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53Y1 -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53Y1
KR200262553Y1 KR2020010034284U KR20010034284U KR200262553Y1 KR 200262553 Y1 KR200262553 Y1 KR 200262553Y1 KR 2020010034284 U KR2020010034284 U KR 2020010034284U KR 20010034284 U KR20010034284 U KR 20010034284U KR 200262553 Y1 KR200262553 Y1 KR 200262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jack
flow
communication terminal
modul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4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5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모듈러 잭을 사용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라인코드의 유동과 그로 인한 납땜 파손을 방지한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통신용 단말기의 라인코드 접속을 위한 모듈러 잭과; 개구부의 일측단에 성형된 텐션 리브를 구비하여 모듈러 잭 안착시 텐션 리브가 모듈러 잭을 탄성지지하여 모듈러 잭이 본체 하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듈러 잭부와; 모듈러 잭과 접속되어 통전경로를 형성하고 해당 통전경로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모듈러 잭부에 구비된 텐션 리브를 이용하여 모듈러 잭을 탄성지지함으로써 모듈러 잭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모듈러 잭의 납땜 파손으로 인한 통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Apparatus for sticking modular jack of a telephone}
본 고안은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Modular Jack)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모듈러 잭을 사용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라인 코드의 유동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단말기는 전화국에 연결되어 일정한 형태의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가입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화국과 통신용 단말기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국선이라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통신용 단말기의 상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단말기는 본체(110), 핸드셋(120), 및 라인코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용 단말기는 운용환경에 따라 본체(110)와 국선의 라인코드(140)간 또는 본체(110)와 핸드셋(120)의 라인코드(130)간을 연결 및 분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라인코드의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신용 단말기는 모듈러 잭을 구비하며, 통신용 단말기 본체(110)의 하부 하우징에는 이 모듈러 잭이 안착되는 모듈러 잭부(140A)가 구비된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듈러 잭의 조립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2에 따르면,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140A)에는 국선의 라인코드(140)를 접속하기 위한 모듈러 잭1(210)과 핸드셋(120)의 라인코드(130)를 접속하기 위한 모듈러 잭2(220)가 안착된다. 각 모듈러 잭(210)(220)은 인쇄회로기판(230)에 고정지지 된다.
모듈러 잭부(140A)에 모듈러 잭(210)(220)을 안착시키는 경우, 본체(110)에 별도의 장치가 없어 본체 하부 하우징의 개구부와 모듈러 잭간의 갭(Gap)이 존재한다. 모듈러 잭(210)(220)이 인쇄회로기판(230)에 납땜되어질 때 납땜 위치와 납땜 두께에 의한 제약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개구부와 모듈러 잭간의 갭은 불가피하다.
그런데 라인코드를 본체의 모듈러 잭에 연결하여 사용시 본체 또는 그 외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라인코드에 힘이 가해져서 당겨지거나 휨이 발생하게 되면, 개구부와 모듈러 잭간의 갭에 의해서 모듈러 잭을 그 간격만큼 유동된다. 즉, 외부적인 요인으로 라인코드에 힘이 인가되면, 그 힘이 라인코드를 통해 모듈러 잭으로 전달되어져 모듈러 잭이 인쇄회로기판(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음)에 대해 상대적으로 흔들리게 되는데 하부 하우징의 모듈러 잭부는 이를 방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모듈러 잭이 유동되기 때문에 이러한 유동에 장시간 노출된 모듈러 잭과 인쇄회로기판상의 납땜 부위가 파손 또는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납땜의 파손은 통화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모듈러 잭의 유동으로 인한 납땜 파손에 의해 통신용 단말기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듈러 잭을 사용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라인코드의 유동과 그로 인한 납땜 파손을 방지한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는, 통신용 단말기의 라인코드 접속을 위한 모듈러 잭과; 개구부의 일측단에 성형된 텐션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모듈러 잭 안착시 상기 텐션 리브가 상기 모듈러 잭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모듈러 잭이 본체 하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듈러 잭부와; 상기 모듈러 잭과 접속되어 통전경로를 형성하고 해당 통전경로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통신용 단말기의 상면도 및 배면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듈러 잭의 조립상태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의 평면도.
도5는 도4에서 모듈러 잭부의 측단면도.
