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070Y1 - 가정용품 거치구 - Google Patents

가정용품 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070Y1
KR200225070Y1 KR2020000031973U KR20000031973U KR200225070Y1 KR 200225070 Y1 KR200225070 Y1 KR 200225070Y1 KR 2020000031973 U KR2020000031973 U KR 2020000031973U KR 20000031973 U KR20000031973 U KR 20000031973U KR 200225070 Y1 KR200225070 Y1 KR 200225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tact pad
support member
fixtur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
Original Assignee
광림전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림전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림전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1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070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품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밀착패드를 이용하여 벽면에 탈부착되도록 하되 그 고착/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2)를 포함하는 밀착패드(10)와, 상기 패드(10)을 내포하며 융기된 상부면에는 통공(22)과 고정돌기(24)가 형성된 본체(20)와, 중앙 통공(32)과 상기 고정돌기(24)에 대응하는 고정홈(34)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연결단(36)이 연장 형성된 고정구(30)와, 내부에 형성되는 너트(42)를 포함하는 조절구(40) 및, 용품(G)의 파지부(52)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일단으로 결합된 연결구(54)를 포함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패드(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2)가 본체(20) 및 고정구(30)의 통공(22)(32)을 차례로 관통하고, 볼트(12)의 끝단이 상기 조절구(40)의 너트(42)와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구(30)의 연결단(36)에 상기 연결구(54)의 타단이 결합되어 이루어 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품 거치구{Holder for housewares}
본 고안은 가정용품 거치구에 관한 것으로, 밀착패드를 이용하여 벽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밀착패드의 조절 및 기구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성된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주로 욕실용품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종래의 거치대는 못이나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타일이 부착된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는 시공이 번거롭고 벽면의 미관이 손상되기 쉽우며, 접착제의 접착력이 점차로 약해짐에 따라 거치대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1994-0007359호에서 밀착패드를 이용하여 탈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이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요컨데, 지지부재 본체(10)와, 본체(10)의 삽입공(11)에 관통삽입되고 또한 본체(10)의 위치결정공(18)에 끼워지는 나사(17)로 고정되는 지지봉(12)과, 나사 결합부(13)가 연결되어 지지부재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확장,수축되는 밀착판(14)과, 상기 지지봉(12)이 압입되는 삽입홈(20)이 형성된 지지부재(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본체(10)의 회전에 따라 밀착판(14)이 수축 및 확장되어 용구 지지부재(1)가 벽면으로부터 압착 및 분리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구성에서, 지지부재 본체(10)를 회전시키면 지지봉(12) 및 지지봉(12)에 결합된 지지부재(2)가 함께 회전되어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강한 회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각 조인트 부분에 파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함께 회전하는 지지부재(2)의 정위치를 조준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지지부재(2)에 용품이 거치된 상태에서는 지지부재 본체(10)의 회전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물론 위의 문제에 대해서는, 의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작용에서와 같이, 각 구성부분을 분리한 상태에서 먼저 지지부재(10)를 회전시켜 밀착판(14)을 벽면에 부착한 다음, 지지봉(12)을 끼워 나사(17)로 고정하고, 다시 지지부재(2)를 지지봉(12)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소 해결할 수 있으며, 분리시에는 역으로 지지부재(2)와 지지봉(12)를 분해한 다음 지지부재(10)을 역으로 회전시켜 분리시키는 방법이 있겠으나, 이 역시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 된 본 고안은, 본체 및 지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조절구만을 좌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밀착패드가 수축 또는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탈부착 및 위치의 조준이 용이하도록 한 거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용품이 거치되는 지지부재를 주름관으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각도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거치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a은 종래의 위생용구 지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위생용구 지지구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2의 밀착패드의 작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드 12. 볼트
20. 본체 22. 통공
24. 고정돌기 30. 고정구
32. 통공 34. 고정홈
40. 조절구 42. 너트
50. 지지부재 52. 파지부
54. 연결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밀착패드(10)와 본체(20), 고정구(30), 조절구(40) 및 지지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패드(10)는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인서트 성형되는 볼트(12)를 포함하며, 외부 압력에 의한 내부 공기의 입출에 따라 흡착력이 생기거나 소멸한다.
상기 본체(20)는 상기 패드(10)를 내포할 수 있는 형태이고, 융기된 상부면에는 중앙에 통공(22)이 형성되며, 통공(22)의 주변에 고정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30)는 중앙에 통공(32)과 통공(32)의 주변에 상기 고정돌기(24)에 대응하는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연결단(36)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조절구(40)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너트(4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50)는 용품(G)을 잡아주는 파지부(52)가 형성되는 한편 그 일단으로 결합된 연결구(54)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상기 연결구(54)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이다.
상기 구성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밀착패드(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2)가 본체(20) 및 고정구(30)의 중앙 통공(22)(32)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볼트(12)의 끝단은 조절구(40)의 너트(42)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밀착패드(10)와 본체(20), 고정구(30) 및 조절구(40)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고정구(30)는 그의 고정홈(34)와 본체(20)의 고정돌기(24)가 서로 맞물려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조절구(40)는 상기 고정구(3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이 자유롭다.
다음, 상기 고정구(30)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단(36)에는, 그 일측이 지지부재(5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구(54)의 타측단을 끼워 결합하여, 완성된 거치구(100)가 제공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된 본 고안의 거치구(100)의 사용상태도로서, 우선 거치구(100)의 위치 및 각도를 미리 조준한 다음, 밀착패드(10)를 타일이나 유리 등의 벽면에 대고 조절구(40)만을 좌우로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력은 상기 조절구(40)의 너트(42)에 결합된 밀착패드(10)의 볼트(12)를 업/다운(up/down)시키며, 동시에 밀착패드(10)도 수축/확장시키는 압력으로 작용되는 것이다(도 4 참조).
위의 작용에 따라 조절구(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밀착패드(10) 내의 밀폐율이 높아지고 거치구(100)는 벽면에 고착되는 것이며, 이 때, 거치하고자 하는 용품(G)을 지지부재(50)의 파지부(52)에 거치하여 사용 되고, 또한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연결구(54)를 이용하여 원하는 각도만큼 구부리거나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거치구(100)을 다른 위치로 옮겨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조절구(4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밀착패드(10)가 벽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위의 방법으로 다시 고착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 때, 상기 조절구(40)만을 회전시키면 되므로 파지부(52)에 용품(G)이 그대로 거치된 상태에서도 벽면으로부터의 분리, 고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20)와 고정구(30) 및 지지부재(5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조절구(40)만을 좌우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밀착패드(10)가 수축 또는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거치구(100)의 탈부착 및 위치의 조준이 매우 용이하며, 용품(G)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분리, 고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50)와 고정구(30)을 연결하는 연결관(54)를 주름관으로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파지부(52)의 위치 및 각도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중앙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12)를 포함하는 밀착패드(10)와, 상기 패드(10)을 내포하며 융기된 상부면에는 통공(22)과 고정돌기(24)가 형성된 본체(20)와, 중앙 통공(32)과 상기 고정돌기(24)에 대응하는 고정홈(34)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연결단(36)이 연장 형성된 고정구(30)와, 내부에 형성되는 너트(42)를 포함하는 조절구(40) 및, 용품(G)의 파지부(52)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일단으로 결합된 연결구(54)를 포함하는 지지부재(50)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패드(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볼트(12)가 본체(20) 및 고정구(30)의 통공(22)(32)을 차례로 관통하고, 볼트(12)의 끝단이 상기 조절구(40)의 너트(42)와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구(30)의 연결단(36)에 상기 연결구(54)의 타단이 결합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품 거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4)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주름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품 거치구.
KR2020000031973U 2000-11-15 2000-11-15 가정용품 거치구 KR200225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73U KR200225070Y1 (ko) 2000-11-15 2000-11-15 가정용품 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973U KR200225070Y1 (ko) 2000-11-15 2000-11-15 가정용품 거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070Y1 true KR200225070Y1 (ko) 2001-05-15

