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369Y1 - 샤워기 - Google Patents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369Y1
KR200262369Y1 KR2020010034483U KR20010034483U KR200262369Y1 KR 200262369 Y1 KR200262369 Y1 KR 200262369Y1 KR 2020010034483 U KR2020010034483 U KR 2020010034483U KR 20010034483 U KR20010034483 U KR 20010034483U KR 200262369 Y1 KR200262369 Y1 KR 200262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screw
shower body
wa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복
최석필
Original Assignee
윤주복
최석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복, 최석필 filed Critical 윤주복
Priority to KR2020010034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369Y1/ko

Link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이 공급되어 그 물이 유출되는 구멍을 가지는 샤워기몸체부와, 상기 샤워기몸체부의 일면에서 그 샤워기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마련되며,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며, 밀착되어 벽면에 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오목한 원형의 얇은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샤워기걸이가 설치된 벽면이 아니라도 용이하게 샤워기를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벽면 어디에도 마음대로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워기{Shower device}
본 고안은 욕실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나 목욕을 하는 욕실에는 샤워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이러한 종래의 샤워기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욕실에 공급되는 냉수와 온수는 호스이음부(5)를 통하여 상기 샤워기몸체부(2)의 내부에 공급되며, 또한 샤워기구멍(3)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샤워기몸체부(2)는 욕실벽면(7)의 샤워기걸이(9)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사용한다. 또한 사워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통 샤워기걸이(9)에 걸어서 보관된다. 이러한 욕실의 벽면(7)은 보통 매끄럽고 평탄한 면을 가지는 타일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샤워기(1)는 샤워기걸이(9)가 설치된 곳에서만 걸어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샤워기걸이(9)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수도꼭지 부근에 감아둘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샤워기(1)는 욕실벽면(7) 등에 샤워기걸이(9)가 설치되어 있어도, 그 샤워기걸이(9)가 설치된 위치에만 걸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그 위치를 고정할 수 없어서 사용자의 신장에 알맞은 높이에 샤워기(1)를 위치고정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샤워기걸이가 설치된 욕실벽면이 아니라도 용이하게 샤워기를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욕실벽면 어디에도 마음대로 부착할 수 있는 샤워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샤워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의 벽면부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샤워기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를 탈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의 설치높이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샤워기몸체부 13. 나사공
20. 벽면부착부재 23. 나사부
25. 받침부 27. 흡착부
29. 연결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는 물이 공급되어그 물이 유출되는 구멍을 가지는 샤워기몸체부와, 상기 샤워기몸체부의 일면에서 그 샤워기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마련되며,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며, 밀착되어 벽면에 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오목한 원형의 얇은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의 벽면부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샤워기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를 탈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샤워기의 설치높이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100)는 샤워기몸체부(10)와, 나사공(13)과, 벽면부착부재(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샤워기몸체부(10)는 호스이음부(5)를 통하여 냉수와 온수가 공급되며, 샤워기구멍(3)를 통하여 유입된 냉수와 온수가 유출된다.
상기 나사공(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워기몸체부(10)의 일면에서 그 샤워기몸체부(10)의 내부를 향하여 마련되며, 다른 대상과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나사골(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부착부재(20)는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부(23)와, 받침부(25)와, 흡착부(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3)는 샤워기몸체부(10)의 나사공(1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23)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에 의하여 녹슬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stainless)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25)는 상기 나사부(23)와 흡착부(27) 사이에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이 받침부(25)는 상기 나사부(23)와 흡착부(27)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름이 작은 봉형상의 나사부(23) 끝단에 흡착부(27)가 결합되는 것보다 나사부(23)의 지름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받침부(25)에 흡착부(27)가 결합되는 것이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흡착부(2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5)의 일면, 즉 상기 받침부(25)와 나사부(23)가 결합된 면의 반대면에 그 받침부(25)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흡착부(27)는 밀착되어 벽면에 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오목한 원형의 얇은 고무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흡착부(27)는 변형되기 전의 모습이 오목하게 파여진 모양, 즉 그릇이나 사발의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25)와 흡착부(27)에는 연결심(29)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심(29)은 상기 샤워기몸체부(1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상기 연결심(29)의 일단은 상기 받침부(25)에 결합되며 그타단은 상기 흡착부(27)의 끝단 부위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샤워기몸체부(10)를 벽면으로부터 탈착시킬 때 상기 연결심(29)이 상기 흡착부(27)의 끝단을 잡아당겨 상기 샤워기몸체부(10)가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샤워기(10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서 사용하다가 욕실의 벽면(7)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상기 흡착부(27)를 접촉시킨다. 이 때 상기 흡착부(27)의 형상이 그 중심이 오목한 그릇이나 사발의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상기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에는 공기가 존재한다. 이어서 화살표방향(도 4의 A)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그릇모양의 흡착부(27)는 화살표방향(도 4의 B 및 C)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납작하게 되어 욕실벽면(7)에 완전히 밀착되고, 동시에 상기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에 존재하였던 공기는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이렇게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의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서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에 수분이 있으면 수분의 응집력으로 인하여 욕실벽면(7)과 흡착부(27) 사이의 결합은 더욱 견고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워기(100)는 욕실벽면(7)에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욕실에는 어느 정도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수분이 적을 시에는 사용자가 수분을 흡착부(27)의 안쪽면, 즉 욕실벽면(7)에 밀착되는 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샤워기(100)를 사용하다가 샤워기(100)를 욕실벽면(7)으로부터 탈착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샤워기몸체부(10)를 욕실벽면(7)의 반대방향, 즉 도 6의 화살표(D)방향으로 기울인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심(29)이 상기 흡착부(27)의 끝단을 샤워기몸체부(10)가 기울여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가 상기 흡착부(27)와 욕실벽면(7) 사이에 유입되어 상기 샤워기몸체부(10)는 욕실벽면(7)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의 신장이나 보관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도록 적당히 상기 샤워기몸체부(10)를 욕실벽면(7)에 대해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도 7의 E 및 F)방향으로 상방 혹은 하방으로 상기 샤워기몸체부(10)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샤워기가 부착된 높이를 정한 다음,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상기 샤워기몸체부(10)를 욕실벽면(7)에 견고히 부착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샤워기몸체부(10)의 탈착도 연결심(29)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에 의하면, 샤워기걸이가 설치된 벽면이 아니라도 용이하게 샤워기를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벽면 의 어떠한 위치에도 마음대로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물이 공급되어 그 물이 유출되는 구멍을 가지는 샤워기몸체부;
    상기 샤워기몸체부의 일면에서 그 샤워기몸체부의 내부를 향하여 마련되며,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에 연결되며, 밀착되어 벽면에 부착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오목한 원형의 얇은 고무판으로 이루어진 흡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와 흡착부 사이에는
    그 나사부와 흡착부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각의 받침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몸체부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단은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연결심이 더 구비되어,
    상기 샤워기몸체부를 벽면으로부터 탈착시킬 때 상기 연결심이 상기 흡착부를 잡아당겨 상기 샤워기몸체부가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샤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에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2020010034483U 2001-11-09 2001-11-09 샤워기 KR200262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83U KR200262369Y1 (ko) 2001-11-09 2001-11-09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83U KR200262369Y1 (ko) 2001-11-09 2001-11-09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369Y1 true KR200262369Y1 (ko) 2002-03-18

