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325Y1 -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 Google Patents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325Y1
KR200264325Y1 KR2020010032616U KR20010032616U KR200264325Y1 KR 200264325 Y1 KR200264325 Y1 KR 200264325Y1 KR 2020010032616 U KR2020010032616 U KR 2020010032616U KR 20010032616 U KR20010032616 U KR 20010032616U KR 200264325 Y1 KR200264325 Y1 KR 200264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ad
waterproof
soundproofing
resi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2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325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 옥상 하자 보수시공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억제, 보호콘크리트와 방수층사이의 파손 및 분리로 인한 누수방지를 해결하고 방진 효과 및 방음 효과를 가지는 다기능성 공법을 완성하기 위하여 고밀도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고, 유리 섬유로 보강된 고성능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하부로부터 차례로 고밀도 부직포(10a), 합성수지 시트(10b), 유리 섬유(10c) 및 합성수지 시트(10d)가 열융착에 의하여 적층되어 구성된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Synthetic resin pad for anti-vibrating, waterproofing and soundproofing}
본 고안은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 등에서 누수 등에 의한 하자 발생시이음 부위의 기능을 강화하고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옥상에 적용함으로써, 옥상 구조의 방진, 방음 및 방수의 다기능성을 유지하게 하고 시공시에는 폐 콘크리트 발생의 억제, 시공과정의 간소화 및 시공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 합성수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하자원인은 세월의 경과 및 기후변화에 의한 균열과 건축물 자체의 균열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에 있다.
전자의 경우, 방수의 하자발생은 시공 후 오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호 콘크리트의 표면이 벗겨지거나 부식되고 파손되어, 그 파손된 틈으로 물이 스며들고 보호 콘크리트층에 스며든 물은 기후에 따라 수축팽창하면서 모체 콘크리트, 방수층까지 2차 균열을 발생시켜 슬라브 옥상의 균열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점점 더 많은 물이 누수되는 원인이 되었다.
후자의 경우, 구조상 지반이 일정하지 못해서 균형 상태와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균열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보통 벌어진 간격이 0.2㎜를 초과할 경우에 보수의 대상이 되며 이러한 균열은 일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벌어진 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고, 새로운 균열을 발생할 수도있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는데 슬라브와 벽체의 파손된 부위를 따라 벽에 물이 스며들면, 당장 불편한점 이외에도 철근을 녹슬게 하여 건물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슬라브 옥상모체에 균열이 발생되어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수공사로 방수시공을 하여야 하는데, 방수할 부위와 기존 모체의 재질, 용도 등에 따라 아스팔트방수공법 액체방수 공법, 도막방수공법 등의 다양한 공법과 수단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들은 모두 기본 모체의 표면에 아스팔트, 시멘트 액체 또는 합성고분자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슬라브에 접착 형성시킴으로써 방수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기본 모체와 방수층의 결합력이 미약하고, 특히 외기온도의 변화, 실내온도와 외기온도의 차이, 직사일광 등에 의해 방수층의 수축, 박리팽창 등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됨에 따라 재차 균열이 발생하고, 시멘트의 가수분해로 소석회가 유출(백화현상)되어 강도가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외부의 진동이나 소음에 의한 방진 방음 기능이 전혀 없으므로 방진 방음 공법을 별도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하자 보수시 기존 보호 콘크리트층과 방수층을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만 방수작업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이 경우 보수 작업이 까다로워질 뿐만 아니라 철거후 발생하는 폐기물은 단열재 및 방수시트가 함께 혼재돼 있어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 만 아니라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도 상당한 양이어서 지정된 장소에 폐기하여야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새로운 비용도 발생하고, 버려진 폐기물은 썩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토양 등에 묻혀 있으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시공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지 않는 노출형 방수공법이 현재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출식 방수공법은 보호 콘크리트의 바탕면 정리를 하고 접착제로 사용하는 프라이머 및 도막방수제 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방수층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방수층 밑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번지게 된다.
따라서, 일부분의 하자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확대되므로 일정한 하자부위를 식별할 수 없어 재차 발생한 하자보수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기존 방수 공법은 물을 막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진동이나 소음에는 아무런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 옥상 하자 보수시공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억제, 보호콘크리트와 방수층사이의 파손 및 분리로 인한 누수방지를 해결하고 방진 효과 및 방음 효과를 가지는 다기능성 공법을 완성하기 위하여 고밀도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고, 유리 섬유로 보강된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 패드의 기능을 보강하여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의 하부표면에는 고밀도 구조를 가진 부직포를 부착하고 중간에는 유리 섬유가 합침된 고성능 합성수지패드를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여 고밀도 부직표면을 부분점착 함으로서 바탕면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부표면은 이음 조인트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방진 및 방음 기능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가 시공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 다기능화 공법에 사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 (10a) : 고밀도 부직포
(10b, d) : 합성수지 시트 (10c) : 유리 섬유
(11) : 세라믹이 혼합된 합성수지 방진, 방음 및 방수층
(12) : 아크릴 점착제 (20) : 부틸고무 점착 테이프
(30) : 탑코팅제 (40) : 콘크리트 구조물
(50) : 고정못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패드 구성은 하부 표면의 고밀도 부직포(10a)와 중간의 유리 섬유(10c)를 합성수지(10b, 10d)가 감싸고 있는 적층구조로 그 크기는 단변 1m 장변 2m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10)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성능 합성수지패드(10)는 방진, 방음 및 방수의 작용하게 되는데 합성수지 시트(10b)의 하부표면에 고밀도 부직포(10a)가 부착 되어있는바 상기 고밀도 부직포는 300g/m2로 외부의 충격을 완화 시키되, 그 두께는 2mm로 하며, 중간의유리 섬유(10c)는 패드의 성능을 강화시켜 방진, 방음 및 방수의 다기능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사용한 본 고안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a)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고르게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단계와;
(b)상기 바탕면 위에 줄눈을 나눈 다음 아크릴 점착제(12)를 부분 도포하고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10)를 10mm 간격을 두고 깔아주고 고정못(50)으로 고정한 후, 합성수지 패드(10)의 이음부를 부틸 고무 점착 테이프(20)로 부착시키는 단계와;
(c)상기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 위에 세라믹이 혼합된 합성수지 방진, 방음 및 방수층(11)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d)세라믹이 혼합된 합성수지 방진, 방음 및 방수층(11) 상부에 내후성 및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탑코팅제(30) 층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로부터 고밀도 부직포(10a),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10b), 유리 섬유(10c) 및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10d)가 열융착에 의하여 적층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의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방수 효과만을 가지는 공법과는 달리 방진 기능과 방음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화 패드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우선 보호 콘크리트의 면 정리는 표층이 심하게 부식되고 떨어져 나간 부분과 요철부위를 시멘트 몰탈로 고르게 한 다음,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다.
또한 본 시공방법은 기존의 방수층을 철거하지 아니하고 그 위에 본 고안의 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고성능 합성수지패드(10) 연결 부위에 아크릴 점착제(12)를 도포한 후 가로(단변) 1m 세로(장변) 2m 크기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10)를 10mm 간격으로 부착시킨 후 고정못(50)을 사용하여 고정 시킨다.
고정못(50)의 사용에 의한 누수 위험 및 연결 부위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부틸고무 점착 테이프(20)로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10)간의 연결 부위를 봉한다.
그리고 세라믹이 혼합된 스티렌 브티렌 스티렌 합성수지 방수층(11)을 2mm두께로 도포한 후 내후성 및 내자외선에 매우 강하여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탑코팅제(30)를 도포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 다기능화 공법에 사용된 콘크리트 구조물(4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물(4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차례로 아크릴 점착제(12)와, 고밀도 부직포(10a),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10b), 유리 섬유(10c)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10d)가 열융착된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10)와, 이 패드를 고정하는 고정못(50)과, 고정못에 의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부틸 고무 점착 테이프(20)와, 상기 패드의 상부 전체를 도포하는 세라믹이 혼합된 합성수지 방진, 방음 및 방수층(11)과, 이 방수층 위에 도포된 탑코팅제(30) 층의 적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성능 합성수지 패드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 다기능화 공법은 하부표면에 300g/m2, 두께 2mm의 고밀도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고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합성수지 시트 중간에 유리 섬유가 함침되어 있어 방진 및 방음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기존 시트의 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드의 크기를 1m × 2m로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며,
세라믹이 혼합된 스티렌 브티렌 스티렌 합성수지 도막방수재와 내후성 및 내자외선성이 우수한 탑코팅제로 이루어진 우수한 방수층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방진, 방음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한 합성수지 패드로 콘크리트의 물리적 화학적 노화에 저항하는 성질이 매우 강하며, 내구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어 그 산업상의 효과가 크게 기대되는 고안이다.

