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112Y1 - 완구용 화상 전화기 - Google Patents

완구용 화상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112Y1
KR200263112Y1 KR2020010033318U KR20010033318U KR200263112Y1 KR 200263112 Y1 KR200263112 Y1 KR 200263112Y1 KR 2020010033318 U KR2020010033318 U KR 2020010033318U KR 20010033318 U KR20010033318 U KR 20010033318U KR 200263112 Y1 KR200263112 Y1 KR 200263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y
output
image data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희
Original Assignee
이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희 filed Critical 이찬희
Priority to KR202001003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112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 조작에 따라 다양한 화상이 출력되면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인지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즉, 본 고안은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완구용 전화기에 있어서, 본체 외관에는 들고 말할 수 있는 송수신부(10)와, 다수의 숫자키 (21)와 기능키(22)가 구비된 버튼부(20)와,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버튼부(20)의 숫자키(21) 및 기능키(22)에 할당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판단하고 전송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 (40)에서 요구하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메모리부 (50)에서 출력되는 화상의 내용에 맞춰 제어부(40)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 (5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추출 전송될 때 이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60)와, 상기 변조부(60)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수신부; 11)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70)와,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0)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구용 화상 전화기{toy screen telephone}
본 고안은 완구용 화상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 화상 전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른 환경 변화에 부합할 수 있도록 완구용 전화기에 이를 적용하여 유아들이 완구용 전화기를 가지고 놀 때, 버튼 조작에 따라 다양한 화상이 출력되면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인지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는 어린이의 놀이 도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어린이는 놀이를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우게 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완구들은 놀이를 통하여 다양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고안된 완구들 중에는 어린이의 조작에 따라 간단한 음성 및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완구들이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음성 및 음향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완구 중에 외형이 실제 전화기와 동일하여 어린이들이 전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완구용 전화기가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종래의 완구용 전화기는 단지 다이얼을 돌리게 되면 전화벨소리나 또는 입력되어진 음성이 나오도록 하는 것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완구용 전화기의 단점은 단순한 형태의 음성이나 신호음을 출력하므로 이 완구를 이용하는 유아들의 흥미를 오래 끌지 못하고 유아들이 쉽게 싫증을 낼 수 있다는 데 있다.
그래서 요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좀더 사실적인 전화 놀이를 하도록 고안되어 있거나 몇 가지 학습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단순한 기능만을 추가하고 있어 완구에 대한 흥미를 오래 끌지 못하고 있으며 유아 학습에도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많은 완구용 전화기들이 대부분 단순히 악기완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완구용 전화기가 단순한 놀이 완구로서의 기능으로만 부가되어 학습 도구로 이용되는 경우가 드물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사회적 통신 환경이 화상 전화가 가능한 시대가 급격히 도래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완구용 전화기들이 아직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완구용 전화기를 보완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완구용 전화기에 화상 전화 기능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구성하여 유아들이 완구용 전화기를 가지고 놀 때, 버튼 조작에 따라 다양한 화상이 출력되면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인지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화상 전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완구형 화상 전화기의 화상 출력을 위한 내부 구성 상태를 블록으로 도시한 블록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수신부 20 : 버튼부
21 : 숫자키 22 : 기능키
30 : 디스플레이부 40 : 제어부
50 : 메모리부 60 : 변조부
70 : 증폭부 80 : 전원공급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화상 전화기는,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완구용 전화기에 있어서, 본체 외관에는 들고 말할 수 있는 송수신부와, 다수의 기능키와 숫자키가 구비된 버튼부와, 화상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버튼부의 기능키 및 숫자키에 할당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판단하고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요구하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화상의 내용에 맞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추출 전송될 때 이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외관사시도로서, 종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완구용 전화기의 외관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통상적인 완구용 전화기와는 달리 화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전화기 정면 가운데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완구용 전화기의 구성 상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의 완구용 전화기는, 그 본체 외관에는 통상적인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이 송 수신하는 것처럼 들고 말할 수 있는 송수신부(1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송수신부 (10) 일측에 다수의 숫자키(21)와 기능키(22)가 구비된 버튼부(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버튼부(20) 위쪽에 해당하는 전화기 정면 가운데 부분에는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완구용 전화기의 내부에는, 도 2에 블록회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버튼부(20)의숫자키(21) 및 기능키(22)에 할당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판단하고 전송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요구하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출력되는 화상의 내용에 맞춰 제어부 (40)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5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추출 전송될 때 이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60)와, 상기 변조부(60)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수신부; 11)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70)와,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0)가 설치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완구형 전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완구형 전화기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버튼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 버튼부(20)에 할당되어 있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50)는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절한 화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30)로 보내져 화상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서 화상 출력되는 상황에 맞춰 음성데이터가 스피커(12)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상데이터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인물 캐릭터 등이 나와 인사하거나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 등이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화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데이터는 상기 화상데이터의 상황 설정에 맞는 음성이 기록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어부(40)와 메모리부(50)는 원칩마이컴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20)는 숫자키(21)와 기능키(22)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기능키(22)에는 각각의 화상데이터가 할당되어 있어 기능키(22)를 누르게 되면 하나의 화상데이터가 바로 디스플레이부(30)에 화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숫자키(21)의 경우에는 숫자를 누를 때마다 다른 종류의 화상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면서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때, 상기 숫자키(21)를 누르면, 실제 전화를 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전화를 거는 듯한 음향효과가 먼저 출력된 다음, 상기와 같은 화상 출력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변조부(60)는 통상적으로 상기 음성데이터가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디지털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아이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신호로 변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증폭부(70)는 변조부(60)에 의하여 변조된 음성신호를 충분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한 후에 스피커(11)를 통하여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스피커는 상기 송수신부(10)의 수신부(11)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80)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건전지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이들이 본 고안의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송수신부(10)를 들고 버튼부(20)의 키를 누르게 되면, 먼저, 전화를 거는 듯한 음향이 출력됨과 동시에 버튼부(20)의 각 숫자키(21) 및 기능키(22)에 할당된 음성데이터 및 화상데이터 중 하나가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20)에 의하여 선택된 음성, 화상데이터는 제어부(40)에 의하여 메모리부(50)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40)는 버튼부(2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한 음성 또는 화상 출력에 필요한 데이터를 판단하고, 해당 데이터를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에서 추출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메모리부(50)에서 추출 출력된 데이터 중 화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에 화상 상태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에 의하여 출력된 음성데이터는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서 변조부(60)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조된다.
상기 변조부(60)에 의하여 변조된 신호는 증폭부(70)에서 충분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된 후에 스피커(수신부; 11)를 통하여 음성신호로 출력됨으로서 아이들이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완구형 화상 전화기에서는 종래의음향, 언어 발음과는 달리 특정주제에 대한 상호 연관된 화상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됨과 동시에 출력되는 화상에 맞춰 적절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아이들의 화상 전화학습에 대하여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상출력 내용은 2~6세 정도의 어느 정도 언어 습득이 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학습 보조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도의 내용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경우에는 메모리부(50)에 내장 설계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의해 한정된 상황에 대하여만 적용된다.
다시 말하면, 한 번 저장된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시간 청취하면 아이들이 곧 싫증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개선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의 데이터를 착탈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메모리부(50)에 도시되지 않은 착탈식 메모리카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완구용 화상 전화기의 일 측면에 카드삽입공(도시안됨)을 형성하고, 이 카드삽입공을 별도의 커버(도시 안됨)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모리카드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 생산자가 생산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서 메모리부(50)를 착탈식 메모리카드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내용을 다양한 상황 설정으로 변경하여 새로운 화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제공함에 따라 아이들이 다양한 화상과 음성을 접하게 하여 쉽게 싫증내는 것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일반 가정용 형상의 전화기를 예시로 들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휴대폰 형상의 완구용 전화기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의 완구용 전화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즉, 본 고안은 여러 가지로 실시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작용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 가능한 모든 실시 예 및 이 실시 예를 수정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완구용 화상 전화기에 의하면, 완구용 전화기를 2 ~ 6세의 아이들이 가지고 놀 때, 버튼 조작에 따라 다양한 화상이 출력되면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함과 동시에 인지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뜬 화상을 보면서 실제의 화상전화기와 같은 느낌을 갖게 하여 스스로 재미있게 부모와 대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줌으로써, 시청각을 활용한 듣기와 말하기의 언어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완구용 전화기에 있어서,
    본체 외관에는 들고 말할 수 있는 송수신부(10)와, 다수의 숫자키(21)와 기능키(22)가 구비된 버튼부(20)와, 화상데이터를 전송 받아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버튼부(20)의 숫자키(21) 및 기능키(22)에 할당된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판단하고 전송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제어부(40)에서 요구하는 화상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50)와, 상기 메모리부(50)에서 출력되는 화상의 내용에 맞춰 제어부(40)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5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추출 전송될 때 이 음성데이터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부(60)와, 상기 변조부(60)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증폭하여 스피커(수신부; 11)를 통하여 출력하는 증폭부(70)와, 건전지를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0)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되는 음성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임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50)를 착탈 가능한 메모리카드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화상 전화기.
KR2020010033318U 2001-10-31 2001-10-31 완구용 화상 전화기 KR200263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18U KR200263112Y1 (ko) 2001-10-31 2001-10-31 완구용 화상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18U KR200263112Y1 (ko) 2001-10-31 2001-10-31 완구용 화상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112Y1 true KR200263112Y1 (ko) 2002-01-31

