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454Y1 -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454Y1
KR200264454Y1 KR2020010035978U KR20010035978U KR200264454Y1 KR 200264454 Y1 KR200264454 Y1 KR 200264454Y1 KR 2020010035978 U KR2020010035978 U KR 2020010035978U KR 20010035978 U KR20010035978 U KR 20010035978U KR 200264454 Y1 KR200264454 Y1 KR 200264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electrode
combustion chamber
electrode assembly
ai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범기
Original Assignee
백범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범기 filed Critical 백범기
Priority to KR202001003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454Y1/ko

Links

Landscapes

  • Pressure-Spray And Ultrasonic-Wave- Spray Bur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에 장착되어 초기 점화를 위해 불꽃을 일으키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있어서, 그 선단이 서로 근접되어 전원 인가에 의해 방전 불꽃을 발생하는 음극단자와 양극단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원 케이블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전극봉과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일체화하여, 연소실의 일측에 고정하는 것으로,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연소용 기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만곡면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그 몸체를 만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통과 단면적을 증대시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며, 또한 공기 유입에 따른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공기 저항을 줄임으로써 보일러 초기 점화의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초기 점화 성공 후 화염 유지의 안정적 지속으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기에 열 효율의 개선 및 에너지 절약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Electronode assembly for boiler reducing air resistance}
본 고안은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 연소실 내에서 전극봉의 방전에 의한 초기 점화 및 그 이후에 형성된 화염을 유지하기 위해,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연소용 기체의 저항을 줄이며, 그 기체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도록 전극봉을 감싸고 있는 몸체의 면을 만곡면으로 형성한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 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의 연소 동작은, 사용자의 보일러 시동후,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공급되어 전극봉의 전압차에 의한 방전으로 불꽃이 일어나고, 이 불꽃은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가스 상태의 연료에 점화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화염은 송풍팬으로부터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류 및 연료의 계속적인 공급에 따라 지속되는 한편, 연소 후의 유독 가스는 배기 가스 배출구를 통하여 연소실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의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보일러 내부 연소실에서의 연소 동작에 있어서, 전극봉을 둘러싸는 몸체 부분이 볼록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봉의 방전으로 인한 불꽃의 형성과, 연료 분사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상태의 연료가 점화되어 화염을 일으키는 초기 점화 및 그 이후의 화염 유지에 있어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볼록형 몸체 구성부에 의해 공기 저항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소실 내에서의 초기 점화 및 그로 인해 형성된 화염이 계속 유지되기 위해서는, 연소실 내부로 외부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돼야만 하며, 이 공기류는 보일러의 열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소 효율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그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이 볼록형으로 구성되었기에 연소실 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연소용 기체의 흐름에 저항을 형성함으로써, 보일러 내에서의 초기 점화의 안정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초기 점화 성공후의 화염 유지 측면에서도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연소실 내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연소용 기체의 흐름을 원활히 유도할 수 있도록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몸체를 구성함으로써, 연소실 내에서의 초기 점화의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초기 점화 성공 후 화염 유지 측면에서의 연소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가 설치된 연소실 내부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2 : 전극봉
3 : 전원 입력 단자 4 : 몸체
5 : 고정공 6 : 만곡면
10 : 연소실 11 : 버너
12 : 플랜지 13 : 하우징부
14 : 연료 분사 노즐 15 : 버너 노즐 조립체
16 : 연료 수송관 17 : 제어장치
18 : 접속장치 19 : 모터
20 : 송풍팬 21 : 공기 유입구
22 : 변압기 23 : 하우징