Claims (4)

  1. 하부로부터 차례로 고밀도 부직포(10a), 합성수지 시트(10b), 유리 섬유(10c) 및 합성수지 시트(10d)가 열융착에 의하여 적층되어 구성된 합성수지 패드(10)를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부직포(10a)는 300g/m2하중에 견디고, 두께 2m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시트(10b, 10d)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패드(10)는 단변 1m 장변 2m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KR2020010032616U 2001-10-25 2001-10-25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KR200264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16U KR200264325Y1 (ko) 2001-10-25 2001-10-25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16U KR200264325Y1 (ko) 2001-10-25 2001-10-25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87A Division KR100448474B1 (ko) 2001-09-03 2001-09-03 합성수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다기능화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325Y1 true KR200264325Y1 (ko) 2002-02-19

Family

ID=7308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16U KR200264325Y1 (ko) 2001-10-25 2001-10-25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3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JP2005194871A (ja) 組立式防水構造及び組立式防水工法
KR100448474B1 (ko) 합성수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다기능화 시공 방법
KR100462163B1 (ko) 패드형 방수시트
KR100732473B1 (ko) 아연도금시트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 방수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264325Y1 (ko) 방진, 방음 및 방수용 합성수지 패드
KR101133026B1 (ko) 노출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방수시트의 3중 적층공법
KR102047113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072273B1 (ko)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KR20010007922A (ko)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95343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시트
KR200247450Y1 (ko) 패드형 단열방수시트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2145228B1 (ko)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20010107074A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200218984Y1 (ko) 엠보싱 방수패드
KR101056548B1 (ko) 통기완충형 복합시트부를 포함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이의 방수시공방법
CN110761422A (zh) 防水卷材水平铺设后预留搭接接头的保护方法
KR100331506B1 (ko) 콘크리트건물 옥상의 방수시공 방법
KR100695721B1 (ko) 조립식 방수구조 및 조립식 방수공법
KR101004750B1 (ko) 피막보호형 보강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노출형 외단열방수공법
EP1227188B1 (en) Waterproofing system
JP3032402U (ja) 防水構造
JP2004324054A (ja) 水利施設のシートライニング方法及び水利施設のシートライニング方法に用いられる合成樹脂製シートからなる容器状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