할 때 물을 가르고 전진하는 배수정이지만, 고속의 경주정(競走艇) 에서는 활주정(滑走艇:hydroplane)을 채택하고 있다. 배가 달리기 시작하면 수압력 때문에 전저(前底)를 수상에 노출하고 후저(後底)는 수상에 접해서 활주한다. 배의 밑바닥은 평평하며 후부가 전부보다 낮고, 스텝(step)이라고 하는 단(段)을 붙여서 물의 저항을 줄임으로서 시속 100 km 이상의 쾌속을 낸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보트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보트의 트랜스섬에 추진력을 얻는 모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모터보트가 급기동을 하거나 급정거시에는 모터의 프로펠러에 의하여 생긴 파도에 의하여 상기 모터보트 데크 상부로 물이 넘쳐 흘러들어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체 내에 흘러들어온 물을 선체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흘러들어온 물이 가장 많이 고이는 트랜스섬의 선체내에 배수호스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간편하도록 상기 배수펌프는 데크에 장착하는데, 배수펌프를 설치하는 적합한 장소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터보트가 급기동을 하거나 급정거시에 데크 상부로 물이 넘쳐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펌프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모터웰의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모터보트, 30:헐,
50:데크, 70:모터,
510:모터웰, 520:배수펌프,
530:배수구
이러한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해수면에 잠기는 선체(Hull)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갑판(Deck)으로 이루어지고, 모터에 의하여 추진력을 얻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는, 삼면은 폐쇄된 "ㄷ"자형 격벽인 모터웰이 선미에 장착되어 급기동시나 급정거시 트랜섬을 넘어 물이 갑판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모터웰의 양측면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선체 내부에 흘러들러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가 상기 모터웰에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따른 모터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모터보트는 해수면에 잠기는 헐(Hull, 30)과 상기 헐(30)의 상부에 장착되는 데크(Deck, 50) 등으로 이루어지고, 트랜섬에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모터(70)가 한 쌍으로 장착된다.
상기 데크(50)의 후미에는 일정높이로 "ㄷ"자형의 모터웰(510)이 장착되는데 상기 한 쌍의 모터(70)가 장착되는 부위로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데크월(510)에는 배수펌프(520)가 장착되어 상기 헐(30) 내부에 흘러들어오는 물을 배수호스(540)를통하여 선체 밖으로 배수한다.(도3 참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헐 내부에 있는 물을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상기 모터웰에 배수하고, 배수되어 상기 모터웰에 있는 물은 배수구(530)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도 있지만, 상기 배수펌프에 의하여 선체 외부로 직접 배출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터보트가 급기동을 하거나 급정거시에 데크 상부로 넘쳐 들어오는 물을 상기 데크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펌프 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가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해수면에 잠기는 선체(Hull)와 상기 선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갑판(Deck)으로 이루어지고, 모터에 의하여 추진력을 얻는 모터보트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위치한 방향으로는 개방되고, 나머지 삼면은 폐쇄된 "ㄷ"자형 격벽인 모터웰이 선미에 장착되어 급기동시나 급정거시 트랜섬을 넘어 물이 갑판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웰의 양측면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흘러들러온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가 상기 모터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KR2020010037040U 2001-11-30 2001-11-30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KR200265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40U KR200265775Y1 (ko) 2001-11-30 2001-11-30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40U KR200265775Y1 (ko) 2001-11-30 2001-11-30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75Y1 true KR200265775Y1 (ko) 2002-02-25

Family

ID=7307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40U KR200265775Y1 (ko) 2001-11-30 2001-11-30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599B1 (en) Jet drive propulsion system for a pontoon boat
US7182033B1 (en) Self-contained marine propulsion system for a pontoon boat
JPH02147491A (ja) 小型ジェット推進艇の排水装置
US5911187A (en) Pontoon
US4635582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capsized boat from sinking
JPH05319386A (ja) 船舶推進機
KR200265775Y1 (ko) 모터웰이 장착된 모터보트.
US4708087A (en) Outboard motor mounting device
US4895095A (en) Outboard motor mounting device
US5699750A (en) Self-bailing watersprite with positive buoyancy
CN101243247A (zh) 船舶推进发动机
JPH01148695A (ja) 船舶推進機のアイドル音低減装置
US5317982A (en) Ship
US8813672B2 (en) Swimming platform for a boat
US6283807B1 (en) Anti-splash device for marine outboard drive
JP3245023B2 (ja) 水ジェット推進艇の船底構造
JPH10203470A (ja)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高速船
JP2002019687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水中翼船
JPH07277267A (ja) 摩擦抵抗低減装置付き船舶
JP2005105859A (ja) 船外機
US11964732B2 (en) Marine surface vessel comprising an air ventilated hull
JPH0195991A (ja) 船の竜骨に長手方向に取付けられたタンク
RU2176608C2 (ru) Быстроходное судно
JP3276335B2 (ja) 小型滑走艇の排気管
KR200184135Y1 (ko) 모터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