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818B1 -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818B1
KR100690818B1 KR1020050066395A KR20050066395A KR100690818B1 KR 100690818 B1 KR100690818 B1 KR 100690818B1 KR 1020050066395 A KR1020050066395 A KR 1020050066395A KR 20050066395 A KR20050066395 A KR 20050066395A KR 100690818 B1 KR100690818 B1 KR 10069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signal
unit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810A (ko
Inventor
하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8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박 단소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진동수가 낮은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되는 증폭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질향상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의 증설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한 증폭부를 제공하고 그로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더욱 풍성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1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더욱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2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장치, 증폭부, 연통공, 저음부, 필터부재

Description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G SOUND SIGNAL AMPLIFIER}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터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슬라이드부
110a : 슬라이드부 전면커버 110b : 슬라이드부 후면커버
111 : 디스플레이 모듈 112 : 기능키
113 : 스피커 홀 114 : 제1 인쇄회로기판
115 : 제2 인쇄회로기판 120 : 본체부
120a : 본체부 전면커버 120b : 본체부 후면커버
121 : 키 입력부 122 : 제3 인쇄회로기판
123 : 메인 인쇄회로기판 124 : 배터리
130 : 스피커장치 200 : 내장형 안테나 모듈
300 : 슬라이드 모듈 310 : 제1 슬라이드 레일
320 : 제2 슬라이드 레일 330 : 슬라이더
400 : 제1 증폭부 제1 연통공 500 : 제1 증폭부 제2 연통공
600 : 제2 증폭부 연통공 700 : 제1 증폭부
800 : 제2 증폭부 900 : 필터부재
S1 : 고음 음성신호 S2 : 저음 음성신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박 단소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진동수가 낮은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되는 증폭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질향상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의 증설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한 증폭부를 제공하고 그로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더욱 풍성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과 형태에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에 있어서는 단순히 전화 송수신만이 가능한 초기 단말기에서부터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등에 이르는 최신의 기능구현이 가능한 최신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르고 있는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전술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면서 거의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종래의 스피커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드부의 일면과 본체부의 일면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표적으로 예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10)의 일면과 본체부(120)의 일면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드부(110)는 슬라이드부 전면커버(110a)와 슬라이드부 후면커버(110b)가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20)는 본체부 전면커버(120a)와 본체부 후면커버(120b)가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부(110)와 상기 본체부(120)는 제1 슬라이드 레일(310)과 제2 슬라이드 레일(320) 및 슬라이더(330)로 구성된 슬라이드 모듈(300)을 통하여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본체부(1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칩셋(미도시)이 실장되어있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23)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정격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장치(124) 및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모듈(20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에는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CD)모듈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1)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114)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다 양한 기능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키(112)와 상기 기능키(112)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11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장치(130)가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음성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유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피커장치(130)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슬라이드부 상부커버(110a)에 개구 형성된 스피커 홀(113)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스피커장치(13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그 주파수와 진동의 차이에 따라 고음 음성신호와 저음 음성신호가 출력되는데, 상기 음성신호 중 특히 상기 저음 음성신호는 상기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어 상기 스피커 홀을 통하여 슬라이드부의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상기 슬라이드부의 내부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서 얼마정도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근래에 들어 소형 단소화 됨으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부(110)에 구비된 내부공간이 협소해질 수밖에 없고, 그로인해 상기 스피커장치(130)에서 출력되는 상기 저음 음성신호(S2)가 증폭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고 따라서 상기 저음 음성신호(S2)의 증폭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상기 저음 음성신호(S2)를 원활히 증폭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를 증설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근래에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크기가 소형화 되고 단소화 됨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를 증설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음 음성신호(S2)의 증폭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풍성한 음색을 가지고 출력될 수 없음은 물론 상술한 다양한 기능이 구현됨에 있어 사실감 및 역동감이 떨어짐은 물론 상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됨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지루한 느낌마저 들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박 단소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진동수가 낮은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되는 증폭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질향상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의 증설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한 증폭부를 제공하고 그로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더욱 풍성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장치는, 본 발명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 으로 형성된 제1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더욱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2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경박 단소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진동수가 낮은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되는 증폭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질향상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의 증설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한 증폭부를 제공하고 그로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더욱 풍성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130)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상기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1 증폭부(700) 및 상기 증폭된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더욱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2 증폭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근래에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본원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특히 상기 제1 증폭부(700)와 상기 스피커장치(130)가 그 내부에 구비된 슬라이드부(110) 및 상기 제2 증폭부(800)가 그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과 그 일면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그 일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 및 상기 누출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2 증폭부(8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증폭부(700)는 상기 스피커장치(130)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공간내부에서 증폭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증폭부(800)는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200)이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제1 증폭부(700)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상기 공간으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증폭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본체부(120)에 구비되는 내장형 안테나 모듈(200)은 그 전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내장형 안테나 모듈(200)의 근처에 전기적 특성을 띄는 부품이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제2 증폭부(800)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해 상기 제2 증폭부(800)가 원활히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드부(110)가 본체부(12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110)와 상기 본체부(12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과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은 상기 음성신호가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에서 1차적으로 증폭되어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으로 유입됨으로써 2차적으로 증폭됨으로 인해,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과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구비된 위치는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에서 유출되어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이 구비되는 위치와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여부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환됨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된 경우와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증폭부(70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제2 증폭부(8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증폭부 연통공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은,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을 폐쇄하고 있을 시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1 증폭부 제1 연통공(400) 및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을 개방하였을 시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개구 형성된 제1 증폭부 제2 연통공(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먼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본체부(120)의 전면을 개방하였을 시 상기 본체부(120)에 구비된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은 상기 제2 증폭부 연통 공(6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제1 증폭부 제2 연통공(500)과 연통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증폭부(700)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상기 음성신호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증폭부 제2 연통공(500)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후면으로 누출되며, 상기 누출된 음성신호는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에 구비된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으로 유입되고 그 이후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에 마련된 제2 증폭부(800)에서 더욱 증폭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았을 시 음성신호가 제1 증폭부(700)에서 제2 증폭부(800)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상기 슬라이드부(110)가 상기 본체부(120)의 전면을 개방하지 않았을 시 상기 본체부(120)에 구비된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은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에 구비된 제1 증폭부 제1 연통공(400)과 연통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1 증폭부(700)에서 1차적으로 증폭된 상기 음성신호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증폭부 제1 연통공(400)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부(110)의 후면으로 누출되며, 상기 누출된 음성신호는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에 구비된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으로 유입되고 그 이후 상기 본체부(120)의 내부에 마련된 제2 증폭부(800)에서 더욱 증폭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전술한 음성신호가 상기 제1 증폭부(700)에서 제2 증폭부(800)로 유입됨에 있어 상기 음성신호를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부재(9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은 필터부재(900)가 구비된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터부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900)가 구비된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드부(110)의 일면 내측과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120)의 일면 내측 중 선택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음성신호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신호를 필터링하는 상기 필터부재(900)는 천연고무 및 합성수지의 재질 중 선택된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이 있는 해면(海綿)상의 다공질의 형태로 구비된 스폰지의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필터부재(900)는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필터부재 (900)를 통과됨에 있어 잡음 또는 각종의 노이즈와 같은 부차적인 음성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부에서 전달되어 상기 스피커장치(13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섞이는 것을 방지해 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400, 500)과 제2 증폭부 연통공(600)을 어느 정도 밀폐함으로써 상기 제1 증폭부(700)와 제2 증폭부(800)에서 상기 음성신호가 더욱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경박 단소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장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 중 진동수가 낮은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저음부영역의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되는 증폭부를 제공함으로써 음질향상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나 장치의 증설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내부공간을 활용한 증폭부를 제공하고 그로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더욱 풍성한 음색을 가지는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부와;
    본체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와;
    상기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증폭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1 증폭부와;
    상기 제1 증폭부로부터 음성신호가 슬라이드부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도록 제1 증폭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증폭부 연통공과;
    상기 제1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가 유입되어 더욱 증폭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소정공간으로 형성된 제2 증폭부와;
    상기 누출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2 증폭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증폭부의 일 측에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과 배치되게 형성되는 제2 증폭부 연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스피커장치가 그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1 증폭부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증폭부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과 그 일면이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부가 그 일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은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닫혀진 상태로 배치될 때, 제2 증폭부 연통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증폭부 제1 연통공 및 상기 슬라이드부가 상기 본체부에 열려진 상태로 배치될 때, 제2 증폭부 연통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증폭부 제2 연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부 연통공 또는 상기 제2 증폭부 연통공은 음성신호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스폰지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66395A 2005-07-21 2005-07-21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95A KR100690818B1 (ko) 2005-07-21 2005-07-21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95A KR100690818B1 (ko) 2005-07-21 2005-07-21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10A KR20070011810A (ko) 2007-01-25
KR100690818B1 true KR100690818B1 (ko) 2007-03-09

