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61Y1 - 샤워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샤워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61Y1
KR200484161Y1 KR2020160007703U KR20160007703U KR200484161Y1 KR 200484161 Y1 KR200484161 Y1 KR 200484161Y1 KR 2020160007703 U KR2020160007703 U KR 2020160007703U KR 20160007703 U KR20160007703 U KR 20160007703U KR 200484161 Y1 KR200484161 Y1 KR 200484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engaging projection
groove
gri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행
Original Assignee
조영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행 filed Critical 조영행
Priority to KR2020160007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샤워기 거치대는, 일측면에 복수 개의 흡반이 형성된 부착부와, 타측면에 돌출되어 내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져 샤워기가 고정되는 파지홈이 형성된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일단부에 상기 제1 파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샤워기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가 형성된 바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지홈에 삽입 고정되며, 끝단부에 상기 파지홈을 통화하여 노출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샤워기 거치대{Shower holder}
본 고안은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 거치대는 욕실의 일측 벽면에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샤워기 거치대에 샤워기를 걸어 사용할 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아이 또는 강아지를 목욕시키거나 손빨래를 할 때와 같이 낮은 위치에서 대야에 물을 받아 사용할 때 샤워기를 고정시킬 수 없으며, 대야에 샤워기를 넣고 물을 받아 사용하는 경우 샤워기가 고정되지 않아 물이 사방으로 튀는 등의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사워기 거치대의 높낮이가 조절되지 아 샤워기 거치대를 활용하지 못하며, 고정되어 있는 샤워기 거치대 이외에 다른 위치에 샤워기를 거치하거나 방향과 위치를 다르게 하여 사용할 수 없어 좁은 공간에서 활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를 필요로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0791호, (2005.03.28)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샤워기 거치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샤워기 거치대는, 일측면에 복수 개의 흡반이 형성된 부착부와, 타측면에 돌출되어 내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져 샤워기가 고정되는 파지홈이 형성된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일단부에 상기 제1 파지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샤워기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가 형성된 바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지홈에 삽입 고정되며, 끝단부에 상기 파지홈을 통화하여 노출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결합돌기의 돌출방향과 다른 타측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결합돌기 끝단부에 상기 파지홈을 통과하여 노출되어 제2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횡단면 형상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홈 내측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부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부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장부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샤워기 거치대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벽이나 거울 또는 바닥면 등과 같은 평평한 곳에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부착하고 사워기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편의성이 뛰어나며, 복수 개의 흡착부재로 인해 고정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샤워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샤워기 거치대의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고안의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는 사용자가 샤워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샤워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워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샤워기 거치대의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를 A-A’선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과 도 6의 샤워기 거치대의 제1 결합돌기와 제2 결합돌기를 C-C’선과 D-D’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 거치대(1)는 표면이 매끈한 벽면이나 바닥면에 부착되는 지지부(10)와, 지지부(10)로부터 연장되어 샤워기를 파지하는 연장부(20)를 포함한다. 샤워기는 연장부(20)에 고정되어 지지부(10)가 부착된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일측면에 복수 개의 흡반(11a)이 형성된 부착부(11)와, 타측면에 돌출되어 내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져 샤워기가 고정되는 파지홈(13)이 형성된 제1 파지부(12)를 포함하고, 연장부(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 제1 파지부(12)에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샤워기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22)가 형성된다. 한편, 제1 결합돌기(21)는 연장부(2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파지홈(13)에 삽입 고정되며, 끝단부에 파지홈(13)을 통과하여 노출되어 제1 결합돌기(21)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돌기(21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10)는 표면이 매끈하고 평형한 벽면이나 유리면 또는 바닥면 등과 같은 곳에 부착되어, 연장부(20) 또는 샤워기를 지지하여 고정한다. 지지부(10)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부착부(11)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 파지부(12)를 포함한다.
부착부(11)는 표면이 매끈한 벽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압착하여 벽면에 밀착되는 복수 개의 흡반(11a)을 포함한다. 흡반(11a)은 지지부(10)의 일측면인 부착부(11)에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며, 오징어나 문어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원형의 빨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흡반(11a)은 부착부(11) 전체면에 균일하게 배열된다. 즉, 흡반(11a)은 작은 형태로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부착부(11) 전체면에 배열되어, 일부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지지부(10)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부착부(11)의 일측에는 제1 파지부(12)가 형성된다.
