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207Y1 -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207Y1
KR200263207Y1 KR2020010031716U KR20010031716U KR200263207Y1 KR 200263207 Y1 KR200263207 Y1 KR 200263207Y1 KR 2020010031716 U KR2020010031716 U KR 2020010031716U KR 20010031716 U KR20010031716 U KR 20010031716U KR 200263207 Y1 KR200263207 Y1 KR 200263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ic acid
methanol
wood
tank
dist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홍
Original Assignee
심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홍 filed Critical 심재홍
Priority to KR2020010031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207Y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참나무를 가열시켜 목초산(木醋酸, wood vinegar)을 추출하고 상기 생성된 목초산에서 인체에 무해한 양질의 목초산만을 얻기 위하여 유해성분인 메탄올(methanol) 등을 분리하기 위한 목초산 메탄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초산은 동, 식물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현대병으로 일컫는 각종 질병과 항암효능과 체질개선의 효능 및 변비, 설사 또는 지방질 억제 등의 미용효능이 알려지면서 국외에서는 식이요법으로 많은 애호를 받고 있으나 나무를 태우는 과정에서 나무에 함유된 물질이 추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메탄올과 타트, 3-4베졸피렌 등의 발암물질이 형성되어지고 또한 화근내로 수요자가 먹기 어려운 역겨운 냄새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탄올과 목초산을 정확히 분리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목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발암물질과 화근내 및 메탄올 등을 정확히 분리 제거시킬 수 있도록 증류기와 냉각기를 거쳐 다수의 제1~3분리탱크를 통과하면서 반복된 증류분리로 순수 목초산을 추출하도록 함으로 생산성의 증대와 작업능률의 향상 및 자동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A methanol separator for wood vinegar}
본 고안은 참나무를 가열시켜 목초산(木醋酸 wood vinegar)을 추출하고 상기 생성된 목초산에서 인체에 무해한 양질의 목초산만을 얻기 위하여 유해성분인 메탄올(methanol) 등을 분리하기 위한 목초산 메탄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초산(木醋酸)은 1720년경에 북유럽에서 처음 알려진 후 1940년경에 송근유를 만드는 과정에서 추출되었으며 이러한 목초산은 다량의 천연 유기산 PH 3-4 및, 미네랄과 무기물이 이온화되어 녹아있으며 또한 게르마늄, 알란토인 등 희귀원소를 포함함으로서 동, 식물재배와 성장촉진 체질개선과 항암효능 등이 있음이 알려지면서 최근에 많은 애호가와 함께 현대적 생산시설로서 대량 생산체계로 발전되고 그 사용처가 의료와 식물의 성장촉진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목초산은 동, 식물뿐만 아니라 현대인의 현대병으로 일컫는 각종 질병과 항암효능과 체질개선의 효능 및 변비, 설사또는 지방질 억제 등의 미용효능이 알려지면서 국외에서는 식이요법으로 많은 애호를 받고 있다.
이러한 목초산은 나무를 태우는 과정에서 나무에 함유된 물질이 추출됨으로서 얻어지고 있는 것으로 즉, 재래식 숯가마에서 숯을 만들기 위하여 나무를 태우면 가마의 연통부에서 연기가 냉각된 응결수가 목초산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초산은 나무가 타면서 목초산이 생산됨으로서 인체에 해로운 메탄올과 타트, 3-4베졸피렌 등의 발암물질이 형성되어지고 또한 화근내로 수요자가 먹기 어려운 역겨운 냄새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의 선고안 실용신안등록 제122565호에서는 내화벽돌 로(爐)를 구성하여 버너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로 내부에 가열통을 상부측으로 구성시키고 상기 가열통 내에 목재를 수용시켜 가열함으로서 목재에 직접 가열되지 않아 목재가 타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목재 내의 유익한 추출물만 증발시키고, 여기서 증발된 수증기를 냉각 응축함으로 소망하는 양질의 목초산을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바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도 재래의 숯가마형에서 보다는 많은 진보를 얻고 있으나, 인체에 유해한 메탄올 등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메탄올(methanol)은 알코올 동족체 중에서 구조가 가장 간단한 것으로, 물의 수소원자 1개를 메틸기 -CH3로 치환한 것을 메틸알코올이라고도 하며 끓는 점 64.65 ℃를 가지며 목재의 건류에 의한 목초액(木酢液)에서 얻었기 때문에 목정(木精)이라고도 하고 독성이 있는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메탄올 중독은 공장에서 흡입성중독(吸入性中毒)이 많았으나 지금은 잘못 알고 마심으로써 일어나는 경구성 중독(經口性中毒)이 있다.