Family

ID=3801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95A KR100690818B1 (ko) 2005-07-21 2005-07-21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89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1371A4 (en) 2020-11-06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OUND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196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압 증대를 위한 스피커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196A (ko) * 2003-12-26 2005-06-30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압 증대를 위한 스피커 설치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 1020050066196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810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16B1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933637B2 (en) Speaker assemblies and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same
KR10119695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8712086B2 (en)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EP0606996B1 (en) Transmitter-receiver
EP1583332B9 (en) Mobile station with sound speaker
US20070280497A1 (en) Communications Unit With Arrangement For Loud Reproduction Of Sound
KR100690766B1 (ko)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10500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향 기기의 소리 입·출력 홀 구조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US20070127740A1 (en) Sound reproduction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7260364B2 (en) Reverse mounted micro-speaker assemblies and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same
KR200601216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피커장치
KR10065152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100690818B1 (ko)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280666B2 (en) Moveable device component with acoustic porting
KR101089473B1 (ko) 폴더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ES2159207T3 (es) Telefono movil con escucha amplificada.
KR100663490B1 (ko) 안테나 실장 공간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40042477A (ko) 스테레오 사운드 기능을 갖는 휴대폰
KR20070012146A (ko) 스피커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6139A (ko) 압전형 스피커를 장착한 폴더형 휴대폰
US20050201550A1 (en) Closeable radio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an acousitic chamber
KR20080069401A (ko) 휴대 단말기의 음향 장치
KR200291322Y1 (ko) 휴대폰용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