24 : 배출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연소실 내에 장착되어 초기 점화를 위해 불꽃을 일으키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있어서, 그 선단이 서로 근접되어 전원 인가에 의해 방전 불꽃을 발생하는 음극단자와 양극단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원 케이블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전극봉과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일체화하여, 연소실의 일측에 고정하는 것으로,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연소용 기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만곡면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그 중앙이 연소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재질은 내열성 에폭시 수지재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그 구성 몸체를 만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소실 내부에 장착될 때,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기체와 상기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와의 마찰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연소실 내부의 원활한 공기의 흐름은 초기 점화의 안정성 및 그 이후의 화염 유지 측면에서 보일러의 연소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가 설치된 연소실(10)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고,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극단자와 양극단자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들 양 단자 끝단에서 전압차에 의한 방전으로 불꽃을 일으키는 강(steel) 재질의 전극봉(2)과, 상기 전극봉(2)의 각 단자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외부 변압기로부터의 케이블과 연결 고정되는 전원 입력 단자(3)와, 상기 전극봉(2)과 상기 전원 입력 단자(3) 사이를 일체화하며, 연소실 내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몸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의 몸체(4)는 에폭시 수지재로 구성되어 내열성을 가지며, 전극봉(2) 사이의 면을 만곡면(6)으로 형성함으로써 연소실 내에서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4)의 만곡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공(5)이 형성되어 있어 연소실 일측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연소실(10)의 내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보일러는 분무식 버너(11)를 갖고 있다. 이 분무식 버너(11)는 플랜지(12)에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랜지(12)는 하우징부(13)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분무식 버너(11)는 연료 분사 노즐(14)을 갖고 있으며, 이 연료 분사 노즐(14)은 버너 노즐 조립체(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버너 노즐 조립체에는 전극봉 조립체(1)의 몸체(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5)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봉 조립체(1) 선단의 전극봉(2)은 연료 분사 노즐(14)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연료 분사 노즐(14)에 연료 공급을 하기 위해서 하우징부(13)의 플랜지(12)에는 연료 수송관(16)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연료 수송관(16)은 자체에 공급관 및 수송관(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 공급관은 여과기(17)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료 펌프(18)의 상류에 위치하여 연료 분사 노즐(14)에 연결된다.
이하, 도 2에 나타난 연소실(10)의 개략적 구성에 따라 그 내부에서의 연소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보일러를 구동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은 제어장치(17)를 작동시키고, 이 제어장치(17)는 접속장치(18)를 작동시킴으로써, 그 접속장치(18)에 연결된 연소용 모터(19), 전극봉 조립체(1) 및 기타 여러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모터(19)는 송풍팬(20)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연료 펌프(18)를 작동시킨다. 연소용 공기는 송풍팬(20)에 의해 입구(21)로 유입되어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고, 동시에 공급 연료는 공급관(16)을 통해 유입되어 연료 펌프(17)에 의해 연료 분사 노즐(14)에 다다른다. 이 때, 접속장치(27)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변압기(22)를 거쳐 하우징(23) 내부로 케이블 접속된 전극봉 조립체(1)의 전원 입력 단자(3)로 흘러 들어와 전극봉(2)에서 방전을 일으켜 불꽃을 일으키면, 연료 분사 노즐(14)로부터 분출하는 기화 상태의 연료는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실(10) 내의 화염은 연료 분사 노즐(14)로부터의 기화 연료와 송풍팬(20)으로부터 연소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류에 의하여 화염이 지속되어 연소가 가능하며, 연소된 가스는 배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동작 원리에 의해 전극봉(2)으로부터의 초기 점화가 일어나게 되면, 연소실(10) 내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류와 연소용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보일러로부터 얻어지는 열의 강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는, 전극봉(2)과 전원 입력 단자(3) 사이의 몸체(4)의 상부면을 만곡면(6)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연소실(10) 내의 공기류 통과 단면적을 증대시키며, 연소실(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류와 접촉시 종래의 볼록형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비하여 그 내부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1)의 전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 예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는, 그 몸체가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전극봉이 설치되는 연소실 내에서 유입되는 공기류의 통과 단면적을 증대시켜 보다 많은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였다. 또한, 만곡면으로 형성된 몸체는 연소실 내의 공기 유입에 대한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의 공기 저항을 줄여 원활한 유입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보일러 초기 점화의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초기 점화 성공후의 화염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일러의 연소 효율을 최대화하는 것과 동시에 열 효율의 개선 및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게 한다.