Family

ID=7311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83U KR200262369Y1 (ko) 2001-11-09 2001-11-09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3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1510A (ko) 수전금구 조립체
KR200262369Y1 (ko) 샤워기
CA2735448C (en) Curved shower rod mounting system
CA2406779C (en) Maintaining a closure of a shower curtain
KR200389653Y1 (ko) 샤워기 헤드 고정 장치
KR200214249Y1 (ko)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CN219060208U (zh) 向日葵型淋浴器用支架
KR200246236Y1 (ko) 자석을 이용한 샤워기 헤드의 행거 구조
JP2001214484A (ja) シャワーホースハンガーや握りバーなどの固定に用いる回転式吸着盤。
KR200408121Y1 (ko) 욕실용 악세사리 홀더
JPH10220654A (ja) 給水具
JP2006097265A (ja) 水栓金具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H0349174Y2 (ko)
WO2013098865A1 (en) Flexible soap-holder
KR200243107Y1 (ko) 샤워기 고정수단이 형성된 대야
KR200225070Y1 (ko) 가정용품 거치구
EP4082413A1 (en) Soap holder
JPH086127Y2 (ja) 埋め込み式手洗器における給水管の固定構造
KR200184940Y1 (ko) 연수기 설치대
KR200200731Y1 (ko) 샤워기 고정홀더
JP2001280549A (ja) 管継手
JP2814347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JP4675499B2 (ja) ホースガイド
KR200142592Y1 (ko) 송수관 연결구의 연결구조
JPH02401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