Family

ID=7308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973U KR200225070Y1 (ko) 2000-11-15 2000-11-15 가정용품 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29A (ko) * 2017-08-16 2019-02-26 박민식 기밀 부착패드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29A (ko) * 2017-08-16 2019-02-26 박민식 기밀 부착패드 어셈블리
KR102051571B1 (ko) * 2017-08-16 2019-12-03 박민식 기밀 부착패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0595S1 (en) Assay device
US20050257346A1 (en) Holding device for sanitary and more particularly bathroom sector
KR101847265B1 (ko) 샤워 헤드용 홀더
US6942190B1 (en) Sucker assembly
KR200225070Y1 (ko) 가정용품 거치구
JP2002354637A (ja) 配線・配管材の固定具
JP2000034811A (ja) 樋取付け構成体
KR200459153Y1 (ko) 높낮이 조절과 샤워헤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장치의 고정홀더부재
KR100396594B1 (ko) 천장 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KR200484161Y1 (ko) 샤워기 거치대
EP1229282A3 (de) Adapter zur Klemmschellemontage
KR200236887Y1 (ko) 흡착구.
KR200410390Y1 (ko) 회전거울 지지구
KR200318414Y1 (ko) 진공 흡착구
JPH0439311Y2 (ko)
JP3071909U (ja) フレキシブルシャワーハンガー
KR200199557Y1 (ko) 샤워기용 착탈식 고정구
KR200233533Y1 (ko) 흡착구를 이용한 장식용 벽걸이구조
JP2866537B2 (ja) 水栓金具取付け構造
JP3668434B2 (ja) 隅部用配管支持装置
JP3369113B2 (ja) 簡易設置棚
JP4262460B2 (ja) 建築部品用固定具
JPH0221988Y2 (ko)
KR200262369Y1 (ko) 샤워기
KR200371997Y1 (ko) 코너에의 장착이 가능한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