도6은 도4에서 모듈러 잭1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420 : 모듈러 잭부 410A, 420A : 모듈러 잭
411, 421 : 커넥터 홀 412, 422 : 텐션 리브
413, 414 : 유동방지용 돌기 415 : 개구부
430 : 인쇄회로기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의 평면도이고, 도5는 도4에서 절단면 B-B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6은 도4에서 모듈러 잭1의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국선측 라인코드의 연결을 위한 모듈러 잭1(410A), 핸드셋측 라인코드의 연결을 위한 모듈러 잭2(420A), 각 모듈러 잭(410A)(420A)이 안착되는 하부 하우징의 모듈러 잭부(410)(420), 각 모듈러 잭(410)(420)과 접속되어 통전경로를 형성하고 이 통전경로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4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모듈러 잭1(410A)과 모듈러 잭2(420A)는 통신용 단말기의 조립시 본체 하부 하우징의 모듈러 잭부(410)((420)에 안착된다. 모듈러잭부(410)(420)는 개구부를 구비하여 각 모듈러 잭(410)(420)의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이 커넥터에 라인코드가 접속된다.
통신용 단말기의 조립시 각 모듈러 잭(410A)(420A)은 인쇄회로기판(430)상에 납땜되어진다. 인쇄회로기판(430)은 통화회로를 구비하며, 본체 하우징에 고정된다.
모듈러 잭(410A)(420A)은 라인코드의 연결과 분리를 위한 커넥터 홀(411)(421)을 구비한다.
또한 모듈러 잭부(410)(420)의 개구부는 모듈러 잭(410)(420)의 삽입에 적정한 개구 형상을 갖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개구 형상을 개선하여 개구부 일측단에 텐션 리브(412)(422)를 둔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모듈러 잭부1(410)측에 구비된 텐션 리브(412)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기계적인 변형력에 저항하는 탄성을 갖는다. 보통의 조건에서 모듈러 잭1(410A)을 모듈러 잭부1(4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모듈러 잭부1(410)에 인가되는 변형력은 본체의 내측을 향하거나 본체 하부 하우징에 평행하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텐션 리브(412)는 모듈러 잭부1(410)의 일측단에서 만곡 돌출되어진 형상으로 개구면에 수직한 변형력 및 수평의 변형력에 모두 적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모듈러 잭부2(420)측에 구비된 텐션 리브(4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 모듈러 잭부1(410)측의 텐션 리브(412)와 모듈러 잭부2(420)측의 텐션 리브(422)는 동일한 체계로 동작하므로, 단지 모듈러 잭부1(410)측의 텐션리브(412)의 동작만을 설명한다.
텐션 리브(412)의 탄성은 모듈러 잭1(410A)의 조립시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보유하도록 하고, 모듈러 잭1(410A)의 조립 전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그 위치 에너지를 상실하도록 한다.
텐션 리브(412)의 탄성은 적정한 탄성부재를 이용하거나 통상의 모듈러 잭부1(410)에 사용되는 부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415)의 일측단을 만곡된 판형으로 성형한 후 그 단부에서부터 그 하부면까지 적정폭의 슬롯을 절개함으로써 판스프링 형태의 텐션 리브(412)가 구현되도록 한다.
한편, 모듈러 잭1(410A)을 모듈러 잭부1(410)에 접속시킨 상태에서도 모듈러 잭1(410A)과 모듈러 잭부1(410)간의 조립 오차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얼마간의 간극이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간극은 종래기술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라인코드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모듈러 잭1(410A)의 유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요소가 된다. 즉, 라인코드의 유동은 모듈러 잭1(410)이 인쇄회로기판(4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동하도록 하여 납땜 부위의 접촉상태를 취약하게 만들 것이다. 그래서 좀더 개선된 유동방지 구조가 요구되는데, 이에 적절하도록 텐션 리브(412)의 단부에 적정한 형상의 유동방지용 돌기(413)(414)를 구비한다.
