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237Y1 - 비누 걸이대 - Google Patents

비누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237Y1
KR200369237Y1 KR20-2004-0026590U KR20040026590U KR200369237Y1 KR 200369237 Y1 KR200369237 Y1 KR 200369237Y1 KR 20040026590 U KR20040026590 U KR 20040026590U KR 200369237 Y1 KR200369237 Y1 KR 200369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coupled
fixture
suppo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백
김대일
Original Assignee
김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일 filed Critical 김대일
Priority to KR20-2004-0026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2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2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4Other soap-cake holders
    • A47K5/05Other soap-cake holders having fixing devices for cakes of soap, e.g. clamps, pins,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세면대 측면에 결합되며, 비누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비누고정구와 지지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비누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비누(10)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 입구(111)가 형성되고 내외주면을 따라 마찰턱(112)이 형성된 체결공간부(110)와,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공간부(120)로 구성된 비누고정구(100)와; 일단부가 세면대 측면에 결합되고, 플랙시블관(210)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간부(110)의 길이에 대응되게 요철(230)이 형성된 연질재질(220)이 상기 플랙시블관(210) 타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입구(111)를 통해 결합되며, 말단부에는 머리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머리공간부(120)에 결합안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걸이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고형비누 내부에 형성된 비누고정구와 상기 비누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결합시 완전 일체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비누 사용시 겉돌거나 비누가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대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나 방향으로 비누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비누 사용 효율을 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누 걸이대{soap support}
본 고안은 공중화장실의 세면대 측면에 결합되며, 비누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비누고정구와 지지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비누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 측면에는 비누가 놓여져 있게 된다. 보통 가정집에서는비누곽에 비누가 놓여져 사용되어지나, 휴게소나 음식점, 상점 등의 공중화장실에 이와 같이 비누곽에 비누가 놓여져 있으면, 비누의 분실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비누곽에 비누가 무단히 방치되어 비누 주변에 습기가 많아져 비누의 낭비가 심하게 된다. 특히 공중화장실 등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중화장실 등에서는 비누 걸이대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5-29473호에 의한 비누 걸이구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볼트가 삽입되는 수개의 통공과, 걸이대가 삽입되는 수직통공이 구비되고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의 수직통공에 삽입되어 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구비되고 단부에 요홈이 형성된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요홈과 결합되는 걸림턱을 갖고 절곡요홈을 중심으로 절곡되는 분할편과, 그 외부에 씌워지는 캡 및, 수개의 보강리브와 중심주에 걸이대삽입공이 형성된 체결구가 내부에 내장된 비누에 의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걸이대가 일정 모양으로 고정되어져 있어,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상태에 따라 비누의 위치를 이동시키지 못하게 되어 불편한 문제점 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대와 비누에 내장된 상기 체결구의 결합은, 상기 걸이대의 단부에 형성된 요홈과 상기 체결구의 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결합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중화장실 등에서는 잦은 충격과 이로 인한 임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요홈과 걸림턱의 결합부분이 헐거워져 상기 걸이대로부터 상기 체결구가 무단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누 내부에 형성된 비누고정구와 상기 비누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결합시 완전 일체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비누 사용시 겉돌거나 비누가 무단 분리를 방지하는 비누 걸이대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나 방향으로 비누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비누 걸이대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결합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적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비누 100 : 비누고정구
110 : 체결공간부 111 : 입구
112 : 마찰턱 120 : 머리공간부
200 : 지지대 210 : 플랙시블관
220 : 연질재질 230 : 요철
240 : 머리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비누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외주면을 따라 마찰턱이 형성된 체결공간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공간부로 구성된 비누고정구와; 일단부가 세면대 측면에 결합되고, 플랙시블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간부의 길이에 대응되게 요철이 형성된 연질재질이 상기 플랙시블관 타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입구를 통해 결합되며, 말단부에는 머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비누고정구의 머리공간부에 결합안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걸이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고형비누 내부에 형성된 비누고정구와 상기 비누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결합시 완전 일체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비누 사용시 겉돌거나 비누가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나 방향으로 비누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비누 사용 효율을 더 높이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의 적용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누 걸이대는 비누고정구(100)와 지지대(200)로 크게 구성되어져 있다.
먼저 상기 비누고정구(100)는 비누(10)의 성형시 삽입하여 굳힘으로써, 비누(10) 중심부 내부에 자연스럽게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비누고정구(100)는 비누(10)의 경도보다는 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비누고정구(10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열려져 있으며 타단부는 막힌 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비누고정구(100)는, 일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입구(1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입구(111)로 후술할 지지대(200)가 통과하여 결합되게 되며, 체결공간부(110)와 머리공간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체결공간부(110)는 내부가 비어져 있으며, 후술할 지지대(2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내외주면을 따라 마찰턱(112)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마찰턱(112)은 상기 체결공간부(110) 내주면과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외주면에 형성된 마찰턱(112)은 비누(10)와의 결합면적을 높임으로서 비누(10)가 상기 비누고정구(100)로부터 빠지게 되는 것을 막으며, 내주면에 형성된 마찰턱(112)은 후술할 지지대(200)와의 결합면적을 높임으로서 지지대(200)로부터 비누고정구(100) 및 비누(10)가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공간부(120)는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체결공간부(110) 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져,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말단부에서의 비누(10)와의 결합면적을 더욱 높임으로서 비누(1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공간부(120)는 후술한 지지대(200)의 머리부(240)와의 결합력도 높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지지대(200)는 타단부가 세면대 측면의 화장실 벽 등에 결합되며, 일단부는 상기 비누고정구(10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지지대(200)는 전체적으로 플렉시블관으로 형성되어 좌우상하의 방향조절이 자유롭도록 형성되게 한다. 이는 수도 꼭지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코브라관'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체결공간부(110)의 길이에 대응되게 요철(230)이 형성된 연질재질(220)이 상기 플랙시블관(210) 타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대(200)의 타단부는 요철(230)이 형성된 고무 등의 연질재질(220)이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 부분이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체결공간부(11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200)에 상기 비누고정구(10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마찰턱(112)과 연질재질(220)의 요철(230) 형상이 상호 결합되게 되어 상기 비누고정구(100)와 상기 지지대(200)가 유동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0)의 말단부에는 머리부(24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머리부(240)는 상기 머리공간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머리공간부(120)에 결합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240)는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입구(111)를 통한 용이한 결합을 위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240)와 상기 지지대(200) 몸체는 턱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상기 비누고정구(100)로 부터의 분리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누 걸이대는, 상기 지지대(200)의 일단부를 세면대 측면벽 등에 설치시키고, 타단부로는 비누(10)가 결합된 상기 비누고정구(10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대(200)의 요철(230) 형상과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마찰턱(112)이 상호 결합하여,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여 잦은 충격이 가해지는 공중 화장실 등의 비누(10)가 비누 걸이대로 부터 무단 회전되지 않으며,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가 플랙시블관(210)으로 형성되어 비누(10)의 방향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비누(10)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비누 내부에 형성된 비누고정구와 상기 비누고정구에 결합되는 지지대의 결합시 완전 일체로 밀착되게 결합되어 비누 사용시 겉돌거나 비누가 무단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가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나 방향으로 비누를 움직이게 할 수 있으므로 비누 사용 효율을 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비누(10)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 입구(111)가 형성되고 내외주면을 따라 마찰턱(112)이 형성된 체결공간부(110)와, 타단부에 형성된 머리공간부(120)로 구성된 비누고정구(100)와;
    일단부가 세면대 측면에 결합되고, 플랙시블관(210)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간부(110)의 길이에 대응되게 요철(230)이 형성된 연질재질(220)이 상기 플랙시블관(210) 타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입구(111)를 통해 결합되며, 말단부에는 머리부(240)가 형성되어 상기 비누고정구(100)의 머리공간부(120)에 결합안착되도록 형성된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걸이대.
KR20-2004-0026590U 2004-09-16 2004-09-16 비누 걸이대 KR200369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90U KR200369237Y1 (ko) 2004-09-16 2004-09-16 비누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90U KR200369237Y1 (ko) 2004-09-16 2004-09-16 비누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237Y1 true KR200369237Y1 (ko) 2004-12-04