중독량은 10 g 이상이며, 치사량은 30∼250 g 이라 알려지고 두통·현기증·구토·복통·설사 외에, 항상 시력 장애가 일어나 눈이 침침해지고 눈이 머는 경우와 증세가 심할 때는 마비상태가 되어 청색증·혼수상태에 빠져 사망할 수 있는 매우 유해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일부 업체에서는 정재된 목초산을 다시 휄터 등에 의한 휄터링 공정을 추가시켜 독성물질을 제거와 맛의 순화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휄터링에서는 유해물질인 메탄올과 함께 유익한 물질인 생리 활성물질(토양미량원소), 게르마늄 등이 함께 제거됨으로서 맛이 순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인체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없는 단순물로 저하되고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출원인의 또다른 선등록고안 등록번호 제186489호의 목초산용 메탄올 분리기에서는 인출 및 퇴수밸브와 각종 계이지 등을 구성한 수용성 탱크에 가열관을 구성시켜 탱크에 충진된 목초산액을 약 80~85 ℃로 가열함으로서 목초산(木醋酸, wood vinegar)의 비중 1.018~1.030이고 메탄올(methanol)은 끓는점 64.65 ℃, 비중 0.7928 로 비중이 높은 목초산은 아래로 비중이 낮은 메탄올은 상부로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한 바 있다.
이러한 분리기는 한번의 분리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서 메탄올과 목초산을 정확히 분리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기점이 목초산 내로 구분됨으로서 많은 량의 목초산을 메탄올과 함께 제거시키게 됨으로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분리후 청소 및 제거와 함께 또다시 탱크에 충진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현대병의 예방과 치료효능이 알려지고 미용 및 항암작용 등 유익한 목초산에서 목재가 타면서 발생되는 발암물질과 화근내 및 메탄올 등을 정확히 분리제거시켜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물질, 게르마늄 등이 함유된 목초산을 추출분리하도록 하되,
증류기와 냉각기를 거쳐 다수의 제1~3분리탱크를 통과하면서 반복된 증류분리로 순수목초산을 추출하도록 함으로 생산성의 증대와 작업능률의 향상 및 자동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인 전체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증류탱크 11; 수위조절밸브 12; 주입밸브
13; 이송관 14; 보일러 15; 가열관
16; 플랜지컵 17; 냉각기 20; 제 1분리탱크
20-1; 제 2분리탱크 20-2; 제 2분리탱크 21; 온도계
22; 온도컨트롤 23; 가열히터 24; 인출관
25; 에어밸브 26; 증류관 27; 플랜지캡
28; 폐처리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인 전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초산 수위조절밸브(11)와 상단에 주입밸브 (12) 및 이송관(13)을 구성한 탱크 내에 보일러(14)의 가열관(15)을 구성시켜 개방된 하부에 볼트결합용 플랜지컵(16)을 체결하는 증류탱크(10)와,
상기 증류탱크(10)의 이송관(13)을 냉각기(17)를 거쳐 온도계(21)와 온도컨트롤(22) 및 가열히터(23)를 구성한 제 1분리탱크(20)에 연결함과 함께 정제된 목초산 인출관(24)을 분리탱크의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에어밸브(25)를 구성한 증류관(26)을 구성한 플랜지캡(27)을 상단에 체결하는 제 1분리탱크(20)와,
상기 증류관(26)을 다시 제 2분리탱크(20-1)와 연결하고 제 2분리탱크(20-1)의 증류관(26)은 다시 제 3분리탱크(20-2)에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3분리탱크(20-2)는 폐처리관(28)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분리탱크는 크기를 순차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29은 퇴수밸브이며 18는 냉각수 입출관, 30은 받침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보인 전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목초산 추출장치에 의해 얻어진 목초산액을 정재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본 고안의 분리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즉, 증류탱크(10) 상단부에 구성된 주입밸브(12)로 상기 목초산액을 공급하여 일정량으로 충진하고 목초산액이 충진되면 보일러(14)를 가동시켜 상기 증류탱크(10) 내의 가열관(15)에 의해 충진된 목초산액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에 목초산액은 약 80~85 ℃로 가열하면 타르 등은 증류탱크의 저면으로 하강 침전되고 상기에서 가열된 목초산액은 증류탱크(10)의 상부 이송관(13)을 통해 냉각기(17)를 거치면서 냉각되어 제 1분리탱크(2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침전된 타르 등은 작업완료 후에 플랜지컵(16)을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 공급된 목초산액은 온도컨트롤(22) 및 가열히터(23)에 의해 설정온도를 유지하면서 가열된다.
이러한 가열로 제 1분리탱크(20)에 충진된 목초산액은 약 80~85 ℃로 가열하게 되고 상기 목초산(木醋酸 wood vinegar)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목재를 건류하여 얻은 액체로 비중 1.018~1.030 이다.