Claims (3)

  1. 연소실 내에 장착되어 초기 점화를 위해 불꽃을 일으키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에 있어서,
    그 선단이 서로 근접되어 전원 인가에 의해 방전 불꽃을 발생하는 음극단자와 양극단자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전극봉;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외부 전원 케이블을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봉의 각 단자의 후단에 결합되는 전원 입력 단자; 및
    상기 전극봉과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일체화하여, 연소실의 일측에 고정하는 것으로, 연소실 내로 유입되는 연소용 기체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만곡면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중앙이 연소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내열성 에폭시 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KR2020010035978U 2001-11-22 2001-11-22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KR200264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78U KR200264454Y1 (ko) 2001-11-22 2001-11-22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978U KR200264454Y1 (ko) 2001-11-22 2001-11-22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454Y1 true KR200264454Y1 (ko) 2002-02-19

Family

ID=7311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978U KR200264454Y1 (ko) 2001-11-22 2001-11-22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4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21B1 (ko) 2008-03-12 2010-05-17 이동호 보일러용 점화플러그가 포함된 내염버너장치
KR102128451B1 (ko) 2019-09-11 2020-06-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전극보일러에 사용되는 표면적 확장형 전극봉과 그 제조방법
WO2020230948A1 (ko) * 2019-05-14 2020-11-19 신희섭 열교환기용 전극부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21B1 (ko) 2008-03-12 2010-05-17 이동호 보일러용 점화플러그가 포함된 내염버너장치
WO2020230948A1 (ko) * 2019-05-14 2020-11-19 신희섭 열교환기용 전극부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2182581B1 (ko) * 2019-05-14 2020-11-24 신희섭 열교환기용 전극부 및 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CN114026372A (zh) * 2019-05-14 2022-02-08 辛熙燮 热交换机用电极部及利用其的电锅炉
CN114026372B (zh) * 2019-05-14 2023-05-30 辛熙燮 热交换机用电极部及利用其的电锅炉
KR102128451B1 (ko) 2019-09-11 2020-06-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전극보일러에 사용되는 표면적 확장형 전극봉과 그 제조방법
CN112492716A (zh) * 2019-09-11 2021-03-12 明宝能源株式会社 用于电极锅炉的表面积扩张型电极棒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5328A (en) Ignition apparatus using electrostatic nozzle and catalytic igniter
KR200264454Y1 (ko) 공기 저항을 줄이는 보일러용 전극봉 조립체
KR101391212B1 (ko) 점화 전극용 보호 요소를 구비한 버너
CN101109518A (zh) 一种工业燃烧器点火枪
JP4480327B2 (ja) ガスタービンのバーナ用の改良された液体燃料インジェクタ
JPH09126419A (ja) 石油燃焼機器
RU2229062C2 (ru) Запальная горелка с калильным зажиганием
JPH09161946A (ja) 内燃機関の点火栓
JP4075837B2 (ja) 圧力噴霧式石油燃焼機の空気供給構造
CN219530847U (zh) 一种高压引射式点火燃烧器
RU2213299C1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CN219735316U (zh) 集成的、独立强制配风、外混式燃气点火燃烧器
CN201129748Y (zh) 一种工业燃烧器点火枪
CN219607073U (zh) 集成的、独立强制配风、内混式燃气点火燃烧器
KR20020012720A (ko) 액체연료 연소장치용 버너
KR20010009896A (ko) 젯 펌프를 구비한 공업로용 가스 연소기
KR960006044Y1 (ko) 혼기식(고압, 저압) 버너와 그 점화장치
JP2003329215A (ja) ガンタイプバ−ナの点火電極
KR200141457Y1 (ko) 버너의 1차공기 공급장치
SU1288451A2 (ru) Запальна горелка
JP3475632B2 (ja) 燃焼装置
JP2587257Y2 (ja) ブタンガスを燃料とするバーナー式省エネルギーライター
KR0133632Y1 (ko) 가스렌지용 압전점화장치
JPH02309104A (ja) パルス燃焼器
KR100199815B1 (ko) 난방기의 기화가스 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