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922Y1 - 악세사리 겸용 버클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922Y1
KR200262922Y1 KR2019980023212U KR19980023212U KR200262922Y1 KR 200262922 Y1 KR200262922 Y1 KR 200262922Y1 KR 2019980023212 U KR2019980023212 U KR 2019980023212U KR 19980023212 U KR19980023212 U KR 19980023212U KR 200262922 Y1 KR200262922 Y1 KR 200262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accessory
present
fasten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798U (ko
Inventor
이정록
Original Assignee
이정록
주식회사 국제아르테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록, 주식회사 국제아르테미스 filed Critical 이정록
Priority to KR2019980023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22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세사리 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에 착용되는 단순한 체결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에 따른 선택적 구성에 의해 의복의 단추 대용으로 겸용 사용할수 있도록 한 버클을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르게는 독립된 단일형태로서 의복에 부착구성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미감적 개성에 따라 장식적인 효과와 함께 심미감을 표현하는 악세사리 기능으로서 광범위한 사용용도를 갖도록 한 악세사리 겸용 버클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방면에 표현무늬를 형성한 장식구의 결합홈내로 체결구와 복수개의 결속고리를 갖는 판상의 프레임을 접착구성하여 한쌍의 버클본체를 이루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악세사리 겸용 버클
본 고안은 악세사리 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지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벨트를 연결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른 선택적인 이용관계로서 각종 의류의 악세사리 및 심미감을 표현하는 단추형태로도 이용가능하도록 한 악세사리 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이라 함은 의복을 착용함에 있어, 바지의 흘내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의 체결 고정수단인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버클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된 단일구조로서 버클본체(10)가 형성되고, 버클본체(10)의 일측면으로 벨트(B)와 연결되도록 한 수단으로 톱니형상의 협지구(20)가 형성되며, 버클본체(10)의 타측 후면으로는 고정고리(30)가 형성된 것으로, 이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협지구(20)를 벨트(B)의 일측끝단과 고정연결시키고, 고정고리(30)를 벨트(B)의 타측면에 구성된 고정공(P)내에 삽입 체결되도록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버클은 고정고리 및 톱니형상의 제반적인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그 용도가 단순히 벨트고정 수단에 한정될 수밖에 없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 제품의 형상 또한 극히 제한적인 기능적 측면으로만 치중, 구성되어짐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싫증을 느끼게 하는 등의 폐단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의 버클은 벨트가 훼손되었을 경우, 물품자체로서의 재활용기능은 구비하지 못한 것으로, 이는 벨트가 손상되었을 경우, 버클의 기능 및 사용상에 전혀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버클자체 역시 폐기처분해야 하는 등,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주는 것이었는바, 이에 생활의 현실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다용도 기능의 겸비로 제품의 사용효율을 증대될수 있도록 한 버클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버클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허리에 착용되는 단순한 체결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에 따른 선택적 구성에 의해 의복의 단추 대용으로 겸용 사용할수 있도록 한 버클을 제공함에 있으며,
한편, 또 다르게는 독립된 단일형태로서 의복에 부착구성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미감적 개성에 따라 장식적인 효과와 함께 심미감을 표현하는 악세사리 기능으로서 광범위한 사용용도를 갖도록 한 악세사리 겸용 버클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방면에 표현무늬를 형성한 장식구의 결합홈내로 체결구와 복수개의 결속고리를 갖는 판상의 프레임을 접착구성하여 한쌍의 버클본체를 이루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벨트와 결합된 종래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결합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표현무늬를 갖는 장식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의복의 단추로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을 의복의 악세사리로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장식구 2, 2' : 프레임
11, 11' : 표현무늬 12, 12' : 결합홈
21, 21' : 체결구 22, 22' : 결속고리
100, 100' : 버클본체 211 : 체결공
211' : 체결고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결합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표현무늬를 갖는 장식구의 정면도로서, 그 구성 상태를 살펴보면,
원형의 장식구(1)(1')와 판상의 프레임(2)(2')이 상호 결합 형성되어지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 상기 장식구(1)(1')는 도 1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면에 표현무늬(11)(11')를 형성하고, 배면으로 원형구성의 결합홈(12)(12')을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구성되는 표현무늬(11)(11')는 장식구(1)(1')의 소재 선택에 따라 다수의 무늬형태로 변형구성이 가능한 것으로서, 자연적인 심미감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연산소재(나이테 무늬를 갖는 각종 동물의 뿔 내지 목재 등)를 이용되도록 하고, 인위적인 형태로서 화려한 색체무늬 등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가공된 합성수지재를 이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장식구(1)(1')의 전체적인 구성 또한 원형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도형형태로 형성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2)(2')은 원형의 판상체를 취하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2)(2')의 상부면 일측으로는 도 2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구조로서 체결구(21)(21')가 