Family

ID=4935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590U KR200369237Y1 (ko) 2004-09-16 2004-09-16 비누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2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49B1 (ko) * 2009-07-03 2010-06-16 안동영 비누걸이
CN104545611A (zh) * 2015-01-19 2015-04-29 李伟 一种新型肥皂防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249B1 (ko) * 2009-07-03 2010-06-16 안동영 비누걸이
CN104545611A (zh) * 2015-01-19 2015-04-29 李伟 一种新型肥皂防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8651A (en) Clothes rack
US4700918A (en) Hand rail
US5031257A (en) Convertible shower enlarger
US4653714A (en) Hand rail
KR200369237Y1 (ko) 비누 걸이대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US6467105B1 (en) Drain stopper to soak feet in a tub and shower
KR970003925Y1 (ko) 샤워기 행거
US20070125723A1 (en) Movable bath mat bar for towel bar or bracket mount
US2319017A (en) Bathroom fixture
KR20090009049U (ko) 샤워기 헤드 집게
KR200442132Y1 (ko) 고정형 드라이기
JP2005224540A (ja) 浴室用洗面器及び浴室用備品載置台
KR0139528Y1 (ko) 씽크대의 세척통 고정장치
KR20210002489U (ko) 파이프 홀더유닛을 갖춘 욕실용 소품받침대
KR200214249Y1 (ko) 싱크대의 물 튐 방지구
US20210015308A1 (en) Shower curtain safety system
KR200400724Y1 (ko) 슬라이딩식 샤워기 걸이 장치
US5371908A (en) Anti-splash attachment assembly for a shower curtain rod
JP2814347B2 (ja) 浴槽における排水用栓体の取付構造
KR200240390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남성용 소변기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KR200446560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KR200363248Y1 (ko) 욕실용 코너선반
KR200210839Y1 (ko)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