제1 파지부(12)는 샤워기가 직접 고정되거나 연장부(20)가 고정되어 샤워기의 위치를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파지부(12)는 지지부(10)의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며, 샤워기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0)는 부착부(11)가 부착된 벽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파지부(12)에는 샤워기 또는 연장부(20)가 삽입되는 파지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파지홈(13)은 제1 파지부(12)의 내측에 형성된 홈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샤워기의 헤드부분이 삽입 고정되며, 내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파지홈(13)은 통상 테이퍼 형상을 갖는 샤워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면의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상부와 하부라 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도록 지지부(10)가 벽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위와 아래를 말하며, 도면의 죄표를 기준으로 y축의 양(+)의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부라하고, y축의 음(-)의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을 하부라 칭한다.
파지홈(13)은 샤워기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관통된 내홈(13a)과 외홈(13b)을 포함한다. 내홈(13a)과 외홈(13b)은 일측이 서로 연통되어 횡단면(도 2의 xz평면과 평행한 단면)이 ‘8’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내홈(13a)은 부착부(11)와 인접한 홈을 말하며, 외홈(13b)은 부착부(11)로부터 먼 홈을 말한다.
파지홈(13)에는 샤워기가 직접 삽입될 수도 있으나, 연장부(20)의 제1 결합돌기(21)나 제2 결합돌기(23)가 결합되어 연장부(20)가 고정될 수도 있다.
연장부(20)는 지지부(10)와 샤워기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0)는 지지부(10)로부터 샤워기를 이격시켜 고정하는 일종의 연결부재로, 샤워기를 벽면이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연장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를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연장부(20)는 제1 결합돌기(21)가 파지홈(13)에 결합되면 지지부(10)로부터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며, 제2 결합돌기(23)가 파지홈(13)에 결합되는 지지부(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20)는 일단부에 제1 결합돌기(21)와 제2 결합돌기(23)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 파지부(22)가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21)는 연장부(2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외홈(13b)과 내홈(13a)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도 3의 (a) 참조)이 ‘8’자 형태를 이룬다. 제1 결합돌기(21)는 단면형상이 비원형을 이루고 있어 파지홈(13)에 삽입되는 연장부(20)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1 결합돌기(21)는 파지홈(13)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폭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좁아진다. 즉, 제1 결합돌기(21)는 파지홈(13)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21)는 외측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비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결합돌기(21)를 도 2의 A-A’선으로 절단하면 단면이 ‘8’자 형상을 나타낸다. 제1 결합돌기(21)는 제1 파지부(12)의 파지홈(13)에 빈틈없이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지홈(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21)는 xz평면 단면이 제1 파지부(12)의 xz평면 단면 형상과 사실상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21)의 끝단부에는 제1 고정돌기(211)가 형성된다. 제1 고정돌기(211)는 연장부(20)를 지지부(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1 결합돌기(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결합돌기(21)는 한 쌍이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배치된다. 제1 고정돌기(211)는 제1 결합돌기(21)의 하부에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결합돌기(21)는 하부가 연장부(20)의 폭방향(z축방향)으로도 돌출 형성되어 제1 파지부(12)에 탄성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a)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제1 결합돌기(21)는 외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1 파지부(12)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결합돌기(2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제1 결합돌기(21)가 제1 파지부(12)에 삽입되면, 제1 고정돌기(211)가 제1 파지부(12)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제1 결합돌기(21)가 제1 파지부(12)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제1 고정돌기(211)가 제1 파지부(12)에 걸려 제1 결합돌기(21)가 파지홈(13)에 고정된다. 제1 고정돌기(211)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1 결합돌기(21)를 제1 파지부(12)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제1 고정돌기(211)에 탄성력을 가하여 제1 결합돌기(21)를 제1 파지부(1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돌기(21)의 돌출방향과 다른 타측 폭방향인 y축 방향으로 제2 결합돌기(23)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3)는 연장부(2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1 파지부(12)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 결합돌기(21)의 돌출방향과 다른 타측 폭방향인 y축 방향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3)는 제1 결합돌기(21)와 대향되도록 제1 결합돌기(21)의 상부에 배치되며, 도 3의 (b)와 같이 xz평면 단면도는 원형을 이루며, 도 4의 (b)와 같이 yz평면 단면도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도 2의 제2 결합돌기(23)를 B-B’선으로 절단한 도면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돌기(23)의 횡단면이 원형을 이루어 제2 결합돌기(23)는 파지홈(13)의 내주면에 접하여 슬라이딩 회전운동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23)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홈(13)에 삽입 고정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외주면이 파지홈(13)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시 가능하다. 