Family

ID=7311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18U KR200263112Y1 (ko) 2001-10-31 2001-10-31 완구용 화상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1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59A (ko) * 2001-11-15 2001-12-19 황의성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기 형상의 유아용 학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559A (ko) * 2001-11-15 2001-12-19 황의성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기 형상의 유아용 학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542B1 (ko) 전화기
US20110025912A1 (en) Audio or Audio/Visual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and Switching Device Therefor
EA017461B1 (ru) Система звуковой анимации
US20020173219A1 (en) Interactive toy system
JP2001177609A (ja) 携帯電話機
KR200263112Y1 (ko) 완구용 화상 전화기
CN101510904A (zh) 一种手机扩音器及其实现方法
CN2922049Y (zh) 耳麦可携式能播放Mic声音数码音乐播放器
CN207854114U (zh) 一种变声耳机
KR100690818B1 (ko)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1005653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KR101185183B1 (ko) 응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19766Y1 (ko) 영어학습보조용 완구형 전화기
KR100771975B1 (ko) 통합 오디오 제어장치
KR100532319B1 (ko) 음성 변조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H066285A (ja) 携帯電話機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KR20040038016A (ko) 멜로디 연주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20070070481A (ko) 이동 단말기에서 배경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79281B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KR101061820B1 (ko) 휴대용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95433Y1 (ko) 영어 교육을 위한 전화기 완구
KR2004009968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핸드폰
ES2289397T3 (es) Dispositivo compuesto por un microfono inalambrico y un rece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