이에 대하여 메탄올(methanol)은 끓는점 64.65 ℃, 비중 0.7928 로 이루어짐으로서 비중이 높은 목초산은 아래로, 비중이 낮은 메탄올은 상부로 각각 분리되면서 순수 목초산은 제 1분리탱크(20)에 일정깊이로 구성된 인출관(24)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1차로 순수목초산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함께 상기에서 비중이 낮은 메탄올 등과 분리되지 못한 목초산액은 상부로 상승되어 에어밸브(25)를 구성한 증류관(26)을 따라 다시 제 2분리탱크(20-1)로 공급됨과 함께 상기 제 2분리탱크(20-1)에서 2차가열에 의한 2차 분리로 순순목초산은 제 2분리탱크(20-1)의 인출관(24)으로 인출되고 여기에서 분리된 메탄올등은 다시 상승되어 제 2분리탱크(20-1)의 증류관(26)을 따라 제 3분리탱크(20-2)로 공급됨과 함께 다시 제 3분리탱크(20-2)에서 가열시켜 분리된 순수 목초산을 분리하고 나머지는 상승시켜 상단의 폐처리관(28)을 통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1~3차의 분리과정을 거치게 됨으로 순수 목초산의 분리가 보다 정밀하고 많은 량의 순수 목초산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분리탱크에는 작업중 찌꺼기 등이 발생됨으로 작업후 퇴수밸브(24)를 열어 제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이상의 분리탱크를 거치면서 순수 목초산만을 분리하므로서 인체에 유익한 유기산 PH3-4 미네랄, 이온화된 무기물, 게르마늄, 알란토인 등의 희귀원소가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은 손상시키지 않고 항암작용과 미용효능 및 현대병의 예방효능을 높일 수 있는 순수 목초산만을 대량으로 분리시켜 얻을 수 있는 특징과 함께 수차의 분리구성에 따라 보다 정밀한 분리로 종래의 약 50% 의 수거율을 7~80% 까지 분리하므로 생산성을 크게 증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탱크에 공급된 목초산액을 가열함으로서 비중에 따른 분리에 의해 순수 목초산을 분리하는 통상의 분리기에 있어서,
    수위조절밸브(11)와 상단에 주입밸브(12) 및 이송관(13)을 구성한 탱크 내에 보일러(14)의 가열관(15)을 구성시켜 개방된 하부에 볼트결합용 플랜지컵(16)을 체결하는 증류탱크(10)와,
    상기 증류탱크(10)의 이송관(13)을 냉각기(17)를 거쳐 온도컨트롤(22) 가열히터(23)를 구성한 제 1분리탱크(20)에 연결함과 함께 목초산 인출관(24)을 분리탱크의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증류관(26)을 구성한 플랜지캡(27)을 상단에 체결하는 제 1분리탱크(20)와,
    상기 증류관(26)을 다시 제 2분리탱크(20-1)와 폐처리관(28)을 구성한 제 3분리탱크(20-2)로 순차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KR2020010031716U 2001-10-17 2001-10-17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KR200263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16U KR200263207Y1 (ko) 2001-10-17 2001-10-17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16U KR200263207Y1 (ko) 2001-10-17 2001-10-17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207Y1 true KR200263207Y1 (ko) 2002-02-04

Family

ID=7311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716U KR200263207Y1 (ko) 2001-10-17 2001-10-17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2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58A (ko) 2014-06-27 2016-01-07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58A (ko) 2014-06-27 2016-01-07 심재홍 수액 채취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21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egetable oils
CN107057857A (zh) 一种高效蒸馏提取沉香精油设备及工艺方法
CN201610426U (zh) 一种用于提取植物精油的蒸馏釜
CN106244324A (zh) 一种玫瑰精油提取及纯化方法
CN104327874B (zh) 制备木酢液的方法
CN103450808A (zh) 一种采用亚临界流体丁烷提取生姜油树脂的方法
CN112662477A (zh) 一种玫瑰精油、玫瑰纯露的提取方法
KR200263207Y1 (ko) 목초산 유해물 제거장치
EA012745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бачного масла
CN101096614A (zh) 玫瑰精油真空水散冲蒸亚临界萃取技术
CN102660379B (zh) 一种缬草植物油提取方法
CN206955995U (zh) 一种高效蒸馏提取沉香精油设备
KR100502960B1 (ko) 목초액을 이용한 식품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86489Y1 (ko) 목초산용 메탄올 분리기
KR20040015620A (ko) 목초액 증류 방법 및 장치
KR100558220B1 (ko) 가열하여 얻은 죽력을 음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죽력의제조방법
RU2314855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древесной зелени хвойных пор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0122565Y1 (ko) 목초산 추출장치
KR200266451Y1 (ko) 목초액 정제장치
CN213141952U (zh) 一种芳香油提取装置
CN110305734A (zh) 一种白芷叶挥发油的提取工艺
Lee et al. Edible oil deodorizing equipment and methods: A short historical sketch
CN109247613A (zh) 一种烟用香紫苏浸膏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01836A (zh) 空气能萃取茉莉花纯露的方法
KR20010087805A (ko) 목초액 정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