제2 결합돌기(23)는 테이퍼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홈(13)의 내홈(13a) 또는 외홈(13b)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돌기(23)는 제1 파지부(12)의 내홈(13a) 또는 외홈(13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연장부(2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3)는 연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축에 의해 축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23)가 회전축에 의해 축 결합되면 제2 결합돌기(23)가 파지홈(13)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더라도 연장부(20)가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돌기(23)가 연장부(20)에 회전축으로 결합되면, 제2 결합돌기(23)의 횡단면 형상이 원형일 필요 없으며 제1 결합돌기(2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결합돌기(23)는 끝단부에 제2 고정돌기(23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돌기(231)는 제1 고정돌기(211)와 마찬가지로 제2 결합돌기(23)를 제1 파지부(12)에 고정한다. 제2 결합돌기(23)는 연장부(20)에 회전축이 나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돌기(23)는 연장부(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장부(20)의 일단부에는 지지부(10)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결합돌기(21)와 제2 결합돌기(23)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파지부(22)가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파지부(22)는 샤워기를 파지하는 부분으로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연장부(2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제2 파지부(22)는 제1 파지부(12)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장부(20)에 결합된다. 즉, 지지부(10)가 벽면에 부착되고, 제1 결합돌기(21)가 제1 파지홈(13)에 삽입되었을 때, 제2 파지부(22)는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파지부(22)는 연장부(20)에 고정부재(221)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221)는 나사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제2 파지부(22)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211)는 제2 파지부(22)의 회동축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제2 파지부(22)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221)는 일측에 손잡이 역할을 하는 고정캡(222)이 결합되어 있다. 제2 파지부(22)가 연장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샤워기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 파지부(2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샤워기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샤워기에 탄성력을 가하여 샤워기가 제2 파지부(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샤워기 거치대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를 다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샤워기 거치대(1)는 욕실의 벽면이나, 거울면, 욕조, 바닥면과 같이 표면이 매끈한 평면 상에는 어디든지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샤워기 거치대(1)는 작은 흡반(11a)이 다수 개가 지지부(10)에 배열되어 있어, 일부 표면에 굴곡이 있거나 매끈하지 못한 표면이 있을 경우에도 샤워기를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샤워기 거치대(1)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샤워기가 아래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제2 파지부(22)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지지부(10)는 부착부(11)가 바닥면에 부착되고 제1 파지부(12)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연장부(20)는 제1 결합돌기(21)가 제1 파지부(12)의 파지홈(13)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장된다. 연장부(20)는 제1 결합돌기(21)가 파지홈(13)에 결합되어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장부(20)를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다음 샤워기를 제2 파지부(22)에 장착하여 물을 아래로 분사할 수 있다. 샤워기 거치대(1)는 도 5에 도시된 방법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욕실 바닥에 앉아 손빨래를 하거나 아이 또는 애완동물 등을 목욕시킬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욕실 바닥에 쪼그려 작업을 할 때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샤워기의 물줄기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샤워기 거치대(1)를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10)를 벽면에 압착시켜 부착하고, 제1 파지부(12)에 제2 결합돌기(23)를 삽입한다. 제2 결합돌기(23)는 제1 파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장부(20) 전체가 지지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2 결합돌기(23)를 제1 파지부(12)에 결합하고, 제2 파지부(22)에 샤워기를 고정하면, 샤워기를 벽면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분사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샤워기 거치대(1)는 샤워기를 길게 연장하여 고정할 필요가 있거나, 샤워기의 분사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샤워기 거치대 10: 지지부
11: 부착부 11a: 흡반
12: 제1 파지부 13: 파지홈
13a: 내홈 13b: 외홈
14: 돌출부 15: 만입부
20: 연장부 21: 제1 결합돌기
22: 제2 파지부 23: 제2 결합돌기
211: 제1 고정돌기 221: 고정부재
222: 고정캡 231: 제2 고정돌기

Claims (7)

  1. 일측면에 복수 개의 흡반이 형성된 부착부와, 타측면에 돌출되어 내측 폭이 아래를 향하여 점차 좁아져 샤워기가 고정되고 내홈과 외홈으로 이루어진 파지홈이 형성된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일단부에 상기 제1 파지부의 내홈과 외홈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복수 개의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샤워기를 고정하는 제2 파지부가 형성된 바 형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지홈에 삽입 고정되며, 끝단부에 상기 파지홈을 통과하여 노출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결합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타측 폭방향으로 돌출되며 테이퍼형상으로 돌출된 제2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 끝단부에 상기 파지홈을 통과하여 노출되어 제2 결합돌기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제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샤워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워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는 횡단면 형상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돌기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홈 내측면에 접하여 회전 가능한 샤워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는 상기 부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워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지부는 상기 제1 파지부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장부 타단부에 결합되는 샤워기 거치대.