융착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 형성되고, 프레임(2)(2')의 상부면 타측으로는 도 2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구조로서 일렬구성을 갖는 복수개의 결속고리(22)(2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레임(2)(2')에 융착결합되는 체결구(21)(21')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버클본체(100)(100')가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었을 경우, 한쌍의 버클본체(100)(100')가 체결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암, 수에 의한 걸림 원리를 이용, 일측 버클본체의 체결구(21))로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관통된 형상의 체결공(211)을 형성하고, 타측 버클본체(100')의 체결구(21')로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태의 체결고리(21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악세사리 겸용 버클의 상호 결합상태로는,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이 장식구(1)(1')의 결합홈(12)(12')내로 결속고리(22)(22')를 갖는 프레임(2)(2')을 삽입하여 본딩결합시킨후, 재차 프레임(2)(2)의 상부면, 즉 결속고리(22)(22')에 대향하는 일측면으로 체결구(21)(21')를 융착결합시키므로서 버클본체(100)(100)를 구성하게 되고, 이와 같은 버클본체(100)(100')는 도 2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의 구성이 완성된 한쌍을 이루는 구조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버클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본 고안의 버클을 허리에 착용하여 바지의 흘러내림 등을 방지하는 벨트고정수단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버클본체(100)(100')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하여, 각 결속고리(22)(22')에 벨트(B)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봉제방식에 의해 엮음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벨트(B)와 연결된 한쌍의 버클본체(100)(100')는 벨트(B)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체결구(21)(21')의 체결공(211)과 체결고리(211')에 의하여 걸림연결되어지며 벨트(B)를 고정하는 기능 및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버클을 의복의 단추대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버클본체(100)(100')를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하여, 각 결속고리(22)(22')를 이용 봉제방식에 의해 의복의 단추구성부위에 부착시키므로서, 표면무늬(11)(11')에 의한 장직적인 기능을 발휘하며, 단추대용의 체결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단추대용으로 부착된 한쌍의 버클본체(100)(100')는 전술한 벨트(B)의 고정구성과 동일한 형태로서 체결구(21)(21')의 체결공(211)과 체결고리(211')에 의하여 걸림연결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또 다른 사용 용도로서 심미감을 위주로 표현하는 악세사리로 이용할 경우에는, 버클본체(100)(100')에 있어 체결구(21)(21')를 분리시켜낸후, 이를 한쌍 또는 부분적인 단일형태로 선택하여 심미감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복의 위치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결속고리(22)(22')로 봉제결합되도록하여, 표현무늬(11)(11')에 의한 장식적 기능을 발휘되도록 하며 악세사리 전용으로도 사용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악세사리 겸용 버클은 결속고리에 의한 봉제부착기능과, 체결구에 의한 결속기능을 구비하고, 특히 표현무늬를 갖는 장식구에 의해 화려한 심미감을 표현되게 한 것으로, 이와같은 버클은 허리에 착용되는 단순한 체결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취향 및 필요에 따른 선택적 부착구성에 의해 의복의 단추 및 악세사리 대용으로 겸용 사용할수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이와같은 다용도 기능에 의해 물품구입에 따른 비용의 절감과 경제적 효율성을 상승되게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면에 표현무늬(11)(11')를 형성한 장식구(1)(1')의 결합홈(12)(12')내로 체결구(21)(21')와 복수개의 결속고리(22)(22')를 갖는 판상의 프레임(2)(2')을 접착구성하여 한쌍의 버클본체(100)(100')를 이루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겸용 버클.
KR2019980023212U 1998-11-26 1998-11-26 악세사리 겸용 버클 KR200262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212U KR200262922Y1 (ko) 1998-11-26 1998-11-26 악세사리 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212U KR200262922Y1 (ko) 1998-11-26 1998-11-26 악세사리 겸용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98U KR20000010798U (ko) 2000-06-26
KR200262922Y1 true KR200262922Y1 (ko) 2002-06-21

Family

ID=6950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212U KR200262922Y1 (ko) 1998-11-26 1998-11-26 악세사리 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98U (ko) 200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58510A1 (en) Customizable apparel and the attachable, interchangeable appliques with attachment mechanisms that are used to decorate and modify the appearance of the apparel design
US20090151052A1 (en) Ornament
US7143483B1 (en) Belt buckle with ornamental backing
JP2018525178A (ja) 変更可能なかばん
KR200262922Y1 (ko) 악세사리 겸용 버클
KR200262923Y1 (ko) 악세사리 겸용 버클
KR20180035558A (ko) 장식부재 탈부착 구조를 갖는 핸드백
EP1157624B1 (en) Button fastener
KR200260775Y1 (ko) 단추 장식용 장식구
JPH0527453Y2 (ko)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JP3230027U (ja) 鼻緒飾り
KR200367703Y1 (ko) 착탈이 가능한 모피용 장신구
JP3124534U (ja) 止め具付きレザーフラワーリボン
RU2135055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манжеты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KR200225759Y1 (ko) 목걸이의 체결고리 연결구조
KR200291900Y1 (ko) 장식용 옷핀
KR200243038Y1 (ko) 단추
JP3104726U (ja) 水着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飾具および装飾具セット
TWM591329U (zh) 固定配件及其適用之服裝
JP3094813U (ja) アクセサリー
KR100338387B1 (ko) 단추를 이용한 장신구 및 그 이용방법
JPH0354085Y2 (ko)
KR200311499Y1 (ko) 스크루지 룩의 고리 바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