인쇄회로기판(430)상에 조립된 상태에서 모듈러 잭부1(410)에 삽입되어진 후 모듈러 잭1(410A)이 유동될 수 있는 방향은 상하좌우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유동방지용 돌기(413)(414)는 상하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와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모두 갖추게 된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본체의 하우징 내외부를 향하는 방향을 지시하며, 좌우 방향은 하부 하우징면에 평행하게 유동되는 방향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유동방지용 돌기1(413)은 텐션 리브(412)의 단부에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져 모듈러 잭1(410A)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하며, 유동방지용 돌기2(414)는 텐션 리브(412)의 단부에 적정하게 돌출된 두 개의 돌기로 이루어져 모듈러 잭1(410A)의 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유동방지용 돌기2(414)는 텐션 리브(412)의 탄성력에 의해 두 개의 돌기로 모듈러 잭1(410A)을 반대측으로 밀어내어 유동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즉, 도5의 'A'부로 지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모듈러 잭1(410A)이 포함된 인쇄회로기판(430)이 조립될 때 텐션 리브(412)상의 유동방지용 돌기2(414)이 모듈러 잭1(410A)의 외곽면에 밀착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며, 유동방지용 돌기1(413)은 텐션 리브(412)의 탄성력으로 모듈러 잭1(410A)의 돌출부에 밀착되어 모듈러 잭1(410A)의 상하 유동을 방지한다. 유동방지용 돌기들(413)(414)이 모듈러 잭1(410A)의 외곽에 밀착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갭으로 인한 유동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라인코드에 인가되는 외력이 모듈러 잭1(410A)과 인쇄회로기판(430)간의 납땜 부위로 전달되지 않는다.
여기서 유동방지용 돌기1(413)은 텐션 리브(412)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모듈러 잭1(410A)의 돌출부에 대해 일정 정도 겹쳐지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유동방지용 돌기2(414)도 텐션 리브(412)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모듈러 잭1(410A)의외곽면에 대해 일정 정도 겹쳐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면 조립시 텐션 리브(412)가 장력을 받게 되어 항상 모듈러 잭1(410A)을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여 유동 방지 기능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부에 텐션 리브 구조를 구비하여 모듈러 잭이 모듈러 잭부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라인코드에 인가되는 외력이 모듈러 잭을 유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본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모듈러 잭간의 상대적인 유동은 현저하게 적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고안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에 따르면,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의 유동을 최소함으로써 모듈러 잭의 납땜 파손으로 인한 통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통신용 단말기의 라인코드 접속을 위한 모듈러 잭과;
    개구부의 일측단에 성형된 텐션 리브를 구비하여 상기 모듈러 잭 안착시 상기 텐션 리브가 상기 모듈러 잭을 탄성지지하여 상기 모듈러 잭이 본체 하부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모듈러 잭부와;
    상기 모듈러 잭과 접속되어 통전경로를 형성하고 해당 통전경로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잭부는,
    상기 모듈러 잭부의 하단부에서 만곡 돌출된 판스프링 형상이며, 그 단부에 상하 유동과 좌우 유동을 각각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유동방지용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KR2020010034284U 2001-11-08 2001-11-08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KR200262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4U KR200262553Y1 (ko) 2001-11-08 2001-11-08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284U KR200262553Y1 (ko) 2001-11-08 2001-11-08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53Y1 true KR200262553Y1 (ko) 2002-03-18

Family

ID=7311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284U KR200262553Y1 (ko) 2001-11-08 2001-11-08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097B2 (en) Waterproofing method 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JP2992939B2 (ja) 電気ターミナル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6571B1 (ko) 커넥터
US5761299A (en) Auxiliary component connector including microphone channel
US686655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in alignment plate
KR100406182B1 (ko)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US5352125A (en) Anti-wicking electrical connector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KR100387910B1 (ko) 부동 가이드 커넥터 및 방법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EP1361627B1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JP3898643B2 (ja) 小型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0262553Y1 (ko)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KR100303412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JP3579825B2 (ja) コネクタ
JP4044822B2 (ja) コネクタ
KR200379837Y1 (ko) 커넥터
KR100417109B1 (ko)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모터 구동신호용 커넥터
KR20030028664A (ko) 통신 기기용 쉘프와 pcb 유닛 접지 구조
JP2842814B2 (ja) 電気コネクタ
JPS6236220Y2 (ko)
JP4212012B2 (ja) コネクタ
CN112271476A (zh) 一种压配式端子及连接器
KR200178755Y1 (ko)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국선사용유무 확인을 위한 라인모듈러 잭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