KR2020160007703U 2016-12-30 2016-12-30 샤워기 거치대 KR200484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03U KR200484161Y1 (ko) 2016-12-30 2016-12-30 샤워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703U KR200484161Y1 (ko) 2016-12-30 2016-12-30 샤워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61Y1 true KR200484161Y1 (ko) 2017-08-23

Family

ID=6062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703U KR200484161Y1 (ko) 2016-12-30 2016-12-30 샤워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39Y1 (ko) 2019-05-21 2019-10-16 우관식 샤워기헤드 고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061U (ja) * 1992-08-13 1994-06-24 英明 児玉 シャワーを移動し固定するアーム
KR200380791Y1 (ko) 2005-01-06 2005-04-07 오민선 흡착식 샤워기 헤드 걸이구
JP2005188172A (ja) * 2003-12-26 2005-07-14 Mitsuba Corp シャワーホルダ
JP2013113050A (ja) * 2011-11-30 2013-06-10 Takagi Co Ltd シャワーフック
KR20160100778A (ko) * 2015-02-15 2016-08-24 김희창 샤워수 토출위치조절이 가능한 샤워헤드 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061U (ja) * 1992-08-13 1994-06-24 英明 児玉 シャワーを移動し固定するアーム
JP2005188172A (ja) * 2003-12-26 2005-07-14 Mitsuba Corp シャワーホルダ
KR200380791Y1 (ko) 2005-01-06 2005-04-07 오민선 흡착식 샤워기 헤드 걸이구
JP2013113050A (ja) * 2011-11-30 2013-06-10 Takagi Co Ltd シャワーフック
KR20160100778A (ko) * 2015-02-15 2016-08-24 김희창 샤워수 토출위치조절이 가능한 샤워헤드 걸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39Y1 (ko) 2019-05-21 2019-10-16 우관식 샤워기헤드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929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샤워용구 홀더유닛
KR101988483B1 (ko) 키친 타올 행어 유니트
KR200484161Y1 (ko) 샤워기 거치대
KR102120096B1 (ko) 샤워기 거치 구조체
KR200491227Y1 (ko) 샤워기 거치 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71357Y1 (ko) 샤워기 헤드용 부착구
KR200254631Y1 (ko) 샤워기헤드고정대
KR200289222Y1 (ko) 샤워헤드 걸이대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KR200262306Y1 (ko) 샤워기 홀더
KR200217010Y1 (ko) 샤워기헤드 탈부착구
KR200464253Y1 (ko) 높낮이 조절과 샤워헤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샤워장치의 고정홀더부재
KR101658290B1 (ko) 다용도 일체형 거치대
KR200276639Y1 (ko) 샤워기 홀딩장치
KR200374687Y1 (ko) 샤워기
KR20110051756A (ko) 탈부착 가능한 샤워기 헤드
KR950007115Y1 (ko) 샤워기 행거
KR102459534B1 (ko) 반려동물 샤워기 거치대
JP7404466B1 (ja) 水切りコップ
KR101249455B1 (ko) 샤워기 거치대
KR200462541Y1 (ko) 샤워기 고정장치
KR200199557Y1 (ko) 샤워기용 착탈식 고정구
KR200369198Y1 (ko) 개량형 샤워기
JP2020189067A (ja) たわしホルダー
KR20180003309